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5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467)
사전(1,854)
- 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게 장가든 자는 종2품의 위를, 군주에게 장가든 자는 부위를, 현주(縣主)에게 장가든 자는 첨위(僉尉)를 초수(初授)하였다.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 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갑오개혁 이후에 정한 무관 계급. [내용] 정위(正尉)의 아래, 참위(參尉)의 위이다. 1895년(고종 32) 12월 육군장관직제(陸軍將官職制)가 선포됨으로써 시행되기 시작하여 1907년 8월 군대해산 때까지 존속하였다. 현재의...
- 부위(副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위 부위 副尉 궁내부(宮內府), 부마(駙馬), 여서(女婿), 의빈(儀賓), 의빈부(儀賓府), 의빈원(儀賓院), 정일품(正一品) 아문(衙門), 종정부(宗正府) 공주(公主), 군주(郡主), 봉순대부(奉順大夫), 옹주(翁主), 의빈계(儀...상위어궁내부(宮內府), 부마(駙馬), 여서(女婿), 의빈(儀賓), 의빈부(儀賓府), 의빈원(儀賓院), 정일품(正一品) 아문(衙門), 종정부(宗正府) | 관련어공주(公主), 군주(郡主), 봉순대부(奉順大夫), 옹주(翁主), 의빈계(儀賓階), 현주(縣主)
- 어모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무관의 위계제도. [내용] 무산계 29계 가운데 제25계로 종8품 하계(下階)이다. →무산계 『고려사(高麗史)』 「高麗の武散階」(旗田巍, 『朝鮮學報』21‧...
- 등용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조 서반 잡직계(雜職階)의 정7품 위호(位號). [내용] 서반 잡직계 부위계(副尉階)의 상한이다. 조선시대에 정직(正職)과는 별도로 잡무 종사자를 위하여 잡직을 설치하였다. 이 경우 천인들이 임용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특히 고려 후기...
고서·고문서(10,604)
- 祔位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ES_00056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_祭禮 祔位 祔位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4:7Q 有人於此, 爲繼稱之宗, 且有前妻之主, 而無可祔處, 故時祭常別爲祝文矣. 後以最長旁, 奉高曾兩代之主, 欲中一以上, 而...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祔位出主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ws_00128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祭禮_時祭 祔位出主 祔位出主 이익(李瀷, 1681~1763) DRAC_5:2:1:50Q “祠堂參禮出主”條“主人主婦奉出諸考妣之神主, 次出祔主, 命長男長婦分出諸祔位之卑”者, 獻酌亦然. “時祭”, “主人主...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檢屍不委巡檢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新註無寃錄 新註無寃錄 卷上 格例 檢屍不委巡檢 최치운(崔致雲) 등 33 至元二十八年五月江西道按察司會驗【會驗謂事應證案而行者】至元五年六月中書右三部符文【符文移文之名兩相符合而不差之意】該【載也】照勘【照具見始末也勘考校也】各處稱冤重囚多爲【去聲】檢尸時司縣官不行親去監視轉委巡檢司吏弓手人...서명新註無寃錄 | 저자최치운(崔致雲)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祔位酌獻之序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DM_00027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一 通禮_班祔 祔位酌獻之序 祔位酌獻之序 이익(李瀷, 1681~1763) 答鄭汝逸 DRAC_1:2:3:3Q 神 神: 《星湖全集》에는 ‘新’으로 되어 있다. 主之祔于祖龕者, 雖云“足以安矣”, 而若先有數三祔...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宗子 二 【大夫爲宗子】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10 喪禮四箋 卷十五 ITKC_MP_0597A_0910_010_0020 宗子 二 【大夫爲宗子】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喪禮四箋 卷十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1)
- 김기병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착생활 - 4.19 참여 경험 -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학생위원회 부위원장 - 내무부 사무관 임용과 공직생활 - 경제기획원과 상공부에서의 공직 생활 - 관광산업의 시작과 결혼, 면세점 사업과 교육장학 사업 - 비공식 북한 방문과 경제정책 관련 강연구술자김기병 | 직업한일협력위원회 부회장 | 지역함경도
- 이진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중 한국전쟁 발발 - 가족들이 자신만 남겨둔 채 월남함 - 구술자는 안악에 있는 비행기 공장에서 노동하다가 혼자 남겨짐 - 3년 동안 친척집을 돌아다니면서 생활 - 민청 부위원장을 하면서 간호원 교육을 받음 - 이후 시장에 나왔다가 국군을 만나 월남 - 줄하도에서 빨갱구술자이진선 | 직업 인천지구 황해도민회 | 지역황해도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유지들이 모여서 회의를 했으나, 돈의 문제로 추진이 결렬되었다. 대담자의 생각에 그 해에도 회의를 하다보니, 이번 해에는 ‘한장군놀이’를 실제로 행해야할 것 같아 ‘한장군대제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정우영 위원장, 김도근, 이형식이 부위원장을 맡아 ‘한장군놀이’에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솔댁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유지들이 모여서 회의를 했으나, 돈의 문제로 추진이 결렬되었다. 대담자의 생각에 그 해에도 회의를 하다보니, 이번 해에는 ‘한장군놀이’를 실제로 행해야할 것 같아 ‘한장군대제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정우영 위원장, 김도근, 이형식이 부위원장을 맡아 ‘한장군놀이’에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상수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유지들이 모여서 회의를 했으나, 돈의 문제로 추진이 결렬되었다. 대담자의 생각에 그 해에도 회의를 하다보니, 이번 해에는 ‘한장군놀이’를 실제로 행해야할 것 같아 ‘한장군대제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정우영 위원장, 김도근, 이형식이 부위원장을 맡아 ‘한장군놀이’에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황화득
기초학문(29)
- 한 , 불 번역에서의 신체부위명사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지은, 게재일 : 200202864 김지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현대문법학회 2002 한 , 불 번역에서의 신체부위명사 문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인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승은, 게재일 : 200411557 이승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약용작물학회 2004 인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유형논문 | 게재일2004
