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호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40)
사전(295)
- 부호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호군으로 개칭되어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에는 정원이 54인이었으나 후기에 5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화되면서 문‧무관의 보직이 없는 자, 혹은 친공신(親功臣)‧공신적장(功臣嫡長)‧군영장관(軍營將官), 여러 잡직 등이 부호군직을 띠게 되어 그 수가 69인으로...
- 부호군(副護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부호군 부호군 副護軍 섭호군(攝護軍) 오위(五衛)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1466년(세조 12) 오위(五衛) 종사품 [정의] 조선시대 중앙...동의어섭호군(攝護軍) | 관련어오위(五衛)
- 중절오선(中絶五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수직왜인을 모두 폐하고 임진왜란으로 단절되었던 조선과 일본 간의 국교를 재개한 공로가 있어 상호군(上護軍)과 부호군(副護軍)의 관직을 받은 5명의 일본인(藤永正‧世伊所‧馬勘七‧平智吉‧平信時)에게 1년에 한 번씩 조선에 왕래할 수 있는 선박인 수직인선을 허가했다. 수직인...유형분류개념용어
- 박제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07(순조 7)∼1874(고종 11).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반남(潘南). 자는 문재(聞哉). 양양부사 초수(楚壽)의 아들이다. 1853년(철종 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성균관대사성‧부호군(副護軍)‧사헌부대사헌...이칭별칭 문재(聞哉)
- 송내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의 장령(掌令)‧집의(執義) 등을 거쳐 뛰어난 학행을 인정받아 1853년(철종 4)에 성균관좨주(成均館祭酒)에 천거되었다. 부호군(副護軍)을 거쳐 1857년부터 10년 가까이 대사헌을 여러 차례 지내고 뒤에 찬선(贊善)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금곡문집≫이 있다.이칭별칭 자칠(子七)| 금곡(錦谷)
고서·고문서(2,339)
- 한원진 용양위부호군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1744년(乾隆9) 1月에 韓元震을 禦侮將軍行龍驤衛副護軍으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어모장군은 정3품 堂下官의 무신 품계로, 본 고신은 4품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官敎에 해당하며, 국왕 명의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敎旨’라는 문구가 있다. 龍驤衛는 조선...분야문학 | 유형문헌
- 副護軍 具應魯와 幼學 具碩魯 등이 올린 소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61 2455_01 副護軍 具應魯와 幼學 具碩魯 등이 올린 소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소지 한자 고문서 KBR011.JPG 副護軍 具應魯와 幼學 具碩魯 등이 올린 소지 소지 副...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副護軍 具應魯, 幼學 具明魯 등이 올린 소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63 2457_01 副護軍 具應魯, 幼學 具明魯 등이 올린 소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소지 한자 고문서 KBR013.JPG 副護軍 具應魯, 幼學 具明魯 등이 올린 소지 소지 副...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副護軍 具應魯, 幼學 具明魯 등이 올린 소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64 2457_02 副護軍 具應魯, 幼學 具明魯 등이 올린 소지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소지 한자 고문서 KBR013-1.JPG 구봉령 종가 한국국학진흥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副護軍 具應魯, 幼學 具明魯 등이 올린 소지 03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65 2457_03 副護軍 具應魯, 幼學 具明魯 등이 올린 소지 03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소지 한자 고문서 KBR013.hwp 東先池下里副護軍具應魯幼學具明魯等謹齋沐上書于 鎭營閤下伏以月前...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6)
- 不許軍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유학즁에 륙군학교에 입학기를 결심지원 일에야 학부에셔 유학 감독에게 뎐보고 일졀엄검라얏다더라게재일1907년 2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이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졍부 찬졍 리죵건 사직 샹소 비지에 직면 문득 병을 칭탁니 병이 무 병인고 병이 과치 안커던 양치 말고 공라 옵시고 젼 부호군 오삼갑등과 유학 죠치룡등 언 샹소 비지에 다 졍부로 품야 쳐결 라 옵시다게재일1898년 9월 3일 | 기사분류관보
- 증졍 일품 대광 보국 슝록 대부 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증졍 일품 대광 보국 슝록 대부 궁부 대신 리경직은 의졍부 의졍을 증고 부호군 리도형은 죵이품 가션대부 궁부 협판을 증고 리응원은 졍 삼품 통졍대부 비셔원 승을 증고 비셔원승 리덕 갈닌에 김병식으로 임고 궁부 슈륜과 쥬 리용원 쳔샹쥰 갈닌 강만희게재일1899년 12월 11일 | 기사분류관보
- 십이월 십삼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죄신 최익현 직언샹소 비지에 의론바가 진실노 츙젹(忠赤)에 낫스니 짐이 써 아람다이 녁이고 탄식노라 맛당이 베풀기를 도모리라 옵시고 궁부 특진관 윤용식과 법부협판 윤웅렬 직샹소 비지에 양말고 공라 옵시고 젼 부호군 오계슈 언샹소 비지에게재일1898년 12월 14일 | 기사분류관보
- 을병일기下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의 논의 및 관련 자료들을 망라하고 있는 본 저작에 따르면, 대처방안을 두고 갖가지 의견들이 교차하는 가운데, 부호군 윤치현과 같은 이는 다음과 같은 논리로 일본과의 수호를 “교린” 차원에서 받아들일 것을 주장함. 그가 보기에 결국 문제는 일본과 서양이 연결되어 있는지...대표표제어을병일기下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이최웅(추정) | 출처『국역 을병일기』(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4)(pp.91-129.) | 키워드조일수호조규, 을병일기, 교린, 서양, 유원지도
주제어사전(17)
-
부호군 / 副護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4품의 관직. 태종 초 섭호군(攝護軍)이였다가 5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7년(세조 13)의 관제개혁 때 종4품 부호군으로 개칭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에는 정원이 54인, 후기에 5위의 기능이 유명무실되면서 문·무관의 보직이 없는 자,
-
김추길 / 金秋吉 [종교·철학/유학]
1603∼1686. 조선후기 학자. 아버지는 률, 어머니는 봉화 금씨이다. 1678년(숙종 4) 통정대부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에 제수되고 1684년 장렬왕후 주갑의 해에 추로의 은혜를 입어 가선대부 행용양위 부호군에 가자되었다.
-
김령 / 金坽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김효로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유, 아버지는 현감 김부륜, 어머니는 평산 신씨로 부호군 신수민의 딸이다. 1612년(광해군 4)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등용된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주서 등을
-
김성구 / 金聲久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김득가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율,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 김추길, 어머니는 유화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사마시를 거쳐 166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전적·무안현감·직강·지평·수찬·정언 등을
-
송달수 / 宋達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58). 송시열의 8대손이다. 교관을 거쳐 1847년 6품직에 올랐고, 1852년에 경연관·사헌부 지평·장령·부호군을 역임했으며, 1855년 승지에 이어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성리학에 있어서는 주로 이이의 설을 따랐으며, 사람과 사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