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정” 에 대한 검색결과 22,8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624)

사전(3,99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민간신앙에서 재앙과 질병을 유발시키는 생리적‧물리적 오예(汚穢 : 더러움) 및 정신적‧윤리적 오예. [내용] 이와 유사한 말로 동티‧살(煞)‧추악(醜惡) 등이 있다. 은 재앙이나 질병을 직접 유발하기도 하고, 그와 함께 이 악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며, 서운관과 사의서의 것들도 1356년(공민왕 5)의 관제개혁에서 없어짐으로써 충선왕 때 설치되었던 ()은 모두 혁파되었다. 그 뒤 1362년 또다시 관제가 개편되면서 이번에는 사복시‧전농시(典農寺)‧서운관‧전의시(典醫寺) 등 네 관서에 종4품, 정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軍資監)‧제용감(濟用監)‧선공감(繕工監)‧사재감(司宰監)‧관상감(觀象監)‧전의감(典醫監)‧사역원(司譯院) 등에도 종3품으로 소속되었다. 종친부의 은 1443년(세종 25) 12월에 정한 종친봉작법 중, 1457년(세조 3) 7월에 다시 정(正)‧영(令)‧감(...
  • TD_E1_D_0263 왕실 柳璥, 崔竩 麗史 D_17_02_22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325 인물 水涯, 女, 舁鼎, 遊戲, 鼎, 壯夫, 吾家, 舊物, 我妹 扶餘, 沸流水 無恤 勾史 D_12_03_07 대동운부군옥 12권 3장 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3장 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4)

  • 한국어 특수 표현 연구 [중국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 플랫폼 구축 | 浙江越秀外國語學院 (Zhejiang Yuexiu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저자 : 김용군 ... | 출판사 : (한국)신성출판사 | 출판일 : 202203
    이 책은 한국어 특수부정 표현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일반부정문과 차이를 보이는 특수부정 표현을 상위언어적 부정, 잉여 부정, 간접 부정 등 세가지로 분류하여 개념과 특징, 사용상의 제약성, 생성 기제와 이해 과정을 밝히고 기존의 논의를 검증하였다. 한국어는 부...
  • 구술을 통해 본 재중 조선족 동포 사회의 정치과정 [재중한인디아스포라:재중한인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 동덕여자대학교]
    저자 : 우병국 ... | 출판사 : 동덕여대 한중미래연구소 | 출판일 : 20140925
    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
    동덕여대 한중미래연구소 재중한인디아스포라 연구팀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재중 한인 디아스포라: 재중 한인 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을 주제로 하여 재중한인사회를 대상으로 문헌 및 구술 자료를 수집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등 실증적인...
  • 중국의 민족정치와 조선족 [재중한인디아스포라:재중한인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 동덕여자대학교]
    저자 : 우병국 ... | 출판사 : 한국학술정보(주) | 출판일 : 20181130
    유형단행본
    그동안 조선족의 정치 분야와 관련해서 시간적, 공간적으로 단편적인 분석들은 많이 이루어졌으나 전체의 시기와 공간을 아우르는 저술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공산당의 민족정책의 흐름과 그에 따른 중국 조선족의 정치적 역정을전체적으로 재구성해 보...
  • 〈당악문헌〉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
    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0.04.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海南尹氏文獻卷之二 正郞公 駱川公 海南尹氏文獻卷之三 公 滄洲公 海南尹氏文獻卷之四 忠憲公 一 海南

논문(4)

고서·고문서(15,820)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전광기기분방 4 2 , 정치인, 강금, 야당총부, 습격, 극력, 대화,...
    대표표제어부정 | 성씨
  • 04855 잡가 19043(A)―A, 19043(A)―B 포리돌 唱鈴 申海中月 大琴 金桂善 長鼓 金玉葉 [2] 아― 얼시고 얼시고 저얼시고 花爛春城萬化方暢(화란츈성만화방창) 는 조타 번님네야 山川景槪求景(산천경개구경)을 가세 竹杖(죽장)을 잡고...
    구분잡가
  • 04857 잡가 19043(B)―A, 19043(B)―B 포리돌 唱鈴 申海中月 大琴 金桂善 長鼓 金玉葉 [2] 아― 얼시고 얼시고 저얼시고 花爛春城萬花芳暢(화란춘성만화방창) 는 좃타 벗님네야 山川景槪求景(산천경개구경)을 가세 竹杖(죽장) 집고
    구분잡가
  • 05256 잡가 19043(C)―A, 19043(C)―B 포리돌 唱鈴 申海中月 大琴 金桂善 長鼓 金玉葉 [2] 아― 얼시고 얼시고 저얼시고 花爛春城萬化方暢(화란춘성만화방창) 는 좃타 벗님네야 山川景槪(산천경개) 求景(구경)을 가세 竹杖(죽장)을...
    구분잡가
  • 05277 잡가 19389―A, 19389―B 포리돌 唱鈴 鮮于一扇 大笒 金桂善 細笛 李炳祐 [2] [一,] 백구야 훨훨 나지마라 너를 잡을 내 아니다 성상이 바리심에 너를 차서 예 왓노라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을 비고 누엇으니 대장부
    구분잡가

