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봉훈랑” 에 대한 검색결과 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5품 하계(下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무산계(文武散階 : 문관과 무관의 품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上階)는 봉직랑(奉直郎), 하계는 으로 정하여져 『경국...
  • 봉직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5품 상계(上階) 문산계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는 봉직랑, 하계는 ()으로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문산계
  • 종오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0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5품 문산계의 상계는 봉직랑(奉直郎), 하계는 ()으로, 무산계의 상계는 현신교위(顯信校尉), 하계는...
  • 봉직랑(奉直郞)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봉직랑 봉직랑 奉直郞 문관(文官), ()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선희 [정의] 문산계(文散階) 종5품의 상계(上階). [내용] 1392년(태조 1) 7...
    관련어문관(文官), 봉훈랑(奉訓郞)
  • 김성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氏)로 () 세인(世仁)의 딸이다. [내용] 가계는 당시 사회의 대표적인 훈벌가문(勳閥家門)이었지만, 유복자였던 만큼 매우 궁핍하여 학문의 길에 나아갈 수 없었다. 이로 인하여 어려서부터 치산(治産)에 힘써 거만의 재부를 축적하여 당대의...
    이칭별칭 입부(立夫)

고서·고문서(42)

  • 權寏을 行 宗簿寺直長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981 1707_01 權寏을 行 宗簿寺直長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LK117.JPG 權寏을 行 宗簿寺直長으로 임명하는 교첩 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萬曆三十年 閏二月 二十三日 承議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39 1210_01 萬曆三十年 閏二月 二十三日 承議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08.JPG 萬...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萬曆三十年 閏二月 二十三日 承議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40 1210_02 萬曆三十年 閏二月 二十三日 承議郞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08.hwp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萬曆三十年 三月 十七日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奉直郞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41 1211_01 萬曆三十年 三月 十七日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奉直郞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09.JPG 萬曆三...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萬曆三十年 三月 十七日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奉直郞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42 1211_02 萬曆三十年 三月 十七日 行廣興倉 副奉事 趙靖을 奉直郞 行廣興倉 副奉事에 임명하는 敎牒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09.hwp 吏曹...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5품 하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는 봉직랑(奉直郎), 하계는 으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봉직랑 / 奉直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5품 상계 문산계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는 봉직랑, 하계는 ()으로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종오품 / 從五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0등급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5품 문산계의 상계는 봉직랑, 하계는 으로, 무산계의 상계는 현신교위,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였다. 그 뒤 ≪경국대전≫에는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친계는 1443년

  • 과환록 / 科宦錄 [역사/조선시대사]

    )까지로 ()으로부터 영광군수에 제수되기까지의 일들이 기록되어 있다. 제3책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로 승지에서 성균관대사성에 이르기까지의 일들이 기록되어 있다. 제4책은 1843년부터 1847년까지로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고, 형조판서에 제수되기까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