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적” 에 대한 검색결과 4,0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70)

사전(1,123)

  • TD_N2_J_0004 장신구 穿林, 取水, 軍持, 草履, 賤易得, 不假借, 梵語, 甁, 常貯水, 隨身淨手 古詩, 爾雅 J_07_02_01 지봉유설 7권 2장 1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7권 2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길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복을 기원하는 부적.
    정의복을 기원하는 부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lsang bujeok | MR표기kilsang puj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벽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귀나 액 또는 나쁜 운수 등을 물리치는 부적.
    정의사귀나 액 또는 나쁜 운수 등을 물리치는 부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yeoksa bujeok | MR표기pyŏksa puj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M2_D_0025 種麻 어업 索而爲網, 捕魚 關東, 高城 勝覽 D_20_02_42 대동운부군옥 20권 2장 4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2장 4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노래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음력 2월 초하룻날 농가에서 대청소를 하면서 노래기를 없애기 위해 붙이는 . [내용] 보통 ‘香娘閣氏千里速去(향랑각시천리속거)’라고 을 쓰며, 기둥이나 벽‧서까래 등에 거꾸로 붙인다. ‘향랑각시’는 흔히 ‘노낙각시’라고 하는데,...

단행본(1)

  • 한국의 졸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저자 : 김수정 ... | 출판사 : 해남 | 출판일 : 20230427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전례 없는 경제적 성공은 이민자와 한국 산업 내의 외국인 노동자 수를 크게 증가시켰다. 이제 다문화 사회가 된 한국에서 외국인들과 ‘새로운’ 한국인들이 겪은 차별과 인종주의 경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종에 관한 한국의 담론들은 공통적으로 한...

논문(3)

고서·고문서(1,526)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세 유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상지현(尚志县) 수남촌 3 3 세, 시간, 부친, 일본, 이야기, 수고, 고국,
    대표표제어세부적 | 성씨
  • 萬物門3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 국중본(가)ㆍ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이 단락이 없다. 와세다대본에 따라 보충한다. 《喪服ㆍ疏》: “繩菲, 漢時謂之, 謂凶屨不得從人借, 亦不得借人.” 然《古今註》: “漢 文帝履以臨朝.” 若因凶屨而得名, 文帝雖儉, 亦不必用矣. 其義謂, 以賤不待相借而...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청림교(靑林敎) ()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모년 4월에 청림교에서 만든 이다. 청림교는 창시자는 동학교도였던 남정으로, 교단명칭은 그의 호인 '청림'에서 유래했다. 문서에는 金자가 쓰인 원형 도장이 찍혀 있다. 청림교는 동학 계통의 신흥종교로 은청림(隱靑林)과 현청림(顯靑林)의 두 파가 있다. 은 잡귀...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험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신비의 영대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신비의 영대사전 인문학 철학 동양철학 신비의 영대사전 김백만 편저 관음출판사 서울 1994 전문사전; 민속; ...
    대표표제어신비의 영부적대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철학 | 소분류동양철학
  • 대사전(2권)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대사전(2권) 인문학 종교학 무(巫)교 대사전(2권) 오현리 엮음 동학사 서울 2003 전문사전; 민속; ...
    대표표제어부적대사전(2권)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종교학 | 소분류무(巫)교

구술자료(53)