구술자료(257)

  • 거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릇을 내지 못해 당 앞에 대충 차린 제물. 돼지 입에는 만원짜리 지폐가 물려 있다. 굿을 하는 현장인 부군성황당을 향해 백마산 중턱을 오르다가 무당 김성호(남?37)를 만났다. 당집의 열쇠를 보관하고 있는 할머니가 딸네집에 출타중이어서 굿을 하지 못하고 열쇠를 ...
    조사일시1985-05-14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 제보자전순남
  • 굿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p align="left">무녀 일행을 따라 현장에 가니 나즈막한 산 위에 범당이 있었다. 당집 자체도 다른 곳에 비해 훌륭했을 뿐 아니라, 근처에 제비원 석불상이 있어서 굿의 영험이 더욱 있다고 믿기 때문에 무당들이 많이 찾아가는 곳이라고 했다. 뒤에는 삿갓바...
    조사일시1981-11-06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시 이천동 | 제보자김경화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item id="213" 서지id="tsu_0585" 기사서지id="Q_0585_205_0602_0604"><refdesc><classInfo>강원도/속초시‧양양군/서면</classInfo><indexInfo/></refdesc><classserial>[서면 무가 ...
    조사일시1981-10-02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서면 | 제보자김남수
  • 굿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황해도 은률출신이기 때문에 자기도 황해도에서 행하는 대로 하겠다고 했다. 이 초부정굿을 제보자는 산천굿이라고도 불렀다. 약 40 분 동안을 서서 노래와 춤으로 엮어나갔다. 무녀의 복식은 그런대로 갖추었는데, 얼핏 보기에도 값비싼 것 같았다. 붉은 바탕에 청...
    조사일시1983-01-08 | 조사장소경기도 인천시 중구 | 제보자김온전
  • 거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해원굿을 하게 된 연유를 간단히 정리해 본다. 굿을 의뢰한 제주는 40대 중반의 가장으로서 위로 모친과 조부를 모시고 아래로는 출가한 여동생, 그리고 고등학교와 국민학교에 다니는 아들이 둘 있으며, 부모 없는 20대의 사촌동생이 이웃에 있어서 돌보아 주어야 할 형...
    조사일시1982-12-29,1982-12-30 | 조사장소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 제보자이춘욱

기초학문(233)

  • 전제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기웅, 게재일 : 1999
    07994 이기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학회 1999 전제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3e146a201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조건문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원배, 게재일 : 2014
    47636 최원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범한철학회 2014 조건문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이오네스코의 ()의 글쓰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형섭, 게재일 : 2015
    62449 박형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프랑스학회 2015 이오네스코의 ()의 글쓰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순환과 고대영어 문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혜리, 게재일 : 2005
    06190 김혜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현대문법학회 2005 순환과 고대영어 문장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두 가지 극성과 다른 상위언어적 의 부사어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민, 게재일 : 2010
    25601 이정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학회 2010 두 가지 극성과 다른 상위언어적 의 부사어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504)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은 각부 부원쳥에셔 모다 폐무가 되얏더라
    게재일1907년 7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부부원쳥에셔 음력졍월 보름 명졀로 작일부터 휴가로 일톄뎡무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부에셔 한식명졀로 일일을휴가야 금일은뎡무고 명일부터 시무다더라
    게재일1906년 4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부에셔 음력졍월 상원명졀을 유락기 위야 작일부터 금일지 휴가야 공무뎡지얏 명일부터 다시 진시무다더라
    게재일1906년 2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포화도에셔 윤병구씨가 쥬장야 발간시신보졍이군졸야 뎡지되얏고 신죠신문은 그먼져폐지되얏더니 근일에한셩신보와 대동신보가 뎡지된지라한셩신보 비록외국인의 쥬장이나우리나라에 쳐음으로 창간바이더니 이졔폐지되고 다시통감부 긔관신문이된다더라
    게재일1906년 8월 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96)

