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정자” 에 대한 검색결과 6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6)

사전(3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승문원(承文院)‧교서관(校書館)의 종9품 관직. [내용] 정원은 각각 2인이다. 승문원의 는 1411년(태종 11) 종래의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를 승문원으로 개편하면서 처음 1인을 두었다가, 1466년(세조 12) 관제경...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승문원(承文院)과 교서관(校書館)에 두었던 종9품(從9品) 관직.
    정의조선시대 승문원(承文院)과 교서관(校書館)에 두었던 종9품(從9品)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ujeongja | MR표기pujŏngj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녹관(祿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정자(正字), 정직(正職), 참하관(參下官) 권지(權知),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이문(吏文), 초직(初職)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상위어녹관(祿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정자(正字), 정직(正職), 참하관(參下官) | 관련어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이문(吏文), 초직(初職)
  • 승문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승문원(承文院)에 두었던 종9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승문원(承文院)에 두었던 종9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eungmunwon bujeongja | MR표기Sŭngmunwŏn pujŏngj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우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 3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보임되었다. 그뒤, 장령(掌令)ㆍ집의(執義)ㆍ응교(應敎)ㆍ승지 등을 거쳐 강원도관찰사에 이르렀고, 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 『중종실록』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중...
    이칭별칭 언확(彦確)

고서·고문서(283)

  • 承文院尹公【命相】墓誌銘【丙辰】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60 文集 卷十六 ITKC_MP_0597A_0160_010_0140 承文院尹公【命相】墓誌銘【丙辰】 정약용(丁若鏞) 傳記類|碑誌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
    권차명文集 卷十六 | 문체傳記類|碑誌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855년 황신묵(黃愼黙)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55년(철종6)6월에 병조에서 황신묵을 권지승문원(權知承文院)에 임명하는 차첩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1867년 이봉덕(李鳳德)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7년(고종4)에 이조판서가 신급제(新及第) 통사랑(通仕郞) 이봉덕(李鳳德)을 권지승문원(權知承文院)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차첩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전주 교동 남안재
  • 1754년 조석우(趙錫愚) 차정첩(差定帖)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54년 7월에 이조(吏曹)에서 문과 급제 출신인 조석우(趙錫愚)에게 발급한 임명장[差定帖]으로 승문원(承文院) ()의 관직을 받았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67년 기양연(奇陽衍)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7년(고종4)5월에 문과에 새로 급제한 기양연(奇陽衍)에게 권지 승문원 (權知承文院)에 나아가도록 하는 문서이다. 이 문건을 담당하여 시행한 사람은 우부승지조강하(趙康夏)이다. 승문원는 외교문서를 담당하는 승문원의 종9품 관직이다. 권지란 임시직...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신문·잡지(2)

  •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성명서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재()화 하고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는 그들 가(仮) 운동가인 파귀(派鬼)들은 최근에 또 우리의 육안에 호소 되게 되었다. 운운이라 모두(冒頭)에서 논하고 말미에 다음 표어가 있음. 1. 일본 제국주의의 투자를 방지하자! 2. 일본 제국주의 주구배(走狗輩)의 잠입을...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성명서 | 출판물명녕안현귀화한족동향회 성명서(聲明書)
  • 기 위하여 제 시기에 사무적이며 □용적이 되게 하여야 할 것이며 따라서 검열의 결과에 의하여 발로된 결점 퇴치와 들의 처단에 대한 급속한 대책을 취함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인민경리에서의 엄정한 경제 절약 준행을 위한 투쟁에서와 가장 적절 유효하게 재정과 물질...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227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주제어사전(3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문원·교서관의 종9품 관직. 정원은 각각 2인이다. 승문원의 는 1411년(태종 11) 종래의 문서응봉사를 승문원으로 개편하면서 처음 1인, 1466년(세조 12) 관제경정 때 2인으로 증치하여 ≪경국대전≫에 그대로 직제화되었다. 종9품 정자와 함께

  • 석란유고 / 石欄遺稿 [종교·철학/유학]

    장용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 지은이의 6세손 장의진이 갑진(1904)년에 기록한 지가 있다. 1904년 승문원 평해황씨 황헌의 서문과 지은이의 직계 선조와 후손을 명기한 세계도를 본권 앞에 제시하였다.

  • 승문원 / 承文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대교린에 관한 문서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1411년에 승문원으로 개칭, 도제조 3인, 제조·부제조는 정원이 없으며, 판교 1인, 참교 1인, 교감 1인, 교리 2인, 교검 2인, 박사 2인, 저작 2인, 정자 2인, 2인이 있고, 그 밖

  • 심풍지 / 沈豊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8∼1793). 1771년(영조 47)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로 기용되었으며, 병조정랑·부수찬 겸 시강원문학 등을 거쳤다. 이후 수찬·교리·대사성·이조참판·대사간·대사성·대사헌·도승지·예조참판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 유문통 / 柳文通 [종교·철학/유학]

    1438(세종 20)∼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광보 증손, 할아버지는 의, 아버지는 종식, 어머니는 권우의 딸이다. 가학을 이어받았다. 1460년(세조 6) 별시문과에 을과 3등으로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에 제수되었으며, 예산현감, 이조정랑, 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