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사직” 에 대한 검색결과 1,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25)

사전(2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종5품 관직. [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현신교위(顯信校尉)‧창신교위(彰信校尉)라 별칭되었다. 태종 초에는 섭사직(攝司直)이라 하였으나 오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7년(세조 13)에 종5품 으로 개칭되어...
    이칭별칭현신교위(顯信校尉)|창신교위(彰信校尉)|섭사직(攝司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낭장(郞將), 섭사직(攝司直), 주부(注簿) 오위(五衛)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1466년(세조 12) 오위(五衛) 종오품 ...
    동의어낭장(郞將), 섭사직(攝司直), 주부(注簿) | 관련어오위(五衛)
  • 정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 당장 영창대군을 죽이라는 여러 신하들의 상소에 대하여, 너그럽게 용서하기를 임금에게 청한다. 그러나 광해군의 노여움을 사 문초를 겪은 후유배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부사과(副司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사과 부사과 副司果 섭(攝) 오위(五衛)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1466년(세조 12) 5위(五衛) 종육품 [정의] 조선시대
    동의어섭부사직(攝副司直) | 관련어오위(五衛)
  • 홍주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12(광해군 4)∼1661(현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숙진(叔鎭), 호는 정허당(靜虛堂). () 수(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난(鸞)이고, 아버지는 좌참찬 보(靌)이며, 어머니는...
    이칭별칭 숙진(叔鎭)| 정허당(靜虛堂)

고서·고문서(879)

  • 송병선용양위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宋秉璿을 禦侮將軍行龍驤衛에 임명하는 고신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송병선용양위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宋秉璿을 禦侮將軍行龍驤衛에 임명하는 고신
    분야문학 | 유형문헌
  • 過族父主簿公【述祖】 宗簿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0140 過族父主簿公【述祖】 宗簿廬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成以性을 定略將軍行龍驤衛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587 0297_01 成以性을 定略將軍行龍驤衛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90.JPG 成以性을 定略將軍行龍驤衛에 임명하는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李宜權이 嘉善大夫 行忠佐衛으로 임명받은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845 0417_01 李宜權이 嘉善大夫 行忠佐衛으로 임명받은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숙기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JL105.JPG 李宜權이 嘉善大夫 行忠佐衛으로 임명받은 敎...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이철응(종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1)

  • 大邱商工會議所 議員全 新法規에 依하야 改選키로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大邱商工會議所 議員全 新法規에 依하야 改選키로 1931년 7월24일 대구 대구 대구상공회의소는 신령(新令)에 따...
    대표표제어大邱商工會議所 議員全部辭職 新法規에 依하야 改選키로 | 연월일1931년 7월24일 | 지역대구

주제어사전(1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5품 관직. 태종 초에는 섭사직(攝司直)이라 하였으나 오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7년(세조 13)에 종5품 으로 개칭되어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의 정원은 123인이었으나 후기에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하게 되자 그 수가 102인으로

  • 송병선용양위고신 / 宋秉璿龍驤衛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2월에 송병선을 어모장군행용양위에 임명하는 고신. 어모장군은 정3품 당하관 무신 품계, 4품 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관교에 해당, 국왕 명의로 발급 문서의 시작부분에 '교지'라는 문구가 있다. 정3품의 품계에 비해 종5품 용양위 의 낮은 관

  • 부사과 / 副司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6품 관직. 태종 때에는 섭(攝)이라 하였으나 오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6년(세조 12) 관제개혁 때 종6품 부사과로 개칭되어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의 정원은 176인이었으나 후기로 오면서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하게 되자 그

  • 이문원 / 李文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0∼1794). 1771년 정시문과 병과급제 후 삼사와 승정원의 청요직을 역임하고 ·형조판서 등에 이르렀다. 1792년 이조판서 재직 중 채제공을 심히 논척하는 상소를 올렸다 향리로 쫓겨나기도 하였으나, 곧 복직되었다.

  • 사과 / 司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정6품 관직.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는 낭장(정6품)이라 불리었으나 1394년(태조 3) 2월에 ()이라 개칭되고, 1466년(세조 12) 1월에 사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에는 정원이 15인이었으나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