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호정” 에 대한 검색결과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향리직(鄕吏職). [내용] 983년(성종 2) 주‧부‧군‧현(州府郡縣)의 이직(吏職)을 고칠 때 원외랑(員外郎)이 바뀐 명칭으로, 9단계로 구성된 향리직에서 5위에 해당하였다. 향역(鄕役)의 부담자로서, 양반귀...
  • 원외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집사(執事)와 함께 호부에 소속된 관직이다. 토지와 인구를 파악하고 전세(田稅)ㆍ공물ㆍ부역 등을 부과하는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그 뒤 983년(성종 2) 향리직을 개편할 때 ()으로 바뀌었다. 『고려사(高麗史)』...
  • 약점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떨어지지만 이들 역시 유력한 토착세력이었으며, 약점정의 임명에는 그 지방의 사심관(事審官)이 관여하였다. 한편, 약점정은 지방 일품군(一品軍)의 말단 지휘관인 대정(隊正)이 될 수 있었으며, 향리조직 내에서는 사옥정(司獄正)ㆍ객사정(客舍正)과 함께 (...
  • 사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창부(倉部)의 세 부서로 구성된 독자적인 조직을 운영해 왔는데, 고려가 집권체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그 조직에 대하여 일정한 통제를 가한 것이다. 사호에는 호정(戶正)ㆍ()ㆍ사(史)라는 관직이 있었는데, 이들 관직은 많은 토지를 소유한 그 지방의...
  • 근대신어 : 플푸토크러시, 부호계급, 금권정치(풀루토크라시)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4090 플푸토크러시, 부호계급, 금권정치 파항 풀루토크라시 plutocracy 1. 富豪階級, 豪族 2. 治, 金權政治 1. 부호계급, 호족 2. 치, 금권정치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행위 [사회생활] 사회관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29)

  • 日本聲言自護使館顯有凌락中國之意又派探探軍事 ; 處置朝鮮宜仿英人處印度例廢王而郡縣之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
    1882년 8월 31일 출사대신 여서창이 총서에 보낸 공함이다. 일본이 스스로 공사관을 보호한다고 큰소리치는 것은 명백히 중국을 능멸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조선 처지는 영국인의 인도 처지를 모방, 왕을 폐하고 군현으로 삼도록 제안하고 있다.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82.08.31.
  • 澈之論。】爲弘文館副修撰, 吳允謙爲侍講院文學, 黃廷祿爲全羅右水使, 黃琇爲永春縣監, 韓汝澂爲江陰縣監。
    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於何地乎? 爾說淸正尙有八千, 是爾目見者乎? 壞事者汝也。 爾國徒知天使, 而不知事體, 十分可惡。 爾何徑行文書于東萊官, 而不稟于黃陪臣乎?’ 對曰: ‘淸正則吾不知之。 東萊官, 則分, 調來, 而無分付黃陪臣之語, 故傳諭東萊 ...
    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調來, 而無分付黃陪臣之語, 故傳諭東萊 ...
    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而少無干涉於幹事。 凡在朝鮮宣諭斡事, 皆我與爾責任也。 人人下手, 他日壞事, 則將若之何? 自今以後, 非我所言, 勿爲聽信。 將此南通事着實處置, 再勿許如是’ 云云。 正使聞遊擊招好正而去, 令人詗而知之, 卽分付止東萊官, 一聽遊擊敎令, 仍杜中門, 不許諸官稟事。 天使分曰:...
    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향리직. 983년(성종 2) 주·부·군·현의 이직을 고칠 때 원외랑이 바뀐 명칭으로, 9단계로 구성된 향리직에서 5위에 해당하였다. 향역의 부담자로서, 양반귀족에 비해서는 저열한 사회적 지위에 있었으나 아들까지는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특혜가 베풀어진 지배계

  • 사옥사 / 司獄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정 이상 및 100정 이하의 주·현에 각 2인이 배정되었다. 그러나 1039년(문종 5) 9단계 향리승진제가 마련되면서 사옥정으로 명칭이 바뀌고 5위의 에 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