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령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신증동국여지승람
- 함경도
- 대동여지도
연구성과물(250)
사전(39)
- 부령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령군] 광복 당시 함경북도 북동부에 있었던 군. 동쪽은 동해와, 서쪽은 무산군, 남쪽은 경성군과 청진시, 북쪽은 회령군‧종성군‧경흥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9°20′∼130°12′, 북위 41°47′∼42°18′에 위치하며, 면적 1,900.67...
- 부령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9년에 편찬된 함경북도 부령군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부령부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ㆍ관원(官員)ㆍ성지(城池)ㆍ관우(館宇)ㆍ방사...
- 근대신어 : 나진지구(羅進地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7363 나진지구 나항 羅進地區 咸鏡北道羅進府慶興郡雄基邑及豊海面富寧郡觀海面及三海面 함경북도 나진부 경흥군 웅기읍 및 풍해면 부녕군 해관면 및 삼해면 防空用語 (上) 地區關係 每日申報/每日新報 京城日報社/每日新...출전每日申報/每日新報[京城日報社/每日新報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행정지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이진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함경북도 부령군 관해면 소청동에서 삼해면 가진동 사이에 있는 만. [내용] 동쪽에 돌출한 화단반도(花端半島)에 의하여 낙산만(洛山灣)과 분리되고, 서쪽은 수평동의 비소단반도(非所端半島)에 의하여 형성된 만으로 만구의 너비는
- 부령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루‧보름에 분향을 하여왔다. 광복 이후의 사항은 미상이다. 『태학지(太學誌)』 『부령군읍지(富寧郡邑誌)(1899)』
고서·고문서(155)
- 부령군 청암면협의회회의록(富寧郡靑岩面協議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부령군 청암면협의회회의록 역사 문헌 근대 한국 고문서 국가기록원 소장 '청진부관계서류'철의 '부령군청암면재산처분의건답신서(회의록첨부)'에 포함된 1934년 05월 12일 부령군 청암면협의회회의록 재산처분, 청암면 일본어 CJA00030...대표표제어부령군 청암면협의회회의록(富寧郡靑岩面協議會會議錄) | 건명부령군청암면재산처분의건답신서(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34년 05월 | 회의일12일 | 키워드재산처분, 청암면
- 회령군에 거주하는 전참봉 오중묵의 소장에 1898년 2월 박몽현 이름으로 상납한 회령군 1898년도 결전과 부령군 미추조를 무산군 1898년도 결호전으로 옮겨 시행한 것을 아직도 받지 못했으니 출급토록 해 달라고 하니, 훈령이 도착하는 즉시 출급하라는 훈령의 기안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경력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경력란 이 남자 함경북도 부령군 알수없음 8 8 경력란, 성명, 이씨, 성별, 남자, 생년월일, 출생지, 함경북도, 부령...대표표제어경력란 | 성씨이
- 길림성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길림성 유 여자 함경북도 부령군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무역빌딩 3 1 길림성, 도문시, 유씨, 5촌숙,...대표표제어길림성 | 성씨유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439 B07543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33年 2月 2日_005 ○內部, 任江陵府參書官趙羲鳳, 金堤郡守趙範九, 茂山郡守閔致驥, 東萊郡守閔箕鎬, 積城郡守金學淵, 富寧郡守楊麟郁, 楊州郡守任原鎬。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7)
- 兩倅依免請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리쳔군슈 죠면슌 부령군슈 젼병훈량씨 모다 신병이잇다 칭고 직쳥원얏 부에셔 일병 의원면본관로 각에 쳥의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덕원부윤 박승봉과 쟝진군슈 박일헌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덕원부윤 박승봉과 쟝진군슈 박일헌과 안변군슈 최훈쥬와 경흥부윤 심후과 부령군슈 양린욱씨 다 안리슌하씨의 셔계에 치젹이 쵸월으로 각각일등식 승차엿더라게재일1901년 4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一放一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령군수 남쥰원씨 도임로 하거하다가 아병에게피착하야 △진에 두류하더니 방송이되야 샹경하고 단쳔군수 김유직씨도 부임로 하거하다가 아병에게피착하야 북청 아국군즁에 구수가되엿다더라게재일1904년 12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081호 진주정씨족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81호 진주정씨족보 진주정씨족보(晋州鄭氏族譜) 미기재 정덕현(鄭德賢) 함북(咸北) 부령군(富寧郡) 조선_1935년 5월 31일 불허가 미기재 한문 진주정씨족보 전편(...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81호 진주정씨족보 | 출판물명진주정씨족보(晋州鄭氏族譜)
- 함북로동신문_1947_1010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김윤복 청진시 관해리 96 함북로동신문사 부령군 민청 (부령) 부령군 민청원들은 모범 아동공원을 성취하고 공원에다 유□장과 운동기구를 설치하고 야외 극장도 건립하였다.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1010_01 | 책임주필김윤복
기타자료(29)
- 유근승;柳根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385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水原學報 제21권 제1호 1928―07―10 121면 유근승;柳根昇 함북 부령군청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강한송;姜寒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6952 중국 용정 大成中學校 제4회졸업동창생 졸업앨범 1930―03 0 강한송;姜寒松 함경북도 부령군 서하동 4회 1930년학교소재지역용정 | 학교명大成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항룡;金恒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6956 중국 용정 大成中學校 제4회졸업동창생 졸업앨범 1930―03 0 김항룡;金恒龍 함경북도 부령군 부거면 4회 1930년학교소재지역용정 | 학교명大成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해기;李海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933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53면 이해기;李海基 부령군 청라면 장현리 제14회 1939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순봉;朴舜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6625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43면 박순봉;朴舜鳳 함북 부령군 靑光面 倉坪洞 103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7)
-
부령군 / 富寧郡 [지리/인문지리]
광복 당시 함경북도 북동부에 있었던 군. 동쪽은 동해와, 서쪽은 무산군, 남쪽은 경성군과 청진시, 북쪽은 회령군·종성군·경흥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9°20′∼130°12′, 북위 41°47′∼42°18′에 위치하며, 면적 1,900.67㎢, 인구 6만 4789명(
-
부령군읍지 / 富寧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부령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부령부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관원(官員)·성지(城池)·관우(館宇)·방사창사(坊社倉舍
-
성천수 / 城川水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부령군 서상면과 경성군 주을읍의 경계인 여령(驪嶺, 1,728m)에서 발원하여 북서류하여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76.5㎞. 서두수(西頭水)·연면수(延面水)와 함께 두만강의 큰 지류이다. 성천수 양안에는 하안단구(河岸段丘)가 발달되어 있는데 이는 지
-
무산선 / 茂山線 [경제·산업/교통]
함경북도 부령군 고무산과 무산군 무산 사이에 부설된 철도. 총연장 57.9㎞. 고무산을 기점으로 서상-무수-폐무산-차령-신참-서풍산-주초-무산철산을 거쳐 무산에 이른다. 1929년에 개통되었으며 무산지역에서 채굴된 노천 철광석을 청진 지역의 제철소까지 수송하기 위하여
-
나진시 / 羅津市 [지리/인문지리]
羅津面)과 풍해리, 부령군(富寧郡)의 연천면(連川面)·부거면(富居面)·삼해면(三海面)·관해면(觀海面) 등 4개 면이 통합되어 나진군이 신설되었다. 1961년 3월 신흥리·안주리가 각각 노동자구로 개칭되었고, 남창리가 부거리에 통합되었다. 1967년 8월 남부의 7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