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수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65)
사전(841)
- 부수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두었고, 이것이 1479년 홍문관으로 분리, 개편되면서 그대로 정제화되었다. 홍문관은 최고의 문필기관으로서 그 관원은 대표적인 청화직(淸華職)으로 간주되었고, 경연관(經筵官)‧사관(史官)‧지제교(知製敎)를 당연직으로 겸하였다. 따라서 부수찬도 경연검토관‧춘추관기...
- 부수찬(副修撰)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수찬 부수찬 副修撰 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수찬(修撰), 실직(實職),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박사(博士) 검토관(檢討官), 겸직(兼職), 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기주관(記注官), 사관(史官),...상위어녹관(祿官), 당하관(堂下官), 동반(東班), 수찬(修撰), 실직(實職), 정직(正職), 참상관(參上官) | 하위어박사(博士) | 관련어검토관(檢討官), 겸직(兼職), 경연(經筵), 경연청(經筵廳), 기주관(記注官), 사관(史官), 실록청(實錄廳), 예문관(藝文館), 지제교(知製敎), 집현전(集賢殿), 춘추관(春秋館)
- 조창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766년(영조 4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부수찬(副修撰)을 지냈고, 그 뒤 1769년에는 정언(正言)을 역임하였다. 이어 부수찬(副修撰)ㆍ부교리(副校理)ㆍ수찬(修撰)ㆍ교리(校理)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773년에는 승지(承旨)로서 임금...이칭별칭 달경(達卿)
- 이종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1880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가 되고 이듬해 부수찬(副修撰)이 되었다. 1882년 사헌부에 사간(司諫)과 헌납(獻納)을 역임하였다. 이 후 1882년 선...
- 조대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발되고, 이어 사서(司書)가 되어서는 평일에도 서연(書筵)을 열도록 제창하였다. 부수찬으로 옮겼다가 현감 김광우(金光宇)의 고신(告身 : 관직 임명장)에 대한 서경(署經) 잘못으로 삭직(削職)되기도 했으나 곧 부교리(副校理)에 임명되었다. 그 뒤 수찬(修撰)으로...이칭별칭 덕이(德而)| 지와(止窩)
고서·고문서(724)
- 成以性을 朝散大夫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82 0292_01 成以性을 朝散大夫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85.JPG 成以性을 朝散大...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以性을 朝散大夫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84 0294_01 成以性을 朝散大夫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87.JPG 成以性을 朝散大...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880년 기양연(奇陽衍)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80년(고종17)8월에 기양연(奇陽衍)을 통훈대부 행 홍문관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검토관 춘추관기사관(通訓大夫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에 임명한 문서이다. 홍문관부수찬은 궁내의 경적(經籍) 및 경연(經筵) ‧ 문한(文翰)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홍문관...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882년 기양연(奇陽衍)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82년(고종19)10월에 기양연(奇陽衍)을 통훈대부 행 홍문관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검토관 춘추관기사관(通訓大夫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에 임명한 문서이다. 홍문관부수찬은 궁내의 경적(經籍) 및 경연(經筵) ‧ 문한(文翰)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홍문...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882년 정기상(鄭璣相)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882(고종 19)년 8월에 고종이 정기상을 통훈대부 행홍문관부수찬지제교 겸경연검토관 춘추관기사관에 임명하였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65)
-
부수찬 / 副修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의 종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1420년(세종 2) 집현전을 설치하면서 처음 1인을 두었으나, 1456년(세조 2) 사육신사건으로 혁파되었다. 1470년(성종 1) 예문관에 집현전의 기능을 부활시키면서 2인을 두었고, 이것이 1479년 홍문관으로
-
오수채 / 吳遂采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9). 1735년(영조 1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부수찬·이조정랑·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757년《송도지》속지 1권을 증보하였다.
-
이면구 / 李勉求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7∼1818). 해서암행어사, 부수찬, 의주부윤, 대사성 등을 지냈다. 1811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다녀왔다. 시문에 뛰어났고 글씨도 잘 썼는데, 특히 당나라의 백거이와 양나라의 도홍경의 필체를 잘 썼다.
-
이명환 / 李明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18∼1764). 선조의 아들 인흥군 이영의 4세손이다. 1752년(영조 28) 정시문과 장원 급제 후 문학·정언·사서·충청도경차관교리·부수찬·수찬 등의 청요직을 역임하였으며, 암행어사로 해미현을 안렴하기도 하였다.
-
김계행 / 金係行 [종교·철학/유학]
1431(세종 13)∼1517(중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김득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김 혁, 아버지는 비안현감 김삼근, 어머니는 김전의 딸이다. 성균관에 입학하여 김종직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익혔다. 고령현감, 홍문관부수찬, 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