  • 강감찬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11-03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 제보자김문현
  • 일본 20161216_033_011_일본_01_코마츠미호_F_야만바와 세 장 민담 야만바와 세 장 2016. 12. 16(금) 오후 강원도 강릉시 교동 강릉문화원 코마츠 미호 [일본, 여, 1969년생, 결혼이주 20년차] 조사자 포함 3인 박현숙, 김민수
    국가일본 | 제보자코마츠 미호 [일본, 여, 1969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일본 20161217_033_022_일본_01_모우에히로꼬_F_야만바와 세 장 민담 야만바와 세 장 2016. 12. 17(토) 오후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읍하리 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조사자 포함 4인 박현숙, 김민
    국가일본 | 제보자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일본 20170501_032_015_일본_01_노마치 유카_F_야만바와 세 장 민담 야만바와 세 장 2017. 05. 01(월) 오전 인천시 부평구 삼산동 노마치 유카 [일본,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0년차] 조사자 3인 신동흔, 조홍윤, 황승업
    국가일본 | 제보자노마치 유카 [일본,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으로 개미를 없앤 강감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하 12도의 매서운 추위와 차갑고 강한 바닷바람 탓인지 거리에 다니는 사람이 없었다. 식당 주인의 소개로 김덕호 댁을 방문했다. 방문한 취지를 설명하자 이미 여러 조사자가 다녀갔음에 구비문학 조사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다. 조사자들을 만나자 고성군의원이었던 당...
    조사일시2010. 1. 13(수) | 조사장소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4리 2반 김덕호 자택 | 제보자김덕호(#)

기초학문(84)

  • 從說服視點看漢修辭方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림, 게재일 : 2006
    39095 이정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인문학회 2006 從說服視點看漢修辭方式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抗戰時期國民政棉業統制政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70077 한국연구재단 四川省社會科學院 2014 抗戰時期國民政棉業統制政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또래 따돌림과 심리사회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인경, 게재일 : 2000
    13371 김인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 사회문제 심리학회 2000 또래 따돌림과 심리사회적 응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이라크 전쟁 중 미군의 군사혁신: 내 그리고 외 군사혁신 이론의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병구, 게재일 : 2014
    45214 이병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4 이라크 전쟁 중 미군의 군사혁신: 내 그리고 외 군사혁신 이론의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중학교 진학 후의 심리적 응을 예측하는 요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현희, 게재일 : 2003
    15239 정현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청소년상담원 2003 중학교 진학 후의 심리적 응을 예측하는 요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645)

  • 演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문밧 동립관 엽헤 잇 국민연셜 일진회에셔 건츅 바인 근 각단톄에셔 빌어 쓰 일이 죵죵 잇셧스나 혹 챵호도 지며 쟝원도 문허지고로 일진회에셔 다시 빌니지 안키로결뎡 엿다더라
    게재일1907년 6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상공부에셔 광산기감거지부춍승씨의 쳥구를인야 외교고문 슈지분씨의 드럿던관뎨를표품진열소로 인허라고 탁지부에쳥구얏더니 탁지부에셔 회답기를 슈지분씨의 이졉기를기다려 인허로라지라 작일 농상공부에셔  죠회기를 슈지분은 임의옴겨가고 표품진열은 졈졈시급니 그 집...
    게재일1906년 9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통감부 통신국에셔 졍부로공함기를 관보도 삼죵우쳬물로인허바 본규측 데륙죠를의거야 관보를발간로 한장식의례이보여 고열케고라엿더라
    게재일1906년 5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 즙안현관원이 솔군고 도젹을잡는 강계군에 챠도로 공문말은 이왕긔엿거니와 부에셔 외부로 죠회기를 외국인에 챠도는 건이 교셥건인즉 부에셔권한이업시니 외부에셔 쳥공와판리야귀졍라얏더니죠복기를챠도여부권한이 본국에잇슨즉 쳥공와 상의것도업고 ...
    게재일1903년 3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國民臺의國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양졍의슉에셔 박동 보셩젼문학교와 법관양셩소 학원을 쳥야명일에 국민연셜에셔 연합도론회를 다은 임의긔 얏거니와 일진회에셔 국민연셜를 빌녀쥬지 안이야 림시낭가 될모양임으로 셰금을 쥬고라도 긔어히 차득다더라
    게재일1907년 6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70)

