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봉화산봉수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2)
- 봉화산봉수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간봉(間峰) 6로로서 처음 부산 다대포봉수대에서 시작하여, 진해고산봉수대→봉화산봉수대→함안안곡산봉수대→창녕‧현풍노산봉수대를 거쳐 최종적으로 서울 목멱산(남산)봉수대로 연결되었다. 봉수제도는 고려 의종 3년에 서북병마사 조진약(曺晉若)의 주청에 의하여 처음 시...연계항목봉화산봉수대(烽火山烽燧臺)
- 남원시(전라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란 때 처영 등에 의해 개축된 교룡산성(蛟龍山城, 전라북도 기념물 제9호)과 용투산성지(龍鬪山城址), 대산면 신계리성터가 있고 주생면 내동리, 운봉읍 장교리‧가산리 등에 성터가 남아 있다. 봉수대로는 삼국시대에 신라와 백제의 국경이던 봉화산봉수대가 아영면에 있는...
주제어사전(1)
-
봉화산봉수대 / 烽火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하여, 진해고산봉수대→봉화산봉수대→함안안곡산봉수대→창녕·현풍노산봉수대를 거쳐 최종적으로 서울 목멱산(남산)봉수대로 연결되었다. 봉수제도는 고려 의종 3년에 서북병마사 조진약(曺晉若)의 주청에 의하여 처음 시작되었고, 세종 원년(1419)에는 봉수령을 제정 군사제도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