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여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28)
- 부여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백제 말의 왕자, 부흥운동가. [내용] 마지막 왕인 의자왕의 아들이다. 663년 9월의 이른바 백촌강(白村江)전투에서 백제부흥군을 지휘하면서 왜군과 함께 나당연합군에 저항하다가 패배하여 무리를 이끌고 왜로 망명하였다. ...
- 부여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서반(西班) 종9품의 토관직(土官職). [내용] 서반 종9품의 품계를 가진 관직이다.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4인,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5인,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 진변위(鎭邊衛)에 5인을 두었다. 또 경...
- 부여용정리상여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에 전승하는 행상(行喪)소리. [내용]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에 전승하는 행상(行喪)소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 벼농사지대의 전형적인 농촌인 부여읍 용정리(龍井里)는 1917년도의 행정구역 개...연계항목부여용정리상여소리(扶餘龍井里喪輿소리)
- 부여용정리소룡골백제건물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것이며, 두 건물터는 서로 같은 시기에 공존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터의 성격에 관하여는 조사가 부분적으로 실시되어 자세히는 알 수 없지만, 절터 또는 관청건물터로 추정된다. 扶餘龍井里百濟建物址發掘調査報告書(尹武炳‧李康承, 百濟硏究 16, 198...연계항목부여용정리소룡골백제건물지(扶餘龍井里소룡골百濟建物址)
- 부여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서반 종7품의 토관직(土官職). [내용]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2인,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3인,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 진변위(鎭邊衛)에 2인,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진봉위(鎭封衛)에 2인을 두었다. ...
고서·고문서(26)
- [人事篇七]治道門四_騎兵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宜矣. 然則行師, 不如用步兵之爲得 得: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得’ 뒤에 ‘矣’가 있다.. 夫雲奔飆馳, 鈔 鈔: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抄’로 되어 있다.後掠 掠: 성균관대본(가)에는 ‘略’으로 되어 있다.前, 馬之長也; 强弩利刀, 什什伍伍, 聯縫 縫: 아단문고...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門11_騎兵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騎兵 兵法: “以我所長, 攻彼所短.” 我國, 馬産細小, 何以敢敵駿足? 聞, 善馬皆從西國大宛, 極東之地, 其小宜矣. 故中國稱高麗果下馬, 間有稍大者, 皆外邦之遺種也. 然則行師, 不如用步兵之爲得. 夫雲奔飆馳, 鈔後掠前, 馬之長也; 强弩利刃, 什什伍伍, 聯縫薄戰, 步之長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柳勞軍, 此眞英雄氣像也。 容直不如用直, 汝於此等處加勉。”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변정(待變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伏乞睿裁。 一, 月串前洋, 水面闊遠, 可作操場, 而兩水橫分, 浪勢騰湧, 不如龍津之平穩。 龍津在甲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변정(待變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用, 亦足省事力, 而節浮費。 一, 月串前洋水面闊遠, 可作操場, 而兩水橫分, 浪勢騰湧, 不如龍津之平穩。 龍津在甲津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부여용 / 副勵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9품의 토관직. 영흥부의 진북위에 4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5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5인을 두었다. 또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5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5인, 회령도호부·경원도호부의 회원위에 5인, 종성도호부·온성도호부·부령도호부·경흥도호부의 유원
-
탄력도위 / 殫力徒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9품의 토관계. 이 관계에 해당되는 관직은 부여용(副勵勇)으로 영흥부의 진북위에 4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5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 경성도호부의 진봉위, 의주목의 진강위에 각각 5인, 회령경원도호부의 회원위, 종성·온성·부령·경흥도호부의 유원위,
-
유원위 / 柔遠衛 [정치·법제/법제·행정]
1인, 정8품 여맹(勵猛) 2인, 종8품 부여맹 2인, 정9품 여용(勵勇) 3인, 종9품 부여용 5인 등 모두 16인의 토관 서반직이 배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