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총관” 에 대한 검색결과 1,0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55)

사전(3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1466년(세조 12) 이 진무소가 오위도총부로 바뀌면서 도진무가 도총관‧으로 바뀌었다. 의 수는 5인으로 문(文)‧음(蔭)‧무(武)의 고급관리가 겸하였으니 대개 종실 등이 겸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 은 도총부 부책임자로...
    이칭별칭도진무(都鎭撫)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승녕부(承寧府)의 칙임관. [내용] 1907년 8월 궁내부에 승녕부가 신설될 때 직이 두어졌는데 정원은 1명이고 칙임관 2등과 3등이었다. 승녕부 책임자인 총관을 보좌하여 직무를 맡고 총관이 사고가 있을 때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겸직(兼職), 당상관(堂上官), 도총관(都摠管), 병조(兵曹),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오위(五衛) 군영(軍營), 군제(軍制), 궁궐(宮闕), 도진무(都鎭撫), 명예직(名譽職), 부장(部將), 사소(四所), 삼군(...
    상위어겸직(兼職), 당상관(堂上官), 도총관(都摠管), 병조(兵曹),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 하위어오위(五衛) | 관련어군영(軍營), 군제(軍制), 궁궐(宮闕), 도진무(都鎭撫), 명예직(名譽職), 부장(部將), 사소(四所), 삼군(三軍), 생기(省記), 순감군(巡監軍), 순장(巡將), 숙위(宿衛), 시위(侍衛), 오위겸부장(五衛兼部長), 오위진무소(五衛鎭撫所), 왕(王), 위장(衛將), 인정(人定), 입직(入直), 전좌(殿座), 직소(直所), 직숙(直宿), 총관(摠管), 파루(罷漏), 행순(行巡), 행재소(行在所), 행행(行幸), 호위(護衛)
  • 최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는 못하였다. 원나라의 세조는 최탄‧이연령에게 금패(金牌)를, 현효철‧한신에게는 은패(銀牌)를 주고 자비령을 경계로 이북 지역을 몽고에 내속시켜 동녕부(東寧府)라 하고, 최탄을 동녕으로 삼았다.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에서는 동녕부를 동녕로총...
  • 동녕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54성과 자비령 이북의 6성을 들어 원나라에 투항하였다. 이를 계기로 원의 세조(世祖)는 이듬해 자비령을 경계로 삼아 그 이북지방은 모두 원나라의 소유로 한 뒤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하고 최탄으로 동녕을 삼았다. 이에 원종은 원의 연경(燕京)까지 직접 가 동...

고서·고문서(729)

  • 朱奐翼을 贈 嘉善大夫工曹參判 兼 五衛都摠府으로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414 2034_01 朱奐翼을 贈 嘉善大夫工曹參判 兼 五衛都摠府으로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주경안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JKA009.JPG 朱奐翼을 贈 嘉善大夫工曹參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朱奐翼을 贈 嘉善大夫工曹參判 兼 五衛都摠府으로 임명하는 교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415 2034_02 朱奐翼을 贈 嘉善大夫工曹參判 兼 五衛都摠府으로 임명하는 교지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주경안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JKA009.hwp 敎旨 學生朱奐翼贈 嘉善大夫...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729년 증가선대부(贈嘉善大夫) 호조참판겸동지의김부사오위도총부(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 임수창(任壽昌) 추증교지(追增敎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黃俊良을 贈 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提學同知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으로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238 1919_01 黃俊良을 贈 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提學同知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으로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황준량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HJL031.JP...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黃俊良을 贈 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提學同知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으로 임명하는 교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239 1919_02 黃俊良을 贈 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提學同知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으로 임명하는 교지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황준량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HJL031.hw...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7)

  • 解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승녕부 부춍관 박졔빈씨 춍관셔리무 임되얏더라
    게재일1907년 10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承寧府朴齊斌 命署理摠管事務 十月五日 平安北道觀察使朴勝鳳 咸鏡北道觀察使尹性普 解刑法校正官 法部書記官咸台永 仝金晦秀 命刑法校正官 以上十月四日
    게재일1907년 10월 9일 | 기사분류관보
  • 布達 [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隆凞元년八月十一日奉 勅 宮內府大臣陸軍副將勳一等 李允用 布達第一百五十八號 承寧府官制 第一條 承寧府 左갓치職員을寘야府務管理야供御 服御御需物品及主管에屬會計를掌이라 總管 一人 親任或勅任一等 職務總理고職員을監督이라 一人 勅任二三等 總管을輔佐야職務를掌理...
    게재일1907년 8월 16일 | 기사분류기타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吳慶殷 解署理卿事務秘書丞 金天洙 以上十月十日 解法部法律起草委員朴齊衍 命法部法律起草委員 李承權 以上十月十一日 承寧府朴齊斌 解署理總管事務 十月十三日 任陸軍一等軍司 正尉尹 鎬 任陸軍砲兵正尉正尉鄭觀秀 任陸軍正尉 砲兵正尉金亨燮 任陸軍騎兵副尉 副尉李殷相 以上十月十日
    게재일1907년 10월 16일 | 기사분류관보
  • 布 達 [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侍從 四人 奏任 常侍奉仕이라 庶務課長 一人 奏任 上官의命令을承야庶務會計를掌理이라 書記郞 六人 判任 仕人 等外 第二條 總管侍從長侍從庶務課長의官等俸給은別表를依이라 第三條 本官制에特別規程이無者 官內府官制를總准이라 附則 第四條 本官制頒布日로부터施行이라...
    게재일1907년 8월 17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4)

