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제학” 에 대한 검색결과 1,4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75)

사전(1,00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1470년(성종 1) 두었는데, 1478년 예문관에서 홍문관이 분리 독립할 때 그대로 직제화되었다. 홍문관은 집현전을 계승한 조선시대 최고의 학문‧문필기관이었다. 관원들은 영예로운 청요직(淸要職)으로 간주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은 가장 핵심...
    이칭별칭부학사(副學士)|부시강(副侍講)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과 그 전신이었던 집현전에 두었던 정3품(正3品) 당상관직.
    정의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과 그 전신이었던 집현전에 두었던 정3품(正3品) 당상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ujehak | MR표기puje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2_J_0034 관직 博學, 强記, 遷動, 資憲, 降授, 古例 先王朝 海南 柳眉巖希春, 金睟 J_04_01_02 지봉유설 4권 1장 2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시강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경연의 정4품 관직. [내용]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직제학‧전한‧응교‧부응교가 이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녹관(祿官), 당상관(堂上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정직(正職), 제학(提學) 직제학(直提學) 부시강(副侍講), 부학사(副學士) 경연(經筵), 사관(史官), 수찬관(修撰官), 실록청(實錄廳), 예문관(藝文館...
    상위어녹관(祿官), 당상관(堂上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정직(正職), 제학(提學) | 하위어직제학(直提學) | 동의어부시강(副侍講), 부학사(副學士) | 관련어경연(經筵), 사관(史官), 수찬관(修撰官), 실록청(實錄廳), 예문관(藝文館), 중시(重試), 지제교(知製敎), 집현전(集賢殿), 춘추관(春秋館)

고서·고문서(367)

  • 栗谷先生全書 卷之八 啓 22 辭啓【乙亥】 08_055_010.jpg 辭啓 辭……啓: 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辭初啓”.【乙亥】 無狀小臣, 遭遇明時, 內忝侍從, 外叨方伯。 疏謀謬策, 十發九誤, 涓埃未效, 只辱名器。 加以孱弱之質, 血氣向衰, 危機...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復辭啓【乙亥】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二 【拾遺】啓 52 復辭啓【乙亥】 40_065_038.jpg 復辭啓【乙亥】 頃者兩司論監司之徑還者, 臣在被劾之中, 竟蒙原宥, 臣之私義, 至爲未安。 竊念人臣之義, 惟進與退。 進則當盡匪躬之誠, 退則當堅自守之節, 不可辭此取彼,【缺】爲自便之計也...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五月, 柳希春進 六書附錄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五月, 柳希春進 六書附錄 29_207_008.jpg ○五月, 柳希春進《六書 書: 대규에는 “經”.附錄》, 上嘉獎之。 希春多讀古書成誦, 而實無眞知。 且於世務茫然無識見 見: 대규에는 없음., 所上附錄亦非切要之言, 只可...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四月。 弘文館李珥拜恩辭職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四月。 弘文館李珥拜恩辭職 29_207_111.jpg ○ 四月。 弘文館李珥拜恩辭職, 不許。 珥旣歸鄕里, 自上頗有眷念之意, 徵以承旨、諫長 長: 대규에는 “官”., 皆不就。 乃拜黃海道觀察使, 未及期, 以疾遞, 卽拜...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十二月。 李珥謝病解職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十二月。 李珥謝病解職 29_207_179.jpg ○十二月。 李珥謝病解職, 授以西班。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1)

  • 세종으로부터 집현전 으로 발탁된 야인 우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 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7-21 | 조사장소충청남도 대덕군 기성면 | 제보자박용근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68)

  • / [정치·법제/법제·행정]

    집현전의 관제와 기능을 부활시키면서 다시 1인을 두었는데, 1478년 예문관에서 홍문관이 분리 독립할 때 그대로 직제화되었다.

  • 김병숙특증문서 / 金炳塾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6품 승훈랑 김병숙(金炳塾)을 정3품 통정대부 규장각에 특증하는 임명장. 1910년 7월 18일 순종은 83명을 특증하였다. 이때 승훈랑 김병숙은 정3품 규장각 에 추증되었다. 이 문서에는 정확한 날짜가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이

  • 변하진특증문서 / 卞河璡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전 중추원의관 변하진(卞河璡)을 정3품 통정대부 규장각에 특증하는 임명장. 1899년 1월 2일《고종실록》에는 전사과 심상희가 올린 상소가 있다. 이후 1910년 7월 18일 순종은 조령을 내려 83명을 특증하였다. 이때 고 6품 변하

  • 최만리 / 崔萬理 [언어/언어/문자]

    임명되었다. 그 뒤 집현전학사를 거쳐 그 실무책임자인 에까지 올랐다. 개괄적인 관력을 보면, 1427년 3월 교리로서 문과중시에 급제하였고, 그 해 7월에 응교에 올랐으며, 1437년 직제학, 1438년 , 1439년 강원도관찰사, 1440년 집현전으로

  • 김교헌승급문서 / 金敎獻陞級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규장각 김교헌(金敎獻)을 종2품 가선대부에 특승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김교헌은 독립운동가이자 대종교 제2대 교주로 활동한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