  • 선거 책임자 공판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60년 7월 5일 서울지방법원에서 3.15 선거 책임자에 대한 공판이 열렸다. 이날 재판에 출두한 피고인들에는 자유당원, 은행가, 이승만 정권에서 활동한 정치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0년 7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3.15 선거 원흉 공판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3‧15선거 당시 위법행위로 기소된 최인규, 이성우, 이강학, 최병환 등 30명의 피고에 대한 첫 공판 소식을 알리는 영상이다. 피고인들과 많은 방청객 및 기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지방법원(구 대법원청사)에서 열린 재판의 모습을 실제 심문 육성과 함께 보여주고 있으며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0년 7월 6일 | 제작공보처
  • 검찰총장 기자회견(선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67년 6월 8일에 실시된 선거에서 선거로 문제가 된 군산, 화성, 평택, 영천, 대전에서 보성경찰청장을 비롯한 관계자 23명이 구송되었다고 신직수 검찰총장이 기자회견을 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7년 6월 17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피동,사동_7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피동,사동 8주차. 보조용언 9주차. 내포절과 어미 37주차.
    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피동,사동_7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피동,사동 8주차. 보조용언 9주차. 내포절과 어미 38주차.
    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713)

  • ;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5836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80면 (학과)본과신제도 양;楊 경부선 대전철도관사 14회 1936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천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6219 남한 경성 경성전기학교 1-15 졸업앨범 1942 0 천전 함경남도 북청군 신창면 토성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전기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산;金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6562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123면 32. 제32회 졸업생(69명) 소화20년 3월 23일 금산;金山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9383 남한 충남 대전직업학교 2-21 제2회졸업기념사진첩 1943―03 4면 아장;阿藏 충청남도 대전부 춘일정1정목 10 제2회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대전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헌;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5491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7호 1936―04―05 162면 아헌;阿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0)

주제어사전(189)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종친부·사복시·훈련원 등을 비롯하여 많은 관아에 설치된 종3품 관직. 종3품직으로 태종(太宗) 14년 1월 관제개정때에 종래의 소감(少監)이 ()으로 개칭되었으며, 종친부의 ()은 세조(世祖) 3년 7월 종실의 직질이 제정될 때 종3품직으

  • 극어 / 極語 [언어/언어/문자]

    문맥에서만 쓰일 수 있는 자질을 가진 극성어. 문은 극어를 허가(통제/확인)할 수 있는 어를 갖고 있는 문장이다. 극어를 허가할 수 있는 어는 ‘부인하다, 불행하다, 비인간적, 무정하다, 몰인정하다’ 등과 같은 ‘어휘적 어’와 ‘아니-

  • 법 / [언어/언어/문자]

    문장이나 문장의 어떤 성분을 하여 말하는 문장 구성의 한 방법. 에는 ‘아니, 못’과 같은 소(素)를 이용하는 방법과 ‘비현실적, 불이익, 무관계, 미성년, 몰취미’ 등과 같이 접두사 ‘비(非)·, 불(不)·, 무(無)·, 미(未)·, 몰(沒)·’

  • 자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문원·교서관의 종9품 관직. 정원은 각각 2인이다. 승문원의 자는 1411년(태종 11) 종래의 문서응봉사를 승문원으로 개편하면서 처음 1인, 1466년(세조 12) 관제경정 때 2인으로 증치하여 ≪경국대전≫에 그대로 직제화되었다. 종9품 정자와 함께

  • 회귀 / 回歸 [언어/언어/문자]

    옳지 않다고 생각되는 어형을 올바르다고 생각되는 것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오히려 바른 어형까지 잘못 고쳐버리는 것. 주로 우월한 방언에 대하여 그렇지 못한 지역 및 사회방언의 사용자가 말을 고상하게 하려는 의도나 방언적·비속어적(卑俗語的)인 냄새가 있는 말을 지나치게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