  • 당이 신라·백제에 조서를 보내어 고려를 치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제(上帝)에게 특별한 일을 제사로 고하여 길에 오르고 병부(兵部)에 조서를 내려 군대를 출발시키는 호령을 내었다. 먼저 사지절(使持節)·요동도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摠管)·영국공(英國公) 이적(李勣), ()·강하군왕(江夏郡王) 도종(道宗)을 파견할 만하니, 병...
    대표표제어당이 신라·백제에 조서를 보내어 고려를 치게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4년(甲辰/신라 선덕왕 13 仁平 11/고구려 보장왕 3/백제 義慈王4/唐 貞觀 18/倭 皇極 3)
  • 唐 太宗이 백제 義慈王에게 내린 詔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動成湯之師 况亂嘗巨寇 紊三綱而肆逆 滔天元惡 窮五刑而莫大者哉 朕以宵衣興慮 日旰忘食 討罪之意旣深於投袂 救人之義彌軫於納隍 類上帝而戒途 詔夏官而鞠旅 可先遣使持節遼東道行軍大摠管英國公勣 江夏郡王道宗 士馬如雲 長驅遼左 奮夷嶽之威 屠豕蛇於險㵒 乘建瓴之勢 斬鯨鯢於鏤方 行軍摠管執失...
    대표표제어唐 太宗이 백제 義慈王에게 내린 詔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당 태종이 고구려 원정군의 경로를 밝히면서 내린 조서(命將征高麗詔)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先遣使持節遼東道行軍大摠管英國公勣 江夏郡王道宗 士馬如雲 長驅遼左 奮夷嶽之威 屠豕蛇於險㵒 乘建瓴之勢 斬鯨鯢於鏤方 行軍摠管執失思力 行軍摠管契苾何力率其種落 隨機進討 契丹蕃長於句折 奚蕃長蘇支燕州刺史李玄正等 各率 󰡔전당문󰡕에서는 ‘率’ 다음에 ‘其’가 추가되었다. 衆 絶...
    대표표제어당 태종이 고구려 원정군의 경로를 밝히면서 내린 조서(命將征高麗詔) | 주제분류외교문서
  • 당나라가 상리현장을 보내 신라를 공격하면 정벌할 것임을 협박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大總管)으로 삼고, 상하(常何)·좌난당(左難當)을 ()으로, 염인덕(冉人德)·유영행(劉英行)·장문간(張文幹)·방효태(龐孝泰)·정명진(程名振)을 총관(總管)으로 삼아서, 강(江)·오(吳)·경(京)·낙(洛)에서 모은 군사 4만과 오(吳)의 전선 5백 척을 이끌고...
    대표표제어당나라가 상리현장을 보내 신라를 공격하면 정벌할 것임을 협박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3년(癸卯/신라 선덕왕 12 仁平 10/고구려 보장왕 2/백제 의자왕 3/唐 貞觀 17/倭 皇極 2)

주제어사전(2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도총부의 종2품관직. 1457년(세조 3)에 삼군진무소가 오위진무소로 개칭되었다. 1466년(세조 12) 이 진무소가 오위도총부로 바뀌면서 도진무가 도총관·으로 바뀌었다. 의 수는 5인으로 문·음·무의 고급관리가 겸하였으니 대개 종실 등이 겸

  • 동녕부 / 東寧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에 서경에 설치된 원나라 통치기관. 원의 세조(世祖)는 1270년 비령을 경계로 삼아 그 이북지방은 모두 원나라의 소유로 한 뒤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하고 최탄으로 동녕을 삼았다. 1275년(충렬왕 1) 동녕부로 승격시켰다. 그러나 1370년(공민

  • 유의양 / 柳義養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8∼?). 대사간·공조참판· 등을 지냈다. 집의 때 백관들의 안일함을 논핵하였다.《춘관지》·《영희전지》를 편찬,《동국문헌비고》수정,《국조오례의》를 보집하였다. 저서로《춘방지》·《춘관통고》가 있다.

  • 유치선 / 兪致善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3∼?). 부사과·대사성· 등을 거쳐 1867년 경기도관찰사로 있을 때 《기계유씨세보》를 중간하고, 1874년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참의·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격 / 李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48∼1803). 아버지는 부만이다. 1769년(영조 45)에 무과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도총 등을 역임했다. 홍국영과의 갈등으로 남양에 유배되었다. 아들 이현직이 어영대장에 오르자 좌참찬에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