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총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부총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의 관직. [내용] 1391년(공양왕 3) 전군(前軍)‧후군(後軍)을 폐지하고 중군(中軍)‧좌군(左軍)‧우군(右軍)으로 구성된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도총제사(都摠制使), 삼군총제...
- 우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피 하였으며, 1391년(공양왕 3) 5군을 줄여 중군ㆍ좌군ㆍ우군 등 3군 도총제부(都總制府)로 개편했는데, 이 때 우군에는 재상이 겸하는 좌군총제사 1인과 통헌대부(通憲大夫) 이상으로 임명되는 부총제사 1인으로 지휘부가 구성되었다.
- 좌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391년(공양왕 3) 5군을 줄여 중군ㆍ좌군ㆍ우군 등 3군 도총제부(都總制府)로 개편했는데, 이 때 좌군에는 재상이 겸하는 좌군총제사 1인과 통헌대부(通憲大夫) 이상으로 임명되는 부총제사 1인으로 지휘부가 구성되었다. 『고려사(高麗...
- 삼군부(三軍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온 나라의 군사를 통솔하기 위해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했다. 도총제사(都摠制使)는 시중(侍中) 이상의 관료가 겸임하게 하여 이성계가 맡았고, 재상급은 삼군총제사(三軍摠制使)를 맡게 하여 조준·정도전 등이 임명되었다. 이 외 부총제사 단사관(斷事官)·경력(經歷)·도사(都事)...상위어군령최고기관(軍令最高機關) | 동의어무부(武府) | 관련어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의흥친군(義興親軍), 중추부(中樞府), 승추부(承樞府),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 오위진무소(五衛鎭撫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
주제어사전(1)
-
부총제사 / 副摠制使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삼군도총제부의 관직. 1391년(공양왕 3) 전군·후군을 폐지하고 중군·좌군·우군으로 구성된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도총제사, 삼군총제사 다음의 관직으로 통헌대부 이상의 관리가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