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부대언” 에 대한 검색결과 1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

사전(1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밀직사의 정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고려 전기의 우부승선(右副承宣)이 1276년(충렬왕 2) 우부승지(右副承旨)로 바뀌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한번 개칭된 것이다. 좌우대언 및 좌과 함께 대언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승정원에 소속된 정3품 관직. [내용] 1401년(태종 1)에 승원에 소속된 우부승지(右副承旨)를 개칭한 것이지만 뒤에 다시 우부승지로 개칭되었다. 『태종실록(太宗實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민왕 5) 문종(文宗) 때의 관제(官制)가 복구되면서 부승선으로 환원되었고, 1362년 다시 밀직사의 설치와 함께 부활되었다. 1369년 또다시 부승선으로 바뀌었다가 뒤에 ()으로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그대로 존속하였으며, 1433년(세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56년(공민왕 5) 다시 좌부승선으로 고쳤다가 1362년 좌으로 다시 개칭되고 1369년 좌부승선으로 다시 개칭, 뒤에 다시 좌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이 건국된 뒤 1401년(태종 1) 승정원의 좌부승지가 일시 개칭된 것이지만 뒤에 곧바로 좌부승지로 바뀌었...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후기 밀직사의 정3품 관직.
    정의고려 후기 밀직사의 정3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u budaeeon | MR표기u pudae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45)

  • 주역대전 : 震卦_단전1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21 震卦 단전1 彖曰, 震, 亨, 「단전」에서 말하였다:진(震)은 형통하니, 中國大全 本義 震有亨道, 也. ‘진(震)’에 형통한 도리가 있음은 굳이 말할 것도 없다.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焚合浦營屠燒梁蔚二州及義昌會原咸安鎭海固城班城東平東萊機張等縣 北靑千戶金仁贊獻海東靑禑賜白金五十兩 以池奫爲門下贊成事尹邦彦密直提學鄭良生大司憲金濤左金承得右以禹仁烈爲慶尙道都巡問使裴克廉晉州道元帥 憲府劾論判事金禧嘗附辛旽稱爲姻婭多行不義又不告父忌乃削職歸田里
    출처전거高麗史 권13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2684 B042684 대장경판 大藏經板 문화 世宗實錄 六年(1424) 春正月 세종실록_10601020_005 ... 顯、參贊安純、兵曹判書趙末生、大司憲河演、刑曹判書權軫、同鄭欽之、右司諫朴冠雜治之。 初, 本國被虜人來言: “在對馬島時, 日本國王通 于島主曰: ‘今遣使...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3_四種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矣. 《小記》“適婦不爲舅後者, 小功”, 則子雖正體, 而或有廢疾若他故者, 不得傳重, 而不三年, 可知. 適孫猶期, 則庶孫之傳重, 而非正體, 而明矣.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歐蘇手簡 第二卷 與丁元珍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25 與丁元珍 元珍淹屈于外交遊所宜出力既默無所爲而至於書問亦不能時致其勤其爲慚罪矣某自蒙恩歸院雖稍清閑而忽忽度日公私無所益此處京師者汩汩之常態也幸非甚愚頗知脫此而遠去然事有不得遂去者古人所謂不如意十常八九者殆此類也今歲廷試得人之盛...
    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2)

  • 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跡頌) 2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線裝(表紙改裝) 2卷1冊 26.1x17.3 序: 正順大夫密直司左判繕工寺事進賢提學知製敎李叔琪述 序: 大元至順庚午(1330)四月日 晦巖老人書 于柯亭 序: 天台末學無寄撰集...時天曆元年戊辰(1328)臘月旣望序述元 跋: 天歷三年庚午(1330)二月八 萬德...
    대표표제어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跡頌) 22 | 대표서명釋迦如來行蹟頌 | 한글서명석가여래행적송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跡頌) 2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不明] 1709年(肅宗 35) 跋 2卷2冊 29.5x21.2 序: 正順大夫密直司左判繕工寺事進賢提學知製敎李叔琪述...大元至順庚年(1330)四月 日晦菴老人書于柯亭 幷序: 天台未學浮庵無寄撰集...時天曆元年戊辰(1328)臘月旣望序述云 跋: 時天曆三年庚...
    대표표제어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跡頌) 21 | 대표서명釋迦如來行蹟頌 | 한글서명석가여래행적송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8)

  • / [정치·법제/법제·행정]

    치와 함께 부활되었다. 1369년 또다시 부승선으로 바뀌었다가 뒤에 으로 되었다. 1433년(세종 15) 좌부승지·우부승지·동부승지가 두어지면서 완전히 혁파되었다.

  • / 左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왕명의 출납 및 숙위·군기의 정사를 관장하던 밀직사의 정3품 관직. 1310년(충선왕 2) 좌부승선의 후신인 좌부승지를 개칭한 것이다. 1356년(공민왕 5) 좌부승선, 1362년 좌, 1369년 좌부승선, 뒤에 다시 좌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이

  • 부승지 / 副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태종 때까지는 고려시대와 같이 중추원에 소속되었으나 1405년(태종 5) 승정원이 분리, 독립되면서 승정원의 고유관제로 정비되었다. 이때 종전의 지신사·대언· 외에 동이 신설되어 6방의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그 뒤 세

  • 대언 / 代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밀직사에 소속된 관직의 하나. 밀직사는 중추원의 후신으로 원나라의 간섭으로서 변개된 것이다. 1310년(충선왕 2) 승지를 대언으로 개칭, 1354년(공민왕 3) 우·좌대언과 우·좌의 4대언이 모두 녹관이 되었고, 1362년 모두 정3품으로 정해졌다.

  • 이응 / 李膺 [종교·철학/유학]

    , 참지의정부사,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