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신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4)
- 부신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정원을 관리하던 장원서(掌苑署) 소속의 종8품 잡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정8품 신금 1인과 함께 궁중 원내의 조류사육이 본래의 직무였으나, 정원관리에 관계된 제반 업무를 함께 보았다. 이들은 내시의 일종인 ...
- 부신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정원관리를 담당하던 장원서(掌苑署) 소속의 종9품 잡직. [내용] 정원은 3인이다. 신수(愼獸) 3인과 함께 궁중 원내의 짐승 사육을 담당하는 것이 본래의 직무였으나 정원관리에 관계된 제반 업무를 함께 보았다. 이들...
- 장원서(掌苑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차서 장원서로 옮겨온 자는 재직 기간이 900일이 되면 정7품을 주고, 다시 900일이 지나면 관직에서 떠난다고 하였다. 종6품 신화(慎花) 1원, 종7품 신과(愼果) 1원, 정8품 신금(愼禽) 1원, 종8품 부신금(副愼禽) 1원, 정9품 신수(愼獸) 3원, 종9품...하위어건과색(乾果色), 과원색(果園色), 생과색(生果色), 작미색(作米色), 장무색(掌務色), 별제(別提), 장원(掌苑) | 관련어상림원(上林園), 장원서등록(掌苑署謄錄)
- 잡직(雜職)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준다. 장원서의 잡직은 종6품 신화(愼花) 1명, 종7품 신과(愼果) 1명, 정8품 신금(愼禽) 1명, 종8품 부신금 1명, 정9품 신수(愼獸) 3명, 종9품 부신수 3명이다. 별감 20명의 체아는 2명이고, 장번이며 근무 일수 1,800일이 차면 가계하여 종6품...관련어유외(流外), 잡직계(雜職階), 체아직(遞兒職)
고서·고문서(16)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179 B01617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5年 1月 18日_035 ... 勵薄世浮競之俗, 旣擢亞卿, 爰軫重鎭鎖鑰之權, 復申今命。 眷玆沁府, 若古晉陽, 天作山河, 翼神京而察邇, 舟通江渤, 控諸島而環包, 戰伐荒塵, 城郭之草木不改, 家國遺恥, 海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862 B015862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7年 11月 17日_025 穀之盜弄依舊, 簽丁非不申禁, 而良民之規免甚多, 念民生凋瘵之嘆, 將不堪命。 嗟, 朝家懷保之政, 亶在得人。 惟卿, 珪璋令譽, 簪組華閥, 雲衢方亨, 當騏驥展步之時, 江湖退居, 有鳧...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585 B016585 강화부 江華府 도서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5年 1月 18日_035 ... 勵薄世浮競之俗, 旣擢亞卿, 爰軫重鎭鎖鑰之權, 復申今命。 眷玆沁府, 若古晉陽, 天作山河, 翼神京而察邇, 舟通江渤, 控諸島而環包, 戰伐荒塵, 城郭之草木不改, 家國遺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 第三統統首辛石乙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0년_대현면(大峴面) 1720년 대현면(大峴面) 第十九長生浦坊 3 第三統統首辛石乙伊 第陞一戶兵營生物軍私奴辛石乙伊年肆拾壹不喩肆拾伍丙辰本蔚山主京居鄭兵使父辛金祖儉金曾祖 春金外祖良人朴奉先本蔚山妻私婢莫金不喩是進年參拾肆丁卯本蔚山主全羅道居李厚于父私奴 甘白祖...연도_면이름1720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九長生浦坊
- 8 第八統統首私奴石石乙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6년_미상 1726년 미상 第十九長生浦 8 第八統統首私奴石石乙伊 第一戶兵營生物軍私奴石石乙伊年伍拾壹庚辰本蔚山主京居幼學李大壽父辛金 祖檢金曾祖春守外祖良人朴奉先本蔚山妻私婢時進年肆拾丁卯本蔚山主 全羅道居李厚間父私奴甘白祖亂生曾祖私奴先中外祖朴甘金本蔚山率子...연도_면이름1726년_미상 | 면이름미상 | 마을이름第十九長生浦
기타자료(1)
- 唐 高祖가 고구려의 榮留王에게 내린 조서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思禀正朔 逺循職貢 故遣使者 跋渉山川 申布誠懇 朕甚嘉揖 方今六合寧晏 四海清平 玉帛旣通 道路無壅 方申緝睦 永敦聘好 各保疆埸 豈非盛羙 伹隋氏季年 連兵構難 攻戰之所 各失其泯 遂使骨肉乖離 室家分柝 多歴年歳 㤪曠不申今二國通和 義無阻異 在此所有髙句麗人等 已令追拮 尋即遣送 彼處所有此...대표표제어唐 高祖가 고구려의 榮留王에게 내린 조서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1)
-
부신금 / 副愼禽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중의 정원을 관리하던 장원서 소속의 종8품 잡직. 정원은 1인이다. 정8품 신금 1인과 함께 궁중 원내의 조류사육이 본래의 직무였으나, 정원관리에 관계된 제반 업무를 함께 보았다. 이들은 내시의 일종인 별감들이 담당하는 잡직으로서 일정기간마다 돌아가며 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