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사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4)
- 부사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액정서(掖庭署)에 소속된 종8품의 잡직. [내용] 의식 때 궁궐내의 설비관계를 맡아보았다. 정원은 3인이다. 체아직(遞兒職)으로, 2인은 대전의 별감으로, 1인은 문소전(文昭殿)의 별감이나 왕비전(王妃殿)의 별감 중에서 차임(差任...
- 액정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司謁 : 왕명전달‧알현 담당) 1인, 사약(司鑰 : 문단속 담당) 1인, 종6품 부사약(副司鑰) 1인, 정7품 사안(司案 : 궐내 의전행사시 床案 담당) 2인, 종7품 부사안 3인, 정8품 사포(司鋪 : 내정의 설비 담당) 2인, 종8품 부사포 3인, 정9품 사소(司...
- 액정서(掖庭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액정서 액정서 掖庭署 이조(吏曹) 서방색(書房色), 세수간(洗手間), 수사간(水賜間), 부사소(副司掃), 부사안(副司案), 부사약(副司鑰), 부사포(副司鋪), 사소(司掃), 사안(司案), 사알(司謁), 사약(司鑰), 사포(司鋪) 가무별...상위어이조(吏曹) | 하위어서방색(書房色), 세수간(洗手間), 수사간(水賜間), 부사소(副司掃), 부사안(副司案), 부사약(副司鑰), 부사포(副司鋪), 사소(司掃), 사안(司案), 사알(司謁), 사약(司鑰), 사포(司鋪) | 관련어가무별감(歌舞別監), 동산별감(東山別監), 상언별감(上言別監), 정자(城上), 중금(中禁), 탕수색(湯水色)
- 잡직(雜職)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자궁 사약의 체아, 종8품 부사포 3명은 대전별감 체아 2명과 문소전·왕비전 별감의 체아이다. 정9품 사소(司掃) 6명은 대전 별감의 체아 3명과 왕비전·문소전 별감 및 세자궁의 세수간·수사간 별감의 체아, 종9품 부사소 9명은 대전별감 체아 4명과 왕비전·문소전·세자...관련어유외(流外), 잡직계(雜職階), 체아직(遞兒職)
고서·고문서(11)
- 골포(骨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327 B026327 골포 骨浦 군사교통 高麗史 권79 志33 食貨2 漕運 成宗十一年 定漕船輸京價 運五石價一石通潮浦[前號末潮浦泗州通陽倉在焉]螺浦[前號骨浦合浦縣石頭倉在焉] 運六石價一石波平浦[前號夫沙浦樂安郡]潮陽浦[前號沙飛浦昇平郡海龍倉 ...출처전거高麗史 권79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포(南海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浦利京浦前號召丁浦○右二處今順天○兆陽縣安波浦前號冬烏浦○今寶城○樂安郡波平浦前號夫沙浦○今樂安○光陽郡海安浦前號麻老浦○今光陽○務安郡德浦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포(德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127 B050127 덕포 德浦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5 方輿總志 高麗 _ ... 南海浦前號木浦○今羅州○昇平郡風調浦前號馬西良浦利京浦前號召丁浦○右二處今順天○兆陽縣安波浦前號冬烏浦○今寶城○樂安郡波平浦前號夫沙浦○今樂安○光陽郡海安浦前號麻老浦○今光陽○務安郡德浦前號德津浦○今務...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595 B049595 덕진 德津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5 方輿總志 高麗 _ ... 木浦○今羅州○昇平郡風調浦前號馬西良浦利京浦前號召丁浦○右二處今順天○兆陽縣安波浦前號冬烏浦○今寶城○樂安郡波平浦前號夫沙浦○今樂安○光陽郡海安浦前號麻老浦○今光陽○務安郡德浦前號德津浦○今務安○大川郡...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人; 慶業則以東萊府使捕得荒唐人, 誣稱朴致毅。 其時臺諫, 目以三賊, 而所犯輕重懸殊。 且非方在囚繫之人, 故只請罪三聘、弘止, 而申渫等二人, 未及擧論。 今承上敎, 何以爲之?” 上曰: “申渫等若無罪, 則不須問也。 申渫、朴慶業, 俱以麤鄙之人, 希功望賞, 乃爲此人所不忍爲之事, 雖不...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부사포 / 副司鋪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액정서에 소속된 종8품의 잡직. 의식 때 궁궐내의 설비관계를 맡아보았다. 정원은 3인이다. 체아직으로, 2인은 대전의 별감으로, 1인은 문소전(文昭殿)의 별감이나 왕비전(王妃殿)의 별감 중에서 차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