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전수” 에 대한 검색결과 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내수사(內需司)의 종6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내수사는 왕실 직영의 토지‧노비 기타 재산을 관리하던 관서로서 정직(正職)으로는 정5품인 전수와 밖에 없었다. 그러나 무록관(無祿官)인 별좌(別坐)‧별제(別提)와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왜장으로, 서울의 총대장을 맡았으며, 이후진주성을 공략할 때 성의 동쪽을 공격하고, 성이 함락되자 잔치를 열어 즐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대부(隊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담당하였으나, 점차 노역에 종사하게 되면서 별도의 병종으로 간주되었다. 1444년(세종 26)에 무반의 잡직 관계(官階)가 따로 만들어지면서 잡직 종9품으로 고정되었다. [용례] 今發農民 轉輸大鐘 誠爲未便 願令隊長隊[『태조실록』 7년 4월 6일] ...
    관련어대졸(隊卒), 오위(五衛), 잡직(雜織), 팽배(彭排)
  • 내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內需所)로 개칭, 개편하였다. 그 뒤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개편할 때 격을 올려 내수사라 개칭하고, 공식기구로서의 직제를 갖추게 되었다. ≪경국대전≫의 직제에 의하면 전수(典需, 정5품) 1인, 별좌(別坐, 정5품‧종5품) 각 1인, (, 종...
  • 효봉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있고, 사좌전송‧증호에서는 “법시운봉원명선사……, 금강산신계사보운선원은법도우임석두설(法示雲峰元明禪師……, 金剛山神溪寺普雲禪院恩法道友林石頭說).”이라 하였다. 이로부터 학눌은 처음에는 운봉(雲峰)이라 하였고, 법명은 원명(元明)이며, 처음 득도한 스승이...

고서·고문서(44)

  •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二 【拾遺】啓 52 司憲避嫌啓 40_065_042.jpg 司憲避嫌啓 臣等於昨日辭避之事, 議論雖些少不同, 而固無角立不相容之意。 今見獻納成泳避嫌之辭, 則歷詆臣等所失, 非止一事, 物議譁然非之云。 臺諫旣被物論, 則不可强顏冒出以虧損體貌, 請命遞...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黃海道 庄土文績_제51책 : 黃海道載寧郡余勿坪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5. 內需司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794년(정조 18) 3월 3일 金 도 (군/현) (면/방) 19303_51.pdf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24 B000124 가덕도 加德島 도서 경상남도 中宗實錄 三十九年(1544) 五月 중종실록_13905021_003 ○兵曹啓曰: “加德島設鎭與否, 前議以爲隨後更議云。 今當倭變, 倍加措置, 備禦之時, 更議何如?” 傳曰: “備邊司堂上及兵曹政, 會議可也。”
    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內需司]庄土文績_제20책 : 龍洞宮ニ關スル文績類 51. 康熙二十五年正月日內需司立案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로x세로), 한지, 관인, 慶淑君主房에 발급하는 입안 1686년(숙종 12) 1월 일 別提 李/ 李/別坐 尹/典需 尹 別提 李/ 李/別坐 尹/典需 尹 內需司 內需司 도 (군/현) (면/방) 19307_20.pdf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洪判書山亭夕眺【洪公諱名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kr/inLink?DCI=ITKC_MP_0597A_0010_020_1020_2014_001_XML 001 紫閣含餘照,林墟散夕禽。稠甍敷遠色,曾陰。恬靜存遺躅,蕭條愴客心。司徒今白首,歲暮有知音。 192쪽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내수사의 종6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내수사는 왕실 직영의 토지·노비 기타 재산을 관리하던 관서로서 정직으로는 정5품인 전수와 밖에 없었다. 그러나 무록관인 별좌·별제와 서로 바꾸어 가며 임명되었다. 1466년(세조 12) 관제경정 때 종전의 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