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주석” 에 대한 검색결과 2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9)

사전(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제5차개헌 때 채택하였던 정부형태하에서의 차석 국무위원. [내용] 임시정부 헌정사에서는 제4차개헌(1927.3.5) 때부터 주석제를 채택하여 을 두지 않았으나, 제5차개헌(1944.4.22) 때 주석‧제로 바뀌...
  • 심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사(傳寫)하는 과정에서 중복과 천착(舛錯)이 생겨 그 진본을 이덕홍의 외손인 김만휴(金萬烋)의 집에서 가져다가 원본에서 한 자도 고치지 않고 간행하였다고 밝혔다. 심경의(권2) / 성의
    이칭별칭심경석의
  • 주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45년 11월 23일 광복된 조국으로 돌아올 때까지 27년 동안 한민족의 정신적 대표기관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해 왔다. 임시정부는 5차에 걸쳐 임시헌법을 제정‧개정하였는데, 주석제는 제4차 개헌 이후, 주석‧제는 제5차 개헌 이후 채택되었으므로 주석이란...
    이칭별칭수석 국무위원
  • 근대신어 : 포츠담선언(포쓰탐宣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2292 포츠담선언 파항 포쓰탐宣言 第二次世界大戰의 終決을 짓기 위하야 一九四五年 七月 二六日 米國大統領 토루맨 中華民國政 蔣介石 英國首相 처―칠 等은 포쓰탐會議에서 日本에 對한 無條件降伏을 要求하는 宣言을 發表 제2차 세계...
    출전新語辭典[民潮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제, 전투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交通部總長文昌範, 勞務局總辨安昌浩, 現在의部署와責任者, 主席金九, 金奎植, 內務部長申翼熙, 外務部長趙素昻, 軍務部長金元鳳, 法務部長崔東旿, 文化部長金相德, 宣傳部長嚴恒變, 參謀部長柳東悅, 光復軍總司令李靑天, 光復軍副司令金元鳳, 高級參謀長崔滄石. 日韓合倂에憤慨한 憂...
    출전新語辭典[民潮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가, 정치단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85)

  • 11 2 저, 지금, 연변, 분회, , 비서장, 1935년생, 연변대학, 졸업, 연변, 인민방송국, 사업, 부국장, 우리, 겨레, 민담, 정리, 목적, 조동, 민간, 문예, 연변, 분회, , 비서장, 사업
    대표표제어 | 성씨
  • 성질, 1949년, 9월, 30일, 모택동, 동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 당선, , 주덕, 류소기, 송경형, 리제심, 장란, 고강등, 1990년, 9월, 22일, 김씨, 길림성, 도문시, 향진기업공소공사, 노래, 한곡, 요청, 질례꽃붉게피는남쪽나라내고...
    대표표제어대표 | 성씨
  • 23292 B023292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純祖 34年 1月 23日_011 人鄭壽億嚴覈啓目判付內, 潛越宮墻, 自有當律, 死固, 而但以供招觀之, 則無識常賤, 不知宮墻潛越之罪至必死, 容或無怪, 又無別般隱情當此陽和布德之時, 先擧極刑, 有非導迎之意...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子張 第二十章(제이십장)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辭可駭者, 亦擧以歸之. 其實不然, 而久益增添之. 此章之旨恐亦如是也. 紂本不善, 如見於經傳信筆者, 固無可疑, 當時遊士雜說, 必將有不可勝記者矣. 雖聖賢表出之行, 如齊東之說者輒加誣罔, 況居下流而者哉? 此子貢所以發此言也, 非以六經所見者爲不信也.
    서명논어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해방후, 이름, 지금, 중국작가협회, 연변분회, , 천지, 문학잡지, 주필직, 문학창작, 종사, 얼마전, 친구, 귀편집부, 저의친척, 저를찾는방송, 감사, 찾는이, 다시
    대표표제어어머니 | 성씨

신문·잡지(128)

