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유수” 에 대한 검색결과 1,3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63)

사전(3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에 3품 이상의 지서경유수사(知西京留守事)를 두고 그 다음으로 4품 이상의 ()를 두었다. 동경은 성종이 경주를 동경으로 바꾸고, 3품 이상의 유수사(留守使)와 4품 이상의 를 설치하였으며, 남경은 문종(文宗)때에 양주(楊州)를 남경으로 고치고...
  • 최공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생애와 활동사항] 별명은 공후(公詡). 첨사부(詹事府)의 가령(家令)‧개경(開京)‧섭공부상서(攝工部尙書)‧공부상서 겸 서북면병마사(工部尙書兼西北面兵馬使)‧우복야(右僕射)를 역임하였다.
    이칭별칭공후(公?)
  • 대연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컸으므로 사람들이 이의 시정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러한 기회를 틈타 대연림은 군사를 일으켜 소효선(蕭孝先)과 부인 남양공주(南陽公主)를 가두고, 한소훈‧왕가‧소파득(蕭頗得)을 죽인 뒤 요나라에 저항해 나라를 세웠다. 이 때 동경()왕도평...
  • 김영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로로 품계가 올랐다. 1856년 강화로 있으면서 장녕전(長寧殿)의 개수를 감독한 공로로 자헌대부(資憲大夫)가 되고, 1858년 공조판서ㆍ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또 남전(南殿)을 증건한 공로로 가자되었다. 1859년 광주...
    이칭별칭 덕부(德夫)| 승산(勝山)
  • 홍희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왔다. 이듬해 외보(外補)로 광주(廣州)로 나갔다가 돌아와 홍문관제학에 임명되었다. 이어 좌부빈객‧우부빈객‧예문관제학‧한성부판윤‧수원‧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순조실록(純祖實錄)』

고서·고문서(1,039)

  • 1803년 강화(江華) 관(關)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관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관 | 현소장처부안 우반 부안김씨
  • 15968 B015968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2年 11月 9日_020 ○敎京畿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開城江華廣州申翼相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035 B016035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2年 11月 9日_020 ○敎京畿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開城江華廣州申翼相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084 B01508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哲宗實錄 六年(1855) 十月 철종실록_10610012_004○以趙然昌爲開城, 金漢淳爲江華
    출처전거哲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079 B01507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哲宗實錄 三年(1852) 十二月 철종실록_10312028_001 ○癸卯 / 以李源達爲開城, 洪祐喆爲江華
    출처전거哲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24)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옛 도읍지의 행정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하였던 관직. 개경을 제외한 서경·동경·남경에 설치하여 3경이라고 불렀다. 서경은 태조 원년에 평양대도호부를 설치하였다가 성종 14년에 3품 이상의 지서경유수사를 두고 그 다음으로 4품 이상의 를 두었다. 동경은

  • 원두표 / 元斗杓 [종교·철학/유학]

    1593(선조 26)∼1664(현종 5). 조선 후기의 문신. 송수 증손, 할아버지는 호, 아버지는 유남이다. 박지계의 문인이다. 나주목사,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강화,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권환 / 權瑍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권근중,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권대윤, 어머니는 순천김씨로 현감 두명의 딸이다. 숙종대에 영의정을 지낸 권대운의 조카이다. 이민구에게 수학하였으며, 허목을 사사하였다. 성균관대사성, 개성

  • 김윤식 / 金允植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관료·문장가(1835∼1922). 유신환·박규수의 문인으로, 임오군란 후 호군·강화에 임명되어 규장각직제학을 겸임하였고, 갑신정변 이후 병조판서를 거쳐 독판교섭통상사무가 되어 대외관계를 담당하였으나, 아관파천사건 이후 외무대신 직에서 면직되었고, 을미

  • 민시중 / 閔蓍重 [종교·철학/유학]

    이조좌랑·교리를 거쳐 경상도관찰사, 호조참판, 강화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