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용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9)
- 부용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다. 『경국대전(經國大典)』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법성포(法聖浦)에 조창이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 부용창(芙蓉倉)의 위치도 그 부근이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부용창에서는 인근 고을의 세곡을 수납, 전라도‧충청도‧경기도 연해안의 수로를 이용...
- 부용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세곡(稅穀)을 보관하던 창고. [내용] 이 밖에 좌창(左倉)‧우창(右倉)‧용문창(龍門倉)‧대의창(大義倉) 등도 있었다. 홍주(洪州) 산중에 있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에 비정된다. 부용창(富用倉)에 보...
- 용문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개경에 설치되었던 창고. [내용] 개성에는 용문창을 비롯하여 좌창(左倉)ㆍ우창(右倉)ㆍ대의창(大義倉) 등이 있었다. 좌창의 곡식은 주로 관리들의 녹봉으로 지급된 데 비하여 용문창의 곡식은 부용창(富用倉)ㆍ우창과 같이...
- 대의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세곡을 보관하던 창고. [내용] 좌창‧우창‧용문창‧부용창 등과 아울러 백성들의 세곡을 보관하던 곳이다. 본래 개경의 서문(西門, 혹은 西大門, 南門) 안에 있었는데, 화재로 모두 소실되자, 화재 예방을 꾀하여 수세(水勢)가 좋은...
- 초마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광의 부용창(芙蓉倉), 영암의 장흥창(長興倉), 순천의 해룡창(海龍倉), 사천의 통양창(通陽倉), 창원의 석두창(石頭倉) 등 10개 조창(漕倉)과 내륙에 충주의 덕흥창(德興倉), 원주의 흥원창(興元倉) 등 2개 조창과 황해도 장연현에 안란창(安瀾倉)을 두어 수로를 이용...
고서·고문서(7)
- 고려도경_是日午後 過富用倉山 卽舟人所謂芙蓉山也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675 중국 정서 고려도경 海道4 富用山 342 인종(仁宗) 1 1123 6 8 是日午後 過富用倉山 卽舟人所謂芙蓉山也 其山在洪州境內 上有倉廩 積穀且多 云以備邊鄙非常之用 故以富用名之 5대ㆍ송, 교통ㆍ운수, 고려도경의...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豐郡]勵涉浦[前號主乙在希安郡]芙蓉浦[前號阿無浦靈光郡芙蓉倉在焉]速通浦 ...출처전거高麗史 권79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萬物門1_殳棒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殳棒 今之鄕兵所帶劍, 皆伸鋤爲之者, 斮之不剸, 遇捧必折, 其用斷不如木棒. 昔爾朱榮與葛榮戰, 不用槍劍, 以木棒取勝, 人非習藝, 器非利用, 寧用棒爲得也. 舜臣有名殳, 以其能爲名也. 殳, 丈二尺, 積竹爲之. 積竹者, 去竹之白, 積以成器, 取其有力, 《詩》所謂“伯也執殳, 爲...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송병순이 송병선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兄主前 上平書 初二日下書 卽地伏見 慰豁無比 而其後二日甲明便 付上一書矣 不傳而見還 伏用悵歎 伏不審天氣漸熱 慈主體內 間復若何 侍餘氣候 亦一向萬寧 大小大均慶 叔父主 間已下請 以遂□□□ 會否 伏慕且菀 食息亦置 舍弟姑保無恙二字 而端陽日卯時 得丈夫兒 顒望之餘 喜莫大焉 而十二月占...분야문학 | 유형문헌
- 小兒癰瘡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瘡腫 益母草不以多少擣取汁每服半合量兒大小加減服之更以滓傅癰瘡上良〔消腫散〕治小兒癰瘡腫毒熱赤疼痛 大黃生用 杏仁湯浸去皮尖硏 鹽花各三分 右杏仁以新汲水和稀稠得所旋取塗瘡腫上乾卽易之以效爲度治小兒癰瘡腫 鷄羽毛七枚燒灰細硏以水調服卽潰〔又方〕伏龍肝末以好醋調作膏塗於古帛上貼之〔又方〕馬...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3)
-
부용창 / 芙蓉倉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에 전라남도 영광에 설치되었던 조창. 부용창에서는 인근 고을의 세곡을 수납, 전라도·충청도·경기도 연해안의 수로를 이용하여 예성강 입구의 경창(京倉)으로 운송하였다. 부용창에는 세곡을 운송하기 위하여 적재량이 1천석인 초마선(哨馬船) 6척이 비치되어 있었고,
-
대의창 / 大義倉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세곡을 보관하던 창고. 좌창·우창·용문창·부용창 등과 아울러 백성들의 세곡을 보관하던 곳이다. 본래 개경의 서문(西門) 안에 있었는데, 화재로 모두 소실되자, 화재 예방을 꾀하여 수세(水勢)가 좋은 개경 서남쪽의 장패문(長覇門) 안쪽으로 옮겨 지었다. 그
-
용문창 / 龍門倉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개경에 설치되었던 창고. 개성에는 용문창을 비롯하여 좌창·우창·대의창 이 있었다. 용문창 곡식은 부용창·우창과 같이 주로 전란이나 수한 등 비상시에 대비하였다. 1052년(문종 6)에 용문창의 곡식 8,000석을 염주·백주에 옮기어 농민에게 지급하였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