  • 민세안재홍전집 : 敬愛하는 蔣國民政 閣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585 1947 11 1 1 安在鴻 안재홍 敬愛하는 蔣國民政 閣下 문서류 미상 서신 국제정세 직접자료 7권 蔣介石, 中華民國, 韓國 D19471100미상01
    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협상회의 전국위원회와 중앙인민정 및 전체위원을 선거한 후 중국인민 정치협상회의의 제1차 전원회의의 선언을 채택하고 폐막식을 거행하였다. 이리하여 력사적인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차 전원회의는 전후 8일간의 일정을 끝마친 것이다. 중앙인민정부 주석에는 모...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002_01 | 책임주필강길모
  • 령원 팽덕희, 중앙인민정부 정무원 부총리 동굉무, 진운, 곽말약, 황염배, 등소평,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조직부장 요수석, 중국인민 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진숙동,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대리 총참모장 섭영진, 북경시 인민정부시장 팽진, 중앙인민정부 정무...
    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3_1128_01 | 날짜1953년 11월 28일 | 책임주필김명호
  • 28 전군정치사업회의에서 한 엽의 연설 37 전군정치사업회의에서 한 등의 연설 47 새로...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78
  • 들과 아세아 및 대양주 제국 직맹대회 대표들은 3일 오후 북경을 출발하였다. 국제직련 집행국원들 및 쏘련 대표단은 모쓰크바로 향발하였고 기타 대표들은 수일간 천진을 견학할 것인 바 중화전국총공회 류녕일이 이 대표들과 동행하였다. 북경 역두에서는 중화전국총공회...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07_04 | 책임주필강길모

기타자료(3)

  • 85. Korean press summary:기록자료, 1947.03.05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회 대의원 회의에서 김구 주석의 사임을 수리하고 임시정부 주석에 이승만, 에 김구를 선출하였다는 내용을 보도하였고, 동아일보는 과도입법의원에서 정치범 석방에 대한 논의 끝에 51대 7로 정치법 석방을 가결했다는 내용과 브라운 장군의 성명발표 내용을 논평없이 보도하...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Public Relations Office, Headquarters, XXIV Corps, Seoul, Korea | 수신자 XXIV Corps
  • 〈북조선공산당과 신민당의 합당 관련 보고〉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고합니다. 금년 7월 23일 신민당과 북조선공산당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놓고 신민당 중앙집행위원회 상무위원회 회의가 열렸습니다. 이 문제와 관련한 보고를 들고 신민당 최창익이 나섰습니다. 최창익을 보고를 통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북조선신민당은 인민대중들 사이에...
    대표주제어없음  | 발신자소련군 총정치부 제7국장 대리 B. 사포즈니코프 | 수신자전연방볼쉐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 수슬로프
  • 1946년도 전연방국제친선문화협회의 조선에서의 사업 보고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 최창익 - 신민당 . 8. 한빈 - 공산주의자, 조선공산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부부장, 김일성대학 부학장. 9. 박창식 - 김일성대학 강사, 조선공산당 중앙위원회 농민부장. 10. 한재오 - 사회과학 분야 학술일꾼. 전연방국제친선문화협회는 1946년 5월 조...
    키워드전연방국제친선문화협회 | 대표주제어없음  | 발신자‘복스’ 원동과장 직무대리 예로페예프

주제어사전(5)

  • / [역사/근대사]

    대한민국임시정부 제5차개헌 때 채택하였던 정부형태하에서의 차석 국무위원. 임시정부 헌정사에서는 제4차개헌 때부터 주석제를 채택하여 을 두지 않았으나, 제5차개헌 때 주석, 제로 바뀌면서 이 만들어졌다. 제도는 민혁당의 주석인 김규식이 임시정부으

  • 최용건 / 崔庸健 [정치·법제/정치]

    령관, 1950년 서울방위사령관(6·25남침시)을 거쳤다.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상임위원회 위원장, 민족보위상, 국가, 정치위원·비서국비서 등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 이동녕 / 李東寧 [역사/근대사]

    金九) 등과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조직하고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29년 두 번째의 임시정(1930∼1932)이 되었고, 1935년 세 번째로 임시정부의 주석(1935∼1939)이 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민영완 / 閔泳琬 [역사/근대사]

    과 중국 공군발전에 초석이 되었다. 1941년 임시정부가 5차개헌을 단행, 주석· 중심지도체제로 변경될 때, 김구(金九)주석의 밀령을 받아 무기를 공군비행기편으로 운반하는 등의 편의를 제공하고, 상해·난징(南京)·항저우 등지의 적정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임시정부에

  • 최창익 / 崔昌益 [역사/근대사]

    하였다. 1941년 1월 진동(晋東)에서 중국공산당 지원 아래 이건우(李建宇)·무정 등과 함께 화북조선청년연합회를 조직하였으며, 1942년 김두봉(金枓奉)·무정·한빈 등과 더불어 조선독립동맹창건에 참여, 으로 활동하였다. 광복이 되자 1945년 12월 평양으로 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