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병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10)
- 부병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향리직(鄕吏職). [내용] 신라 말 이후 각지의 호족(豪族)들이 가지고 있던 독자적인 관부(官府)를 983년(성종 2)에 향리직으로 변경하면서 병부(兵部)의 연상(筵上)을 개칭한 것이다. 사병(司兵)에 속하며 병정(兵正)의 아래...
- 사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방세력이 성종(成宗) 이전에 중앙관아(中央官衙)의 관명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지방에서 독립적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던 때문이다. 사병에는 향리직(鄕吏職)으로 병정(兵正)ㆍ부병정(副兵正)ㆍ병사(兵史)가 속해 있었다.
- 부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부병정(付丙丁)’의 준말. 병정(丙丁)은 오행(五行)의 화(火)에 속하니, 불에 태우라는 뜻. 此紙覽過 付丙幸甚, 김수항(金壽恒), 23-12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연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속된 관직이다. 다른 향리직과 마찬가지로 중앙파견직이 아니라 우월한 경제력을 가진 그 지방의 토착세력이 차지하였으며, 군역대상자를 파악, 동원하는 임무를 수행한 듯하다. 그 뒤 고려에 들어와 983년(성종 2) 향리직이 개편될 때 부병정(副兵正)으로 바뀌었다....
- 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향직의 임명장. [내용] 1018년(현종 9) 각 주ㆍ부ㆍ군ㆍ현의 호장(戶長)ㆍ부호장ㆍ병정(兵正)ㆍ부병정ㆍ창정(倉正)ㆍ부창정ㆍ사(史) 등 향직의 정원을 마련하는 한편, 호장을 임명할 때는 지방관이 천거하되 그 전직의 근무연수ㆍ근...
고서·고문서(12)
- 王薦益壽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巖石間靑蔓離披有二瓜焉因摘歸奉母母食之渴頓止 父病精虔禱上天願將已算益親年孝心感格天心順恍惚神將帝命傳 母渴思瓜正歲寒那堪山路雪漫漫雙瓜忽産空巖裏歸奉慈親痼疾安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가덕도(加德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7 B000077 가덕도 加德島 도서 경상남도 中宗實錄 三十六年(1541) 十二月 중종실록_13612029_001 ○庚辰 / 政院以慶尙右道兵使【梁允義】啓本【“今十二月二十一日, 巨濟縣令元淮牒云: ‘側聞玉浦萬戶李泓, 今月十一日, 加德島伏兵定送, 十五日未明, 還浦持十三名...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제현령(巨濟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185 B018185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中宗實錄 三十六年(1541) 十二月 중종실록_13612029_001 ○庚辰 / 政院以慶尙右道兵使【梁允義】啓本【“今十二月二十一日, 巨濟縣令元淮牒云: ‘側聞玉浦萬戶李泓, 今月十一日, 加德島伏兵定送, 十五日未明, 還浦持十...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臣今於勅行之來, 有私義之當遞者, 臣之五代祖母徐, 曾於亂離之歲, 避兵江都, 遂以身殉。 嗚呼, 自夫丙丁以來, 孰不懷忍痛含冤之心? 其在臣家, 私痛益深, 縱年代之寢遠, 豈子孫之可忘? 是以臣家凡係彼中應接之事, 未嘗與言, 而臣於頃年, 待罪喉院, 適當迎勅之時, 亦且辭遞, 誠不忍自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士民必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曰丁抹 曰德國 曰荷蘭 曰白耳義 曰英吉利 曰法蘭西 曰西班牙 曰葡萄牙 曰瑞西 曰意大里 曰奧地里亞凶牙里 曰婁稱尼亞 曰西比亞 曰山馬利魯 曰土耳其 曰希臘 是諸國者 國富兵精 技奇學專 政治一順民志 瞽聾啞跛之人 敎學有堂 老弱瘡痍顚狂之人 養治有院 擧一國之內 都無棄人 爲官吏者 有慢侮侵漁...서명士民必知 | 자료명歐羅巴總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