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전음”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 [내용] 체아직(遞兒職) 녹관(祿官)이었으므로 장악원이 매년 네 차례 추천서를 이조에 보고하여 사령서를 받았다. 성종 때 처음 보이고, 품계는 종8품이었다. 모두 4인으로 악생(...
  • 전악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장악원(掌樂院)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정6품 잡직(雜織). 전악은 아래로 종6품 부전악(副典樂), 정7품 전율(典律), 종7품 부전율(副典律), 정8품 전음(典音), 종8품 (), 정9품 전성(典聲), 종9품 부전성(副典聲) 모두를 거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이원(梨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원 이원 梨院 궁내부(宮內府), 정삼품아문(正三品衙門) 교방(敎坊), 우방(右坊), 좌방(左坊) 교방사(敎坊司) 경성아악대(京城雅樂隊), 공인(工人), 부전성(副典聲), 부전악(副典樂), 부전율(副典律), (), 악사(樂師)...
    상위어궁내부(宮內府), 정삼품아문(正三品衙門) | 하위어교방(敎坊), 우방(右坊), 좌방(左坊) | 동의어교방사(敎坊司) | 관련어경성아악대(京城雅樂隊), 공인(工人), 부전성(副典聲), 부전악(副典樂), 부전율(副典律), 부전음(副典音), 악사(樂師), 악생(樂生), 악장등록(樂掌謄錄), 연방원(聯坊院), 우방서직(右坊署直), 장악원(掌樂院), 장악정(掌樂正), 장악주부(掌樂主簿), 장악직장(掌樂直長), 장악첨정(掌樂僉正), 전성(典聲), 전악(典樂), 전율(典律), 전음(典音), 좌방서직(左坊署直), 해동악부(海東樂府)
  • 전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르고 정5품의 품계로 한 등급 올렸다. 영조 때에는 전악 1인을 추가하였는데, 전악은 체아직 녹관 중에서 우두머리로서 전율(典律, 정7품)‧부전율(副典律, 종7품)‧전음(典音, 정8품)‧(, 종8품)‧전성(典聲, 정9품)‧부전성(副典聲, 종9품)을 거...
    이칭별칭협궁(協宮)
  • 전악(典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악원의 음악인들이 승진할 수 있는 정6품의 최고직이다. 전악은 태종대에 처음 생겼으며, 장악원 체제로 통합된 뒤 정6품의 전악 1명을 두었다. 전악은 체아직 녹관(祿官) 가운데 우두머리로서 정7품 전율(典律)·종7품 부전율(副典律)·정8품 전음(典音)·종8품 (...
    상위어정육품(正六品) | 관련어장악원(掌樂院), 집박전악(執拍典樂), 집사전악(執事典樂), 풍물차지전악(風物次知典樂)

고서·고문서(1)

  • 직품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典音[各二人][四人]典聲[十人]副典聲[二十三人] 「」 昭格署 「」尙道[一人]志道[同上] 「」 掌苑署 「」愼花「」愼果「」愼禽「」副愼禽[各一人] 「」「」愼獸「」副愼獸[各三人] 「」 掖庭署 掌傳謁及供御筆硯 闕門鎖鑰 禁庭鋪設 「」「」「」「」之任 「」「」司謁「」司...
    대표표제어직품략 | 편명_제목직품략_이전관직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의 하나. 성종 때 처음 보이고, 품계는 종8품이었다. 모두 4인으로 악생 1인, 아공 3인으로 구성되었다. 실제의 음악을 담당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 인원은 영조 때에도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