  •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1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국제관계연구소https://k-road.kr/)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통일에는 내 통일과 외 통일이 있다. 내 통일은 민족주의에 기반한 통일이고, 이를 위해서는 민족 동질감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남북한 간
    강좌제목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 주차별강좌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1차시
  •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2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국제관계연구소https://k-road.kr/)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통일에는 내 통일과 외 통일이 있다. 내 통일은 민족주의에 기반한 통일이고, 이를 위해서는 민족 동질감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남북한 간
    강좌제목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 주차별강좌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2차시
  •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3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국제관계연구소https://k-road.kr/)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통일에는 내 통일과 외 통일이 있다. 내 통일은 민족주의에 기반한 통일이고, 이를 위해서는 민족 동질감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남북한 간
    강좌제목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 주차별강좌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3차시
  •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4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국제관계연구소https://k-road.kr/)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통일에는 내 통일과 외 통일이 있다. 내 통일은 민족주의에 기반한 통일이고, 이를 위해서는 민족 동질감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남북한 간
    강좌제목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 주차별강좌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4차시
  •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5차시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국제관계연구소https://k-road.kr/)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통일에는 내 통일과 외 통일이 있다. 내 통일은 민족주의에 기반한 통일이고, 이를 위해서는 민족 동질감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남북한 간
    강좌제목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 주차별강좌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_1주차_5차시

기타자료(365)

  • 사회적 응아의 지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사회적 응아의 지도 사회적 응아의 지도 교육 문헌 교육과정 학습지도 교육과정 생활지도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장기현 | 사료철명교육경남
  • kk4-0029 2014-02-17_0.8523523_경산 신대‧ 조선묘군 표지.JPG 경산 신대∙ 조선묘군 慶山 新垈‧ 조鮮墓群 2008 (재)성림문화재연구원 563 박광열,김창억,김대덕,도영아,우진호 박광열,김창억,김대덕,서...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재)성림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아동의 응행동과 가족치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아동의 응행동과 가족치료 아동의 응행동과 가족치료 兒童의 應行動과 家族治療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성수 | 사료철명행동과학연구
  • 여고생의 생활 응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여고생의 생활 응에 대한 사례연구 여고생의 생활 응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 문헌 중등교육 학생생활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견기 | 사료철명부산교육
  • 응아의 실태와 지도의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응아의 실태와 지도의 실제 응아의 실태와 지도의 실제 교육 문헌 교육과정 학습지도 교육과정 생활지도 교육총류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명순 | 사료철명교육경남

연구과제(22)

주제어사전(56)

  • / [종교·철학]

    재앙을 방지하고 귀신을 쫓기 위해 사용하는 것. 의 재료는 종이, 돌, 나무, 청동, 바가지, 대나무 등이다. 이 중에서 종이로 만든 이 가장 많이 쓰인다. 의 그림은 용, 호랑이, 독수리 등의 동물과, 해, 달, 별 등이 많으며, 주문으로는 범어 가운데

  • 구산서원 / 龜山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면 부황리에 있었던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윤전(尹烇)·윤순거(尹舜擧)·윤원거(尹元擧)·윤문거(尹文擧)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

  • 방고감전별감 / 房庫監傳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1273년(원종 14)에 설치된 전지공안과 별고노비의 천적을 담당하던 기관. 정규의 중추관부로서 노비의 (장부와 문서)과 결송을 관장하는 도관의 관련 관부인데, 특히 내방고(內房庫) 및 내장택(內莊宅)과도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관원으로서는 내시참상(內侍參

  • 백년한 / 百年恨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번역소설. 명대(明代)의 『금고기관(今古奇觀)』 중의 「왕교란백년장한(王嬌鸞百年長恨)」을 번역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번역물로, 줄거리는 같지만 세인 내용에 있어서는 상당한 윤색이 가해져 있다. 우리 고전소설의 말기작품인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

  • 옥추경 / 玉樞經 [종교·철학/도교]

    병굿이나 신굿 등에서 읽는 도가의 경전. <경국대전>에 도류가 읽는 도서로 전하고 있다. 현존하는 옥추경은 1831년 묘향산 보현사에서 간행한 것으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책머리에 44신상의 판화가 있고, 끝에는 이 있다. 이 경을 읽으면 천지귀신이 다 움직인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