- 缺失된 忠肅王 復位三年 記事의 復元을 위한 試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동익, 게재일 : 201661222 장동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교육학회 2016 缺失된 忠肅王 復位三年 記事의 復元을 위한 試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신체 부위의 인지에 따른 뇌 활성영역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연희, 게재일 : 200310838 김연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인지과학회 2003 신체 부위의 인지에 따른 뇌 활성영역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노인들의 댄스스포츠 참여시 발생하는 상해부위 및 원인 탐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순정, 게재일 : 201211169 권순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안전학회 2012 노인들의 댄스스포츠 참여시 발생하는 상해부위 및 원인 탐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702)
- 不爲 陛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궐의 두후로 인야 친왕이나 공가 폐현치 못다더라게재일1903년 4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副領副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참셔관 윤진우씨 륙군부령을 임고 광학국장 현상건의 부원를 승챠엿다더라게재일1902년 9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不爲停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송 셩건의소 역를 졍지 엿다더니 소에셔 와셔 말기를 졍지지 아니엿다더라게재일1902년 9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法部委員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법부에셔 변호 시험규측을 반포기위야 일젼에 법률위원회 셜얏 규측은 일간에 반포되리라더라게재일1906년 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釜蔚線陳情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釜蔚線陳情 1925년 7월18일 부산 부산 부상업회의소 회두, 부회두, 평의원이 조선사철(私鐵)을 방문하고 부산-울산...대표표제어釜蔚線陳情 | 연월일1925년 7월18일 | 지역부산
멀티미디어(2)
- 의령 미타산성 – 의령군 미타산성 정비복원을 위한 시굴조사 보고서 –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체 측량도(잔존부위) 및 조사구획도 2014-11-07_0.8587305_도면 3. 미타산성 전체 측량도(잔존부위) 및 조사구획도.jpg ss1-0204_#3 유구 미타산성 원경(상) 및 근경(하) 2014-11-07_0.4549829_미타산성 원제목의령 미타산성 – 의령군 미타산성 정비복원을 위한 시굴조사 보고서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합천 미숭산성 – 합천군 미숭산성 남문지 정비복원을 위한 시굴조사 보고서 –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미숭산성 전체 측량도(잔존부위) 및 조사구획도 2014-11-07_0.6490595_도면 2. 미숭산성 전체 측량도(잔존부위) 및 조사구획도.jpg ss1-0322_#3 유구 원색도판 1. 미숭산성 원경(1) 및 근경(2) 2014-11-07_0.제목합천 미숭산성 – 합천군 미숭산성 남문지 정비복원을 위한 시굴조사 보고서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255)
- 문교부위임전결사항규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교부위임전결사항규정 문교부위임전결사항규정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문교부령
- 교육공무원임용권내부위임훈령제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공무원임용권내부위임훈령제정 교육공무원임용권내부위임훈령제정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원 임용ㆍ승진ㆍ평가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경기도교육위원회 | 사료철명훈령철
- 국민학교장사무내부위임준칙시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민학교장사무내부위임준칙시달 국민학교장사무내부위임준칙시달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초등교육 학교운영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평창군교육장 | 사료철명평창군조례공포원본
- 문교부위임전결규정(149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교부위임전결규정(149호) 문교부위임전결규정(149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문교부장관 | 사료철명문교부훈령원안철
- 교육공무원전보권및경보권일부내부위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공무원전보권및경보권일부내부위임 교육공무원전보권및경보권일부내부위임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원 임용ㆍ승진ㆍ평가 ...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문교부령
연구과제(1)
-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유용욱 | 충남대학교 | 2014 | 국내 | 대전
주제어사전(104)
-
부위 / 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부위를, 현주(縣主)에게 장가든 자는 첨위(僉尉)를 초수하였다.
-
등용부위 / 騰勇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조 서반 잡직계의 정7품 위호. 서반 잡직계 부위계(副尉階)의 상한이다. 조선시대에 정직과는 별도로 잡무 종사자를 위하여 잡직을 설치하였다. 이 경우 천인들이 임용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특히 고려 후기부터 공상천례(工商賤隸)들이 수직하는 예가 많았다.
-
맹건부위 / 猛健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잡직계 정8품 위호. 조선시대 정직과는 별도로 잡무 종사자를 위하여 설치하였던 잡직은 천인이 임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고려 후기부터 공상천예(工商賤隸)들이 관직을 얻는 예가 많았고, 조선 건국초에도 이러한 경향이 계속되어 조정의 관료체제를 혼란시킨
-
분순부위 / 奮順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7품 무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7품 무산계는 진용부위(進勇副尉)로 정하였다.그런데 진용부위는 1466년(세조 12)에 분순부위(奮順副尉)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승의부위 / 承義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8품 무신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졌고, 그뒤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정8품 관직으로는 사록·설경·저작·대교·학정·부직장·부검·좌시직·우시직·사맹·수문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