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여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24)
- 부여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서반(西班) 종8품의 토관직(土官職). [내용] 서반 종8품의 품계를 가진 관직이다.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3인,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4인,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 진변위(鎭邊衛)에 3인,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
- 부여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서반(西班) 종9품의 토관직(土官職). [내용] 서반 종9품의 품계를 가진 관직이다.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4인,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5인,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 진변위(鎭邊衛)에 5인을 두었다. 또 경...
- 부여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서반 종7품의 토관직(土官職). [내용]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2인,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3인,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 진변위(鎭邊衛)에 2인,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진봉위(鎭封衛)에 2인을 두었다. ...
- 부여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서반 종5품의 토관직(土官職). [내용]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1인,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1인,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의 진변위(鎭邊衛)에 1인,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진봉위(鎭封衛)에 1인을 두었다. ...
- 효용도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서반 종9품 토관계(土官階)의 위호(位號). [내용] 이 관계에 해당하는 관직은 부여맹(副勵猛)으로서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에 3인,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에 4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鎭邊衛)에 3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
고서·고문서(3)
- 人之於身也兼所愛體有貴賤有小大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心之所之,皆不足以爲大體。蓋此靈明之體,雖寓於形氣之中,粹然不與形氣相雜,豈可以有形之心臟,指之爲大體乎?佛家謂之法身,道家謂之谷神,總不如孟子名之曰大體,又或名之曰貴體也。 蔡曰:“賤而小者,耳目手足之類皆是,朱子專以口腹爲小體。”【見《蒙引》】 ○鏞案 飮食,由口而入腹,其精氣,由五臟以達百體...권차명孟子要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직품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右各一人] ○雜職 「」 破陣軍 「」勤事「」從事「」趨事 「」 隊卒彭排 「」隊長「」隊副 ○土官[每衛員不同] 「」 鎭北等八衛 「」勵直「」副勵直「」勵果「」副勵果 「」勵正「」副勵正「」勵猛「」副勵猛「」勵勇 「」副勵勇 △兵典官職 中樞府 관장하는 일이 없다. 문무 당상관으로...대표표제어직품략 | 편명_제목직품략_병전관직
- 고영숙 묘지명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之■孝也奉承祭祀嚴絜蒸甞無倦箕箒之勞有切晨昏之飬■夫人之敬也行兼四■徳慈及六親夲無害扵昆䖝毎購生扵飛鳥■夫人之仁也忍愛矜孤懐貞履順■奉叔妹以■讓承娣娰以卑謙■夫人之義也專心正色従令受命鈆華弗御㘴■思紃組之功羅綺不衣行循環珮之響■夫人之禮也素裁團扇錦織廻文若徐■淑之匡夫如孟母之訓子■夫人之智也白珪無玷...연대694 | 서체해서 | 소재지중국 朝陽市博物館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주제어사전(4)
-
부여맹 / 副勵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8품의 토관직. 영흥부의 진북위에 3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4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3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3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3인, 회령도호부·경원도호부의 회원위에 3인, 종성도호부·온성도호부·부령도호부·경흥도호부의 유원위에 2인,
-
효용도위 / 効勇徒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9품 토관계의 위호. 이 관계에 해당하는 관직은 부여맹(副勵猛)으로서 영흥부의 진북위에 3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4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3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3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3인, 회령·경원의 회원위에 3인, 종성·온성·부령·
-
여력도위 / 勵力徒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토관계 정9품의 위호. 관직은 부여맹으로, 영흥부의 진북위에 3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5인, 영변도호부의 진변위, 경성도호부의 진봉위, 의주목의 진강위, 회령·경원 도호부의 회원위 등에 각각 4인씩, 종성·온성·부령·경흥 도호부의 유원위, 강계도호부의
-
유원위 / 柔遠衛 [정치·법제/법제·행정]
1인, 정8품 여맹(勵猛) 2인, 종8품 부여맹 2인, 정9품 여용(勵勇) 3인, 종9품 부여용 5인 등 모두 16인의 토관 서반직이 배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