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전율”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 [내용] 체아직(遞兒職) 녹관(祿官)이었으므로 장악원이 매년 네 차례 추천서를 이조에 보고하여 사령서를 받았다. 1409년(태종 9)에 처음 생겼으며 전악서(典樂署)에 5인, 아악서(雅...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악서(雅樂署), 악공(樂工), 악생(樂生), 장악서(掌樂署), 전악(展樂), 전음(典音)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신명호 [정의] 장악원에 속한 종7...
    관련어아악서(雅樂署), 악공(樂工), 악생(樂生), 장악서(掌樂署), 전악(展樂), 전음(典音)
  • 전악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장악원(掌樂院)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정6품 잡직(雜織). 전악은 아래로 종6품 부전악(副典樂), 정7품 전율(典律), 종7품 (), 정8품 전음(典音), 종8품 부전음(副典音), 정9품 전성(典聲), 종9품 부전성(副典聲) 모두를 거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전악서(典樂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악서 전악서 典樂署 예조(禮曹) 잡직(雜織), 전악(典樂), 부전악(副典樂), 전율(典律), (), 직율(直律) 아악서(雅樂署), 장악서(掌樂署), 향악(鄕樂), 아악(雅樂)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상위어예조(禮曹) | 하위어잡직(雜織), 전악(典樂), 부전악(副典樂), 전율(典律), 부전율(副典律), 직율(直律) | 관련어아악서(雅樂署), 장악서(掌樂署), 향악(鄕樂), 아악(雅樂)
  • 이원(梨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원 이원 梨院 궁내부(宮內府), 정삼품아문(正三品衙門) 교방(敎坊), 우방(右坊), 좌방(左坊) 교방사(敎坊司) 경성아악대(京城雅樂隊), 공인(工人), 부전성(副典聲), 부전악(副典樂), (), 부전음(副典音), 악사(樂師)...
    상위어궁내부(宮內府), 정삼품아문(正三品衙門) | 하위어교방(敎坊), 우방(右坊), 좌방(左坊) | 동의어교방사(敎坊司) | 관련어경성아악대(京城雅樂隊), 공인(工人), 부전성(副典聲), 부전악(副典樂), 부전율(副典律), 부전음(副典音), 악사(樂師), 악생(樂生), 악장등록(樂掌謄錄), 연방원(聯坊院), 우방서직(右坊署直), 장악원(掌樂院), 장악정(掌樂正), 장악주부(掌樂主簿), 장악직장(掌樂直長), 장악첨정(掌樂僉正), 전성(典聲), 전악(典樂), 전율(典律), 전음(典音), 좌방서직(左坊署直), 해동악부(海東樂府)

고서·고문서(5)

  • 掌樂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律ㆍ典聲二名。○又按 典律十人,則其六人,也。典聲三十六人,則其十八人,副典聲也。【例見前】○又按 《周禮》樂官之屬,有樂師ㆍ典同ㆍ大胥ㆍ小胥ㆍ大師ㆍ小師ㆍ磬師ㆍ鍾師ㆍ笙師ㆍ鎛師ㆍ韎師ㆍ旄人ㆍ籥師ㆍ籥章ㆍ瞽矇ㆍ眡瞭諸名。今擬典律ㆍ典聲之中,八音諸師,歌舞諸工,各各分掌,使之專治,乃有成效,不可...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 第三統統首李石乙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年伍己巳庚午戶口相准 第四戶 牧子權守仁年參拾甲辰本安東主府居金尙右父良人於仁者未祖良人 介孫曾祖不知外祖薛月本文化妻私婢全禮年參拾甲辰伊祖銀立 曾祖不知外祖金山石乙伊本金海庚午戶口相准 第五戶 水營二道物膳軍崔貴石年伍拾甲申本慶州父龍鶴祖厚邑時曾祖不 知外祖金厚邑先本金海妻私婢金德今故主...
    연도_면이름1753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三猪田浦
  • ○양증조부의 기제인데, 내가 지낼 차례이므로 제사를 차려서 지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戌, 陰, 昏灑雨。 ○○○養曾祖考忌祭當次, 設祀行過。○兒習書。午因鷹死, 悲泣目赤。吾亦見此, 不平於心。○高郞金以死鷹來納曰“昨日逐雉, 爲犬所咬, 腸潰卽斃”云云。二牙山行犬咬之云云。此亦厄也, 奈何。○淑吉固求大丘官借鷹書狀。故勉循而爲之, 付高郞金使往呈。○奴終萬柱, 躓顚壓木...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직품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烹夫[七人] 「」 尙衣院 「」工製[四人]工造[一人]工作[三人] 「」 司僕寺 [馬醫十人]「」安驥「」調驥「」理驥「」保驥[各一人] 「」 軍器寺 「」工製[五人]「」工造「」工作[二人] 「」 繕工監 「」工造「」工作[各四人] 「」 掌樂院 「」典樂[一人]副典樂「」典律「」...
    대표표제어직품략 | 편명_제목직품략_이전관직
  • 渡江錄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仰首視天, 或緊閉雙眼 眼 : 저본에는 ‘目’으로 되어 있으나 ‘행계3’에 의거해 수정함. , 或强顔嬉笑. 廝隷皆解鞍肩荷而渡, 意其恐濕也. 旣渡者, 又肩荷而返, 怪而問之, 蓋空手入水, 則身輕易漂, 故必以重物壓肩也. 數次往返者, 莫, 山間水氣甚冷故也. 中火草河口,...
    대표표제어渡江錄 | 목차熱河日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의 하나. 1409년(태종 9)에 처음 생겼으며 전악서에 5인, 아악서에 3인이 배속되었다. 당시의 품계는 종8품의 조협랑이었다. 그 뒤 성종 때에는 장악원에 2인이 배속되었고, 품계는 종7품이 되었다. 임무는 정6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