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사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32)
사전(207)
- 부사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종6품 관직. [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여절(勵節)‧병절교위(秉節校尉)라 별칭되었다. 태종 때에는 섭부사직(攝副司直)이라 하였으나 오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6년(세조 12) 관제개혁 때 종6품 부사과로 개...이칭별칭여절(勵節)|병절교위(秉節校尉)
- 부사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오위에 속한 종육품 무관직정의오위에 속한 종육품 무관직 | 문광부표기busagwa | MR표기pusag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사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정6품 관직. [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돈용교위(敦勇校尉)ㆍ진용교위(進勇校尉)라 별칭되었다.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는 낭장(郎將, 정6품)이라 불리었으나 1394년(태조 3) 2월에 부사직(副司直)이라 개칭되고...이칭별칭돈용교위(敦勇校尉)|진용교위(進勇校尉)
- 부사과(副司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사과 부사과 副司果 섭부사직(攝副司直) 오위(五衛)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1466년(세조 12) 5위(五衛) 종육품 [정의] 조선시대동의어섭부사직(攝副司直) | 관련어오위(五衛)
- 임재(林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부사의 서기(書記)로서 사행에 참여하였다. 사행 당시 직위는 부사과(副司果)였다. 金指南,『東槎日錄』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2,222)
- 한말 부사과(副司果) 이최승(李最承) 상소(上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부여 은산 함양박씨
- 한말 부사과(副司果) 이설(李偰) 상소(上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부여 은산 함양박씨
- 한후현 용양위 부사과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낱장 일부 편이다. 韓後賢을 宣略將軍 行龍驤衛 副司果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宣略將軍 종4품의 무신 품계로 관계로 이고신은 4품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官敎에 해당하며, 국왕 명의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敎旨’라는 문구가 있다. 선략장군이 종4품의 품계...분야문학 | 유형문헌
- 6 第六統統首副司果金起萬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05년_내상면(內廂面) 1705년 내상면(內廂面) 第二西門內里 6 第六統統首副司果金起萬 @5 統第一戶南門內來龍驤衛副司果兵營二道軍官金起萬年參拾陸庚戌本金海父折衝將軍就仁祖 老職通政大夫善佑曾祖老職通政大夫允禎外祖納粟通政大夫辛儀南本靈山妻金召 史年肆拾丙...연도_면이름1705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二西門內里
- 成以性을 定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79 0289_01 成以性을 定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82.JPG 成以性을 定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에 임명하는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3)
- 십이월 십삼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를 볼지라 맛당이 류렴리라 옵시고 젼 부과 죠관식등 륜긔를 바르게 쟈 샹소 비지에 장레원으로 야금 죠쳐라 옵시다 이상 십이월 십일 경무 리근호 직샹소 비지에 양말고 곳 공라 옵시다게재일1898년 12월 14일 | 기사분류관보
- 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卷下 21.4x31.1 續集 第18張: 歲次戊寅季冬湖南道海南地頭輪山大興寺開刊 秉節校尉行龍驤衛副司果金熙采謹書 H8, p.552. 전남 담양 용흥사 동국대 ABC사업단 전체 제공 1. 卷下末(第77張): '吳城西幻住庵比丘 永中謹識'의 識語가 있음...대표표제어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7 | 대표서명緇門警訓註 | 한글서명치문경훈주 | 서지형태형태서지
- 구월 이십륙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표등 언샹소 비지에 토죄 자 거슨 공문 셔 님이라 헤 베푼말은 맛당이 유렴 리라 옵시고 젼부과 리셰진등 언샹소 비지에 옥가 비밀지라 너의가 엇지 몬져 알고 이러케 토죄쟈 나뇨 옵시고 장례원 쥬 황의쳘 언상소 비지에 법률 곳치고 녯법...게재일1898년 9월 27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12)
-
부사과 / 副司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6품 관직. 태종 때에는 섭부사직(攝副司直)이라 하였으나 오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6년(세조 12) 관제개혁 때 종6품 부사과로 개칭되어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의 정원은 176인이었으나 후기로 오면서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하게 되자 그
-
포쇄관 / 曝曬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고의 서적들을 점검하고 햇빛과 바람을 쏘이던 일을 맡은 사관. 일반적으로 외사고의 포쇄에는 춘추관의 기사관급인 예문관의 봉교·대교·검열이 파견되었지만 별겸춘추관인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가 파견되는 경우도 상당히 있었다. 많이 파견된 사관을 보면, 검열
-
유치선 / 兪致善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3∼?). 부사과·대사성·부총관 등을 거쳐 1867년 경기도관찰사로 있을 때 《기계유씨세보》를 중간하고, 1874년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참의·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석경 / 李碩慶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28(인조 6).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이엄,어머니는 박광미의 딸이다.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아 한번도 응시하지 않았다. 효행으로 부사과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덕암문집』2권이 있다.
-
이엽 / 李爗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9∼1788). 1777년(정조 1) 증광문과 병과급제 후 부사과·선조보감찬집랑·전적 등을 거쳐 공조정랑에 이르렀다. 문장·재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특히《주역》에 조예가 깊고, 실학사상에도 관심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