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여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0)
- 부여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서반 종5품의 토관직(土官職). [내용]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1인,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1인,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 진변위(鎭邊衛)에 1인,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진봉위(鎭封衛)에 1인을 두었다. ...
- 여충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해당되는 관직은 부여직(副勵直)으로, 여흥부의 진북위(鎭北衛),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鎭邊衛), 경성도호부의 진봉위(鎭封衛), 회령‧경원 도호부의 회원위(懷遠衛), 종성‧온성‧부령‧경흥 도호부의 유원위(柔遠衛), 강계도호부의 진포위(鎭浦衛...
- 진변위(鎭邊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장(隊長) 10명, 대부(隊副) 20명을 두었다. 그 뒤 몇 차례 변화를 겪으면서 마침내 『경국대전』에서는 정5품 여직(勵直)·종5품 부여직(副勵直) 각각 1명, 정6품 여과(勵果)·종6품 부여과(副勵果)·정7품 여정(勵正)·종7품 부여정(副勵正) 각각 2명, 정8품...관련어토관(土官), 영변(寧邊)
- 진봉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班職所)로서의 진봉위는 정5품인 여직(勵直) 1인, 종5품인 부여직 1인, 정6품인 여과(勵果) 2인, 종6품인 부여과 2인, 정7품인 여정(勵正) 2인, 종7품인 부여정 2인, 정8품인 여맹(勵猛) 3인, 종8품인 부여맹 3인, 정9품인 여용(勵勇) 4인, 종9품인...
- 진북위(鎭北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된 뒤에 녹을 준다고 했다. 그 뒤 몇 차례 변화를 겪고서 드디어 정5품 여직(勵直)·종5품 부여직(副勵直) 각각 1명, 정6품 여과(勵果)·종6품 부여과(副勵果)·정7품 여정(勵正)·종7품 부여정(副勵正) 각각 2명, 정8품 여맹(勵猛)·종8품 부여맹(副勵猛)·정9품...관련어토관(土官)
고서·고문서(14)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都事, 何當還來耶? 眞儒·弼夢等四人發捕日子及配所道里遠近, 問於金吾以入。 上曰, 命淵事容有可恕, 前進辦死, 雖未及思, 而比諸權詹差勝矣。 台佐曰, 命淵下去時, 只帶軍官一人, 故徑向內浦, 起兵討賊爲計。 此終不如直路向營, 倡義討賊之爲經常道理, 而內浦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원사_元史16 本紀16 世祖13 至元二十七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732 중국 정사 원사 본기 331 충렬왕(忠烈王) 16 1290 5 27 元史16 本紀16 世祖13 至元二十七年五月 命徹里鐵木兒所部女直高麗契丹漢軍 輸地稅外 並免他徭 몽고정세, 至元 27년은 충렬왕 16년(1290...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렬왕(忠烈王) 16
- 금사_金史135 列傳73 外國下 高麗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367 중국 정사 금사 열전 039 예종(睿宗) 10 1115 11 金史135 列傳73 外國下 高麗 (收國元年) 十一月 係遼女直麻懣太彎等十五人皆降 攻開州取之 盡降保州諸部女直 太祖以撒喝為保州路都統 太祖已破走遼主軍 撒喝破合主順化二...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예종(睿宗) 10
- 대서존형 시경 좌하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使之救拔也否,垂諒是企耳,荒厄便成,近 來年例,而今年可謂甚於丙丁,衆情嗷嗷, 爻象慘惡,似聞畿湖則可占大有云,或不經 劫於向來風雨,而貴邊亦何如也,遠爲之仰 念不已,多少都付汝直口角,忙不備候禮,仰 希照亮. 癸巳八月九日,弟,河智鎬二拜.분야문학 | 유형문헌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未及思, 而比諸權詹差勝矣。 台佐曰, 命淵下去時, 只帶軍官一人, 故徑向內浦, 起兵討賊爲計。 此終不如直路向營, 倡義討賊之爲經常道理, 而內浦起兵, 亦不爲大段失計, 故與詹同罪, 人皆稱冤矣。 上曰, 古人有單車赴賊者, 而素沙賊兵彌滿之日, 直向其中, 則實爲至難矣。 顯命曰, 單車赴賊...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부여직 / 副勵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5품의 토관직. 영흥부의 진북위에 1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1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1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1인을 두었다.
-
여충대위 / 勵忠隊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토관계 종5품의 위호. 토관계는 고려의 향직 계통의 관계로서 문무관계와는 별도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토관직에는 본도 사람을 동반은 관찰사가, 서반은 절도사가 임명하였다. 이 관계에 해당되는 관직은 부여직으로, 여흥부의 진북위, 평양부의 진서위,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