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응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1)
사전(368)
- 부응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관은 조선시대 최고의 문필기관으로서 관원은 품계의 고하에 상관없이 핵심 청요직(淸要職)으로 간주되었고, 경연관(經筵官)‧사관(史官)‧지제교(知製敎)를 당연직으로 겸직하였다. 따라서 부응교는 경연시강관(經筵侍講官)‧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지제교를 당연직으로...
- 부응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홍문관의 종4품 관직.정의조선시대 홍문관의 종4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ueunggyo | MR표기puŭngg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부응교(副應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응교 부응교 副應敎 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응교(應敎),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교리(校理) 강독관(講讀官), 겸직(兼職), 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사관(史官), 시강관(侍講官),...상위어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응교(應敎),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 하위어교리(校理) | 관련어강독관(講讀官), 겸직(兼職), 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사관(史官), 시강관(侍講官), 실록청(實錄廳), 예문관(藝文館), 지제교(知製敎), 집현전(集賢殿), 춘추관(春秋館), 편수관(編修官)
- 金振宗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617 金振宗 남자 副應敎, 乙巳禍, 天性方嚴, 器局弘偉 戊子 善山, 淳昌 孝善, 籠巖澍, 中廟, 仁廟, 許之, 三百 D_08_02_35 대동운부군옥 8권 2장 3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2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낙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여주거나 성주목(星州牧)에 예속시켜줄 것을 청원하는 상소문이다. 「재사부응교잉진시폐소(再辭副應敎仍陳時弊疏)」는 홍문관부응교를 거듭 사임하겠다는 내용과 당시 관리들의 민폐의 시정을 촉구하는 상소로, 서원의 정비로 교육방침 개선, 토호(土豪)의 억제, 교관(敎官)의...
고서·고문서(213)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624 B01662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5年 2月 14日_003 ○副應敎閔維重, 穀物摘奸事, 江華府出去。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626 B01662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5年 2月 14日_003 ○副應敎閔維重, 穀物摘奸事, 江華府出去。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60년 이수인(李壽仁) 고신(告身)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60년 2월 21일에 현종이 이수인에게 통훈대부 행홍문관부응교지제교겸경연시강관춘추관편수관의 관직을 내리는 교지이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연안이씨종중문적박물관
- 거제현령(巨濟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220 B018220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9年 6月 5日_002 ○謝恩, 護軍李景奭, 副應敎李行遇, 執義柳景緝, 持平李天基, 巨濟縣令南恕。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제현령(巨濟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237 B018237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9年 6月 5日_002 ○謝恩, 護軍李景奭, 副應敎李行遇, 執義柳景緝, 持平李天基, 巨濟縣令南恕。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6)
-
부응교 / 副應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의 종4품 관직. 정원은 1인이었다. 1470년(성종 1) 예문관을 확장하여 혁파되었던 집현전의 기능을 부활시키면서 처음 설치되었고, 1478년 홍문관이 예문관에서 분리, 개편되면서 그대로 정제화되었다.
-
시강관 / 侍講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의 정4품 관직. 태조 때에는 고려의 제도인 강독관 4인을 두었는데, 정종 때에 시강관과 시독관으로 분리하였다. 세종 때에는 집현전의 부제학이 이를 겸하였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직제학·전한·응교·부응교가 이를 겸하였다.
-
성덕우 / 成德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2∼1827). 1783년(정조 7) 정시문과에 급제한 뒤 이듬해 홍문록에 올랐다. 1785년에 부교리가 되어 혹서기라 하여 경연을 중지하는 데 대해 그 불가함을 상소하였다. 1789년에 부응교가 되고 이어서 사간·교리를 거쳐 이조참의를 역임
-
송정명 / 宋正明 [종교·철학/유학]
1670(현종 11)∼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시철 증손, 할아버지는 광순, 아버지는 징은이다. 어머니는 민도의 딸이다. 부인은 김우항의 딸이다. 1699년(숙종 2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좌랑, 이조정랑, 부응교 등을 역임하였다.
-
신병휴 / 申炳休 [종교·철학/유학]
1854년(철종 5)~미상. 조선 말기 문신. 증조는 신현록, 조부는 신응모, 부친은 신만구이다. 생부는 신헌구이다. 1887년(고종 24) 정시에 병과 2위로 급제하였고, 사헌부정언, 홍문관부응교, 승정원동부승지, 내무아문참의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