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직장” 에 대한 검색결과 1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6)

사전(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정8품의 관직. [내용] 사온서(司醞署)에는 1인, 사선서(司膳署)에는 3인, 사설서(司設署)에는 2인을 두었다. 한편으로 전악서(典樂署)에는 종9품의 ()이 있었다. 『고려사(高麗...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66년(세조 12) 1월의 관제개혁에서는 상서사가 상서원으로 승격되면서 윤을 정(正)으로, 승을 판관으로, 녹사를 으로 고치고, 장관인 정만 겸관으로 하였다. 『속대전』에서는 정원이 1인으로 줄었다. 『태조실록(...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직(實職), 직장(直長), 참하관(參下官) 봉사(奉事), 사섬(司贍), 사온(司醞) 녹사(錄事), 상서원(尙瑞院), 주부(主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고려후기~조선...
    상위어실직(實職), 직장(直長), 참하관(參下官) | 하위어봉사(奉事), 사섬부직장(司贍副直長), 사온부직장(司醞副直長) | 관련어녹사(錄事), 상서원(尙瑞院), 주부(主簿)
  • 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 개혁 때 부봉사와 함께 처음으로 보인다. 이 때 봉사의 관직이 등장하는 경위를 보면, 봉상시‧선공감‧훈련원의 경우 종래의 녹사(錄事)를, 관상감의 경우 종래의 시일(視日)을, 사역원의 경우 종래의 ()을, 풍저창의 경우 종래의 부승(副丞)을 각각 봉사로...
  • 사설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점(提點, 정5품) 1인(兼官), 영(令, 정5품) 2인, 승(丞, 정6품) 2인, 직장(直長, 정7품) 2인, (, 정8품) 2인을 두었다. 뒤에 제점과 을 없애고 영을 정6품으로, 승을 정9품으로 내렸다. 1356년(공민왕 5) 상사서(尙舍...

고서·고문서(89)

  • 1672년 안전(安{山/全})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72년(현종13)12월 21일에 이조에서 안전을 통덕랑(通德郞) 행(行) 상서원(尙瑞院)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통덕랑은 정5품의 문관 품계이다. 상서원은 보새(寶璽)․부인(符印)을 관장하였던 정3품 아문(衙門)이며, 은 정8품 관직...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5891 B01589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3年 8月 25日_003 ○宗簿崔商鳳, 璿源錄移安事, 江華府出去。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977 B01597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3年 8月 25日_003 ○宗簿崔商鳳, 璿源錄移安事, 江華府出去。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爲黃山察訪, 尹夏濟爲掌苑別□, 許穧·韓瑄·姜獻之爲典籍, 張遇一爲掌樂正, 尹楡爲尙瑞, 南垕爲司成, 申厚載爲都承旨。 典籍單李師尙, 造紙別提單柳薈, 內贍直長單宋徵殷, 宗簿單蔡彭胤。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爲黃山察訪, 尹夏濟爲掌苑別□, 許穧·韓瑄·姜獻之爲典籍, 張遇一爲掌樂正, 尹楡爲尙瑞, 南垕爲司成, 申厚載爲都承旨。 典籍單李師尙, 造紙別提單柳薈, 內贍直長單宋徵殷, 宗簿單蔡彭胤。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5)

  • 하여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단철 직장장인 공학사 꾸즈네쪼브 및 선박용 기계 제조 직장 장 추들린 기사는 자기 로동자들에게 기술적 방조를 주면서 생산기술에 대한 지식을 풍부케 하며 나아가서는 로력에서의 고상한 능률을 발생케 할 것을 신문을 통하여 전체 기사들에게...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9_0128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직전 유재승 평양특별시 시설사업소 미장공 강동선 국영남초베1공장 직공장 서갑삼 북조선소비조합 함남도 위원회 조사통계과장 김병송 중앙은행 동평양지점 지배인 최창렬 상업국 검사부원 림송렵 인인검열국 체신검열부장 정탁 로동국 간부부지도원 리정환 재정국 산업자금과장 김정...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8_0815_03 | 책임주필림상준
  • 당과 공화국 정부에서는 항상 직장들에서의 부업농장 운영에 깊은 배려를 돌리면서 이의 성과적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부업농장에서의 높은 성과는 무엇보다도 철저한 영농준비를 갖추는데서만 보장될 수있다. 사실 지난해 도내의 일 부업농장들에서 농사가 잘안된 가장 중요...
    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3_0207_01_01 | 책임주필김원선
  • 가장 중요한 것이다. 도당관하 일을 제외하고는 당 단체들의 꾸준한 창의창발적 투쟁으로서 당 사업을 고상한 당적 수준에로 개선 강화하여 자기 맡은 부분의 금년도 생산계획을 기한전에 성과적으로 보장하였다. 그러나 아직 일부 생산직장내 초급당부들이 자기사업을 원만히 조...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24_02 | 책임주필강길모
  • 산을 날로 더욱 제고시키어 막대한 성과를 달성하면서 있다. 그러나 일들에서는 적극성이 적으며 계속 락후한 상태에서 반복되고있는 부분적 실례를 볼 수 있다. 본궁 화학공장에서는 기계사고는 계속 반복되며 직장청소 미화사업은 잘 추진되지못하고 있다. 또한 혜산림산...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906_01 | 책임주필강길모

기타자료(1)

  • 문교 뉴우스 문교 민방위대 발대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문교 뉴우스 문교 민방위대 발대식 문교 뉴우스 문교 민방위대 발대식 교육 문헌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자 | 사료철명문교월보

주제어사전(1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상서원의 정8품 관직. 조선시대 상서원은 새보(옥새와 옥보)·부패(병부·순패·마패)·절술(신표와 대부)을 관장하던 기관이다. 1466년(세조 12) 1월의 관제개혁에서는 상서사가 상서원으로 승격되면서 윤을 정(正)으로, 승을 판관으로, 녹사를 으로 고

  • 사온서 / 司醞署 [생활/식생활]

    조선시대 궁중에 술과 감주 등을 마련하여 바치던 일을 담당하던 관서. 사온의 ‘온’은 술을 빚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 조선시대는 1392년(태조 1) 7월에 관제를 새로이 정할 때 사온서를 두어 주례의 일을 맡게 하였다. 소속관리로는 처음에는 영·승·직장·

  • 상서원 / 尙瑞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왕의 새보·부신 등을 관장하였던 관서. 1392년(태조 1) 고려의 제도를 따라 상서사를 설치하였다. 이후 ≪경국대전≫에 나타난 직제를 보면, 정 1인, 판관 1인, 직장 1인, 2인으로 구성, 정은 도승지가 겸하도록 규정되었다. ≪속대전≫에서는

  • 승의부위 / 承義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8품 무신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졌고, 그뒤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정8품 관직으로는 사록·설경·저작·대교·학정··부검·좌시직·우시직·사맹·수문장 등이 있다.

  • 정계순 / 鄭啓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9∼1789). 1765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헌릉참봉·중·의금부도사·선공봉사 등을 역임했다. 1777년 증광시 갑과에 급제하여 풍천부사·공조참의·승정원승지·사간원 등을 거쳤다. 1785년에는 대사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