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4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365)
사전(1,556)
- 부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백제의 무근촌현(武斤村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무읍(武邑)으로 고쳐 김제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태조 때 부윤으로 고쳤고, 현종 때 임피현(臨陂縣)에 귀속시켰다가 뒤에 만경...이칭별칭무근촌현(武斤村縣)|무읍(武邑)
- 부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 지방행정구역의 단위인 부(府)의 장관직. [내용] 원래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며 평양‧한양‧경주(鷄林)에 두어졌다. 조선시대에는 종2품의 문관이 임명되었는데, 부윤이 두어진 지역별로 그 설치시기가 일정하지 않다.
- 부윤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부연광과 상씨부인의 아들이다. 동생 부월혜가 장원흥과 혼약을 한 뒤, 장씨집안 사람들이 몰살하자 연광의 뜻을 이어 몰래 월혜의 혼인을 추진하다가 월혜가 가출을 한다 월혜가 양양강에서 원흥을 만나. 혼인을 한 뒤 사돈인 화씨부인의 오해를 사다가강에 빠져 죽었다는 이야기를...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부윤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절강부 부윤으로, 현이 서달을 이기고 돌아오자, 황제가 현의 어머니와 아내에게 직첩을 내리니, 황제의 교지를 받아 승상 집에 바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부윤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누급이 범한을 죽이고 자수하자, 그들의 집을 탐색한다. 난수와조월향을 잡으며, 화씨 가문에 세전하는 보물인 청옥패와 홍옥패 등을 찾아낸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1,011)
- 烈婦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10 文集 卷十一 ITKC_MP_0597A_0110_010_0490 烈婦論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文集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佃夫輪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40_0740 佃夫輪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啓蒙附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750 易學緖言 卷三 ITKC_MP_0597A_0750_040_0080 啓蒙附論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易學緖言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九賦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150 經世遺表 卷十 ITKC_MP_0597A_1150_010_0010 九賦論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매부윤씨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매부윤씨 박 남자 경상북도 청도군 길림성(吉林省) 해룡현(海龙县) 성남공사 신성대대 3 3 매부윤씨, 녀동생,...대표표제어매부윤씨 | 성씨박
구술자료(2)
- 부윤된 사돈에게 봉변 당한 황정승 일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는 홍태석씨가 이야기를 하고 있는 도중에 조사장소에 나타났다. 홍태석씨의 앞 이야기가 끝나고 나서 조사자와 인사를 나누게 되었는데, 조사자에게서 조사목적을 듣고 난 다음 주위에서 이야기를 하라고 권하자 담배를 한대 피우고 나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제보자는 음성...조사일시1982-01-19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 제보자고임식
- 무슬림의 고양이에 대한 인식과 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들면 윤택도 있고 부유? 부윤옥? 부윤집? [조사자1: 그러니까 부유하게 산다는 거죠?] 그렇게 부윤옥? [조사자1: 부윤옥? 윤택하고 그렇게 부잣집 말하는 거예요?] 꼭 부잣집 아니라고 아니어도 먹고 살 수 있는 거 다 있을 거라고. [조사자1: 그러니까 먹고 사는국가아제르바이잔 | 제보자피루자 [아제르바이잔, 여, 1990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4)
- 退溪와 栗谷의 工夫論 比較硏究 : [聖學十圖]와 [聖學輯要]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50072 한국연구재단 2003 退溪와 栗谷의 工夫論 比較硏究 : [聖學十圖]와 [聖學輯要]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유교의 부부윤리와 그 현대적 조망: 『中庸』의 夫婦造端說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숙인, 게재일 : 199700028 이숙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1997 유교의 부부윤리와 그 현대적 조망: 『中庸』의 夫婦造端說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유형논문 | 게재일1997
- 1890년대 고종의 통치권력 강화 논리에 대한 일고찰 : 君父論과 君師論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68222 한국연구재단 경남사학회 2011 1890년대 고종의 통치권력 강화 논리에 대한 일고찰 : 君父論과 君師論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1
