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제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7)
사전(177)
- 부제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직과 임시직 등 첨설직(添設職)으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제조는 역시 겸직으로 그 수가 크게 늘어나 제조 외에 도제조‧부제조도 생겨났다. 『경국대전』 이전(吏典) 승문원(承文院) 조에 도제조는 정1품, 제조는 2품 이상, 부제조는 통정대부(通政大夫)인...
- 부제조(副提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제조 부제조 副提調 겸직(兼職), 당상관(堂上官), 제조(提調) 부제주, 부좨주 도제조(都提調), 별와요부제조(別瓦窯副提調), 선수도감(繕修都監) 부제조(副提調), 실안부제조(實案副提調), 제조(提調), 흠경각(欽敬閣) 교정청(校正廳...상위어겸직(兼職), 당상관(堂上官), 제조(提調) | 동의어부제주, 부좨주 | 관련어도제조(都提調), 별와요부제조(別瓦窯副提調), 선수도감(繕修都監) 부제조(副提調), 실안부제조(實案副提調), 제조(提調), 흠경각(欽敬閣) 교정청(校正廳) 부제조(副提調)
- 능답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멋대로 처리함. 무시하고 능멸함. 此非死病 故不藥不針 只是付諸造化兒 任其陵踏而已, 황현(黃玹), 37-3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전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00년에는 제조(提調) 1인, 부제조(副提調) 1인을 늘렸다. 증원된 제조‧부제조는 궁중의 연향가례(宴饗嘉禮) 때에만 차출되어 근무하였다. 『증보문헌비고』 『한말근대법령자료집』Ⅰ∼Ⅴ(송병기 외,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0∼1972)...
- 봉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調) 5인, 주임관인 부제조(副提調) 10인을 두고, 1897년에는 도제조(都提調) 1인을 증원하였다. 개성부와 함경남도에 분봉상사(分奉常司)를 두고 주사를 각 2인씩 두었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고서·고문서(232)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057 B01605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0年 3月 27日_003 ○宗簿提調權愈, 直長元絅, 璿源錄奉安事, 江華府出去。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011 B01601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0年 3月 27日_003 ○宗簿提調權愈, 直長元絅, 璿源錄奉安事, 江華府出去。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026 B01602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1年 12月 1日_002 ○宗簿提調臨陽君桓, 主簿李廷晳, 璿源錄奉安事, 江華府出去。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558 B07555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3年 5月 2日_003 陵參奉李顯敎, 莊陵參奉尹宗植, 恭陵參奉金應圭, 敬陵參奉元雲常依願免本官。 正三品張榮淳任奉常司副提調, 度支參書官趙漢鏞任秘書丞, 從二品朴夏準任奉常司副提調, 秘書丞李範喬, 奉常司副提調洪承斗...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087 B069087 동래 東萊 정치행정 宣祖實錄 六年(1573) 正月 선조실록_10601017_001 ○戊戌 / 承文院啓曰: “東萊府使金啓, 漢語精通, 肄習文臣勸奬事緊, 本職遞差, 副提調仍任何如?” 上從之。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28)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硏成學校附步兵叅領尹錫天 仝金潤昌 仝副尉李義爀 仝李秉純 仝叅尉金漢奎 命休職 六月三日 命修學院長 侍從院卿李道宰 六月十一日 依願免本官 奉常司副提調金憲奎 任奉常司副提調 正三品鄭寬永以上六月十二日 江華郡守李祖鉉 天安呂炳鉉 雲峯李 俊 端川玄昇奎 依願免本官 正三品白喆鏞 任度支部稅...게재일1907년 6월 18일 | 기사분류관보
- 米△世界大博覽會名譽金牌 日本第五回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米△世界大博覽會名譽金牌 日本第五回勸業博覽會第一等賞牌 於其他諸博覽會數多賞牌受領 美滿津商店體育部樂器部製造販賣品 戶外運動器械, 室內運動器械, 兵式體操器械, 樂 器, 運 動 器 械 MM 登 錄 商 標 美滿津商店標本部雜種部製造販賣品 博物學標本, 同實驗用器具材料, 生理學模型,게재일1906년 4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 米△世界大博覽會名譽金牌 日本第五回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米△世界大博覽會名譽金牌 日本第五回勸業博覽會第一等賞牌 於其他諸博覽會數多賞牌受領 美滿津商店體育部樂器部製造販賣品 戶外運動器械, 室內運動器械, 兵式體操器械, 樂 器, 運 動 器 械 MM 登 錄 商 標 美滿津商店標本部雜種部製造販賣品 博物學標本, 同實驗用器具材料, 生理學模型,게재일1906년 4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米△世界大博覽會名譽金牌 日本第五回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米△世界大博覽會名譽金牌 日本第五回勸業博覽會第一等賞牌 於其他諸博覽會數多賞牌受領 美滿津商店體育部樂器部製造販賣品 戶外運動器械, 室內運動器械, 兵式體操器械, 樂 器, 運 動 器 械 M M 登 綠 商 標 美滿津商店標本部雜種部製造販賣品 博物學標本, 同實驗用器具材料, 生理學模型,...게재일1906년 4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 米△世界大博覽會名譽金牌 日本第五回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米△世界大博覽會名譽金牌 日本第五回勸業博覽會第一等賞牌 於其他諸博覽會數多賞牌受領 美滿津商店體育部樂器部製造販賣品 戶外運動器械,室內運動器械,兵式體操器械,樂 器, 運 動 器 械 MM 登 錄 商 標 美滿津商店標本部雜種部製造販賣品 博物學標本, 同實驗用器具材料, 生理學模型, 學術用...게재일1906년 4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13)
-
부제조 / 副提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잡무와 기술계통의 중앙관서에서 겸직으로 각 관아를 통솔하던 정3품 당상관직. 조선시대에 들어와 제조는 역시 겸직으로 그 수가 크게 늘어나 제조 외에 도제조·부제조도 생겨났다. ≪경국대전≫ 이전 승문원조에 도제조는 정1품, 제조는 2품 이상, 부제조는 통정대
-
구관당상 / 勾管堂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비변사의 관직. 비변사는 군국의 중대사를 논의하기 위하여 1517년(중종 12)에 최초로 설치되었으나, 그 뒤 몇 차례 치폐를 거듭하다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이후 상설기관이 되었으며, 도제조·제조·부제조·낭청 등으로 조직되었다.
-
봉상사 / 奉常司 [역사/근대사]
1895년 제례관리, 악공, 제사, 시의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관원으로는 주임관인 장 1인, 판임관인 주사 3인을 두었는데, 1896년에 칙임관인 제조 5인, 주임관인 부제조 10인을 두고, 1897년에는 도제조 1인을 증원하였다. 개성부와 함경남도에
-
승문원 / 承文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대교린에 관한 문서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1411년에 승문원으로 개칭, 도제조 3인, 제조·부제조는 정원이 없으며, 판교 1인, 참교 1인, 교감 1인, 교리 2인, 교검 2인, 박사 2인, 저작 2인, 정자 2인, 부정자 2인이 있고, 그 밖
-
사옹원 / 司饔院 [생활/식생활]
1인, 주부 1인, 직장 2인, 봉사 3인, 참봉 3인 등이고, 자문직으로는 도제조 1인, 제조 4인, 부제조 5인인데 1인은 승지가 겸임, 제거·제검을 합쳐 4인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