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호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
사전(32)
- 부호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향리직(鄕吏職). [내용] 983년(성종 2) 주‧부‧군‧현(州府郡縣)의 이직(吏職)을 고칠 때 대등(大等)이 바뀐 명칭이며, 9단계로 구성된 향리직에서 호장(戶長)에 이어 제2위에 해당하는 상급 향리였다. ...
- 부호장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향리직(鄕吏職)의 하나. 호장(戶長)에 이어 제2위에 해당하는 상급 향리.정의고려시대 향리직(鄕吏職)의 하나. 호장(戶長)에 이어 제2위에 해당하는 상급 향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uhojang | MR표기puhoj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鄕吏職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517 鄕吏職號 관직 十二牧, 堂大等, 戶長, 大等, 副戶長, 郞中, 戶正, 員外郞, 副戶正 成宗二年初 高麗 歷代年表 D_16_04_01 대동운부군옥 16권 4장 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4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事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262 事審 관직 副戶長, 職事, 諸功臣, 設官, 宗主, 人民, 甄別, 品流, 均賦役, 正風俗, 廣占, 公田, 多匿, 民戶, 有害於鄕, 無益於國 高麗, 慶州 金傅, 太祖, 忠肅王 麗史 D_12_05_15 대동운부군옥 1...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5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사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관료. [내용] 청도군의 태수였다. 1161년(의종 15) 9월의 『군중고적비보기(郡中古籍裨補記)』에는 이 당시 청도군의 향직을 역임하였던 인물과 태수의 이름이 나오는데, 이는 청도군 전부호장 어모부위(前副戶長...
고서·고문서(29)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야기를 나누고 잤다. 이 사람은 세상일에 감탄하며 놀라기를 그치지 않는다. ○신당(神堂)에 사는 이응진(李應辰)이 감을 보내주기에, 답장을 써서 감사를 표했다. ○부호장(副戶長) 이성(李成)이 와서 날 꿩을 주었다. 二十日己卯, 晴夕陰。 二十日己卯, 晴夕陰。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못할 증세가 있다. ○판관의 아들 안굉(安宏)이 다녀갔고, 안로(安璐)도 왔다가 보고 갔다. ○이지천(李支天)‧이정중(李靜中) 등이 와서 서복(徐卜)의 집에 묵으면서 안부를 묻기에, 내일 모여서 이야기하자고 했다. ○판관이 부호장(副戶長)을 보내 백저포(白苧布) 2필의...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한 요역가를 부쳤다. 또 홍주(洪州)와 정산(定山) 등의 수령에게 보내는 편지를 주어 만수(萬守)를 시켜 가서 드리게 했다. ○노(奴)를 시켜 동쪽 산 바깥 주위에 울타리를 치게 하고 수석(水石)으로 하여금 밭을 갈지 못하게 했다. ○여안(呂安)이 부호장(副戶長)에 차...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人事篇八]技藝門_柶戱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子不必爲也. 董越《朝鮮賦》“家不許藏博具”, 蓋當時習尙有然者也. 余命兒曹, 雖柶戱之 之: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없다.淺末, 斷 斷: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切’로 되어 있다.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에는 ‘節’로 되어 있다. 연세대본(가)에는 ‘絶’로 되어...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87 B002687 감귤 柑橘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37年 10月 13日_1_016 ... 所見甚不好, 又將見此不好狀矣。 騎士將李昌運入侍。 上曰, 濟州別橘, 是常産而多有之乎? 年前有進貢之事, 其味甚美, 而此非元貢, 故守臣推考矣。 昌運曰, 雖云土産, 而非多有之物...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부호장 / 副戶長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향리직. 983년(성종 2) 주·부·군·현의 이직을 고칠 때 대등이 바뀐 명칭, 9단계로 구성된 향리직에서 호장에 이어 제2위에 해당하는 상급 향리였다. 인원은 1018년(현종 9)에 지방관제가 개편되면서 정해졌다. 주·부·군·현 가운데 1,000정 이상인
-
정도사조탑형지기 / 淨兜寺造塔形止記 [언어/언어/문자]
(光賢)이 석탑 오층을 세울 것을 발원하고 죽자 그의 형인 부호장(副戶長) 품유(稟柔)가 여러 사람을 권선(勸善)하여 탑을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을 적은 것으로 당시의 사회를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정습명 / 鄭襲明 [종교·철학/유학]
?∼1151(의종 5). 고려 중기의 문신. 영일정씨 형양공파의 시조, 아버지는 정후감으로 부호장을 지냈다. 주로 간관 직을 맡아보았던 정습명은 왕실의 사부로서 의종을 훈육하고 보필하는데 사명을 다하였다. 예부시랑, 추밀원지주사 등을 역임하였다. 병이 들어 김존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