- 志‧意(念‧慮‧思)에 관한 율곡(栗谷)의 공부론(工夫論)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연수, 게재일 : 201620677 정연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율곡학회 2016 志‧意(念‧慮‧思)에 관한 율곡(栗谷)의 공부론(工夫論)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774)
- 宮府輪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에셔 긴급히 됴샤 필요가 잇다고 각부부원쳥에 일쳬륜쳡고 각칙쥬판임관의 리력셔를 본월륙일로 쎠셔 보라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政府輪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친왕뎐하 관례견습실에죵친문무관이흑단영으로 즁화뎐에셔 례고 관례시날 뎐에림야 빈찬을 명실에 죵친문무관즁 품이상은 죠복으로 오품이하 흑단령으로 한즁화뎐에셔 레케라고 졍부에셔장례원 통쳡을인야 각부부원에 륜쳡얏다더라게재일1907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等辞不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장장 리근목씨 직상소를 봉뎡얏 우비를 나리 허시치 아니옵셧더라게재일1906년 12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政府輪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에셔 각부부원쳥으로 통쳡기를 죵금이후로 칙쥬판임관을 셔임에 그리력셔를 소상이긔록야 의례이 졍부로 입송야 소고데 편리케라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政府輪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명일은 황뎐하 쳔츄경졀이라 작일졍부에셔 각부부원쳥으로 툥쳡되 당일진하권뎡례로 함령뎐에셔 례터인즉관이 품이상은 죠복이오 오품이하난 흑단령으로 진참케라얏다더라게재일1907년 3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8)
- 이부윤;李富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9236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4호 1927 157면 ㅁ1. 본년도 회원 씨명;ㅁ(학년반)4병 이부윤;李富潤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부윤;李富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0813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37면 1. 본년도 회원 씨명;3학년 을반 이부윤;李富潤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부윤;金富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5847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27면 김부윤;金富潤 강계군 강계읍 西部洞 329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부윤;金富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8220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31면 김부윤;金富潤 강계군 강계읍 西部洞 329 1941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자수;丁子洙;덕본고웅;德本高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1650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62면 정자수;丁子洙;덕본고웅;德本高雄 경남 남해군 창선면 부윤리;경남 사천읍내 공립소학교 제4회 1926년 3...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80)
-
부윤 / 府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지방행정구역의 단위인 부의 장관직. 원래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며 평양·한양·경주에 두어졌다. 조선시대에는 종2품의 문관이 임명되었는데, 부윤이 두어진 지역별로 그 설치시기가 일정하지 않다. 한양은 경도가 되어 승격하였으며, 1403년(태종 3)에 전주,
-
부윤 / 富潤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무근촌현(武斤村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무읍(武邑)으로 고쳐 김제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태조 때 부윤으로 고쳤고, 현종 때 임피현(臨陂縣)에 귀속시켰다가 뒤에 만경현(萬頃縣)으로 옮겼다. 조선 말기까지 만경현 남이
-
목사안 부부윤안 / 牧使案 付府尹案 [정치·법제]
전국에서 목사(牧使)가 설치된 지역을 수록한 관안. 부윤을 첨부하였다. 절첩 형식, 상하단으로 나누어 괘선을 그려 필사하였다. 이 문서는 1883년(고종 20) 12월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는 부윤 항목에 수록된 의주 지역명 하단에 소자로 표기된 '겸감
-
우윤 / 右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의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한성부에는 판윤을 최고행정책임자로 하고 부책임자로 종2품관인 부윤(府尹) 2인을 두었는데,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개혁하면서 부윤을 좌윤과 우윤으로 하였다. 1894년(고종 31) 관제개혁 때 폐지되었다.
-
병마절제사 / 兵馬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윤(府尹)만이 이에 해당되었으며, 제주목사는 병마·수군절제사를 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