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료군관” 에 대한 검색결과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용호영(龍虎營)‧총융청(摠戎廳) 소속의 유급 군관. [내용] 정직무관(正職武官) 이외에 도사(都事) 의무를 수행하는 일반군관에게는 급료가 없는 것이 원칙이나, 그 중 시험을 실시하여 급료가 있는 자리에 배치하고 이를 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別) 정치군사·국방/편제 직역 조선 조선 노영구 용호영(龍虎營), 총융청(摠戎廳) 정9품 [정의] 조선후기 용호영과 총융청 등에
    관련어별부료군관(別付料軍官)
  • (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북별(西北別) 별부료청(別付料廳) 정치군사·국방/편제 직역 조선 조선 노영구 용호영(龍虎營), 총융청(摠戎廳) [정의] 조선후...
    동의어서북별부료군관(西北別付料軍官) | 관련어별부료청(別付料廳)
  • 호위청(扈衛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대장의 청도 4청에서 2청으로 감축되어 호위대장도 4명에서 2명으로 줄었다. 효종이 즉위한 뒤 호위청은 다시 4청으로 복구되었다. 인조 때와 마찬가지로 훈신 또는 척신 가운데 의정 등의 고위 관직을 맡은 인사들이 호위대장이 되었는데, 각기 거느린 의 수만도...
    관련어용호영(龍虎營)
  • 이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 집의로서 관장이 낭관을 검칙하지 못하는 폐단과 서북 별부료(別付料: 별의 약칭으로 총융청ㆍ용호영의 무관)에 낙방한 무리들의 소란을 다스릴 것을 청하였다. 1735년에는 사령의 과다함을 개선할 것을 주장하였다. 『숙종실록(肅...
    이칭별칭 중현(仲玄)

고서·고문서(13)

  • 唐浦萬戶單吳漢徵, 海松萬戶單金養曾, 南桃浦萬戶單崔德弘, 甘浦萬戶單李泰寬, 西平萬戶單李東亮, 以上親臨試射時柳葉箭貫一中邊二中, 邊將除授事承傳, 都摠都事金養性, 武兼金尙鉉, 別康泰來, 內禁衛徐貴萬, 以上柳葉箭邊四中加資事承傳, 別鄭昌極, 兼司僕宋道濟, 以上柳葉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唐浦萬戶單吳漢徵, 海松萬戶單金養曾, 南桃浦萬戶單崔德弘, 甘浦萬戶單李泰寬, 西平萬戶單李東亮, 以上親臨試射時柳葉箭貫一中邊二中, 邊將除授事承傳, 都摠都事金養性, 武兼金尙鉉, 別康泰來, 內禁衛徐貴萬, 以上柳葉箭邊四中加資事承傳, 別鄭昌極, 兼司僕宋道濟, 以上柳葉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4025 B024025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英祖 12年 6月 10日_025 ... 弼泰曰, 臣卽馬梁僉使金弼泰也。 上曰, 履歷, 幾何? 弼泰曰, 乙巳武科別中日, 三中四分, 丑山萬戶除授, 遞歸後訓鍊都監隨行, 而今番別試才, 三中四分, 本職除授...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乙巳武科別中日, 三中四分, 丑山萬戶除授, 遞歸後訓鍊都監隨行, 而今番別試才, 三中四分, 本職除授矣。 上曰, 所懷陳達, 可也。 弼泰曰, 下去後若有變通者, 相議於水使, 當有以狀聞矣。 古今島僉使朴萬標進伏。 上曰, 職姓名云何? 萬標曰, 小臣, 卽古今島僉使朴萬標也。 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道臣·守臣處後稟處, 別金漢默, 羽林衛方處仁等二人, 身病猝重, 不得赴試, 係是三式年內, 依定式陳試。 直赴會試人馬兵朴莫大等二十二人內十人應試, 所授帖文, 依例爻周, 馬兵金弼潤作故, 慶尙左兵營馬兵朴莫大, 濟州閑良林奉得·玄琦·金載連·安聖溫·張錫元·高日奉, 慶尙監營選武軍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용호영·총융청 소속의 유급 군관. 정직무관 이외에 도사(都事) 의무를 수행하는 일반군관에게는 무급료 원칙이나, 그 중 시험을 실시하여 급료가 있는 자리에 배치하고 이를 이라 하였다. 이들은 매월 21일에 병방(兵房)이 시취하는데 유엽전 10순을 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