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봉직랑” 에 대한 검색결과 1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9)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5품 상계(上階) 문산계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는 , 하계는 봉훈랑(奉訓郎)으로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문산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동반(東班) 종6품의 토관(土官)의 품계. [내용] 1457년(세조 3) 토관계의 종6품 문신의 품계로 이, 무신의 품계로는 여신대위(勵信隊尉)가 정하여졌다. 이에 해당되는 관직으로 감부(勘簿)를 비롯하여 도할...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관(文官), 봉훈랑(奉訓郞)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선희 [정의] 문산계(文散階) 종5품의 상계(上階). [내용] 1392년(태조 1) 7...
    관련어문관(文官), 봉훈랑(奉訓郞)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반(東班), 변진(邊鎭), 육진(六鎭), 토관(土官), 향리(鄕吏)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선희 [정의] 토관(土官) 문반직의 종6품 관계(官階)...
    관련어동반(東班), 변진(邊鎭), 육진(六鎭), 토관(土官), 향리(鄕吏)
  • 봉훈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5품 하계(下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무산계(文武散階 : 문관과 무관의 품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上階)는 (), 하계는 봉훈랑으로 정하여져 『경국...

고서·고문서(138)

  • 權寏을 行宗簿寺直長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10 1430_01 權寏을 行宗簿寺直長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LK087.JPG 權寏을 行宗簿寺直長으로 임명하는 교첩 敎牒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權宏을 行 英陵參奉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987 1713_01 權宏을 行 英陵參奉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LK123.JPG 權宏을 行 英陵參奉으로 임명하는 교첩 교첩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顯信校尉 行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行慶源都護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10 1195_01 顯信校尉 行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行慶源都護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MP046.JPG 顯信校尉 行訓鍊院 判官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顯信校尉 行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行慶源都護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牒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11 1195_02 顯信校尉 行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行慶源都護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牒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MP046.hwp 吏曺萬曆三十三年 七月初...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崇禎二年 三月 初五日 童蒙敎官 趙基遠을 通德郞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75 1228_01 崇禎二年 三月 初五日 童蒙敎官 趙基遠을 通德郞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KJ026.JPG 崇禎二年 三月 初五日 童蒙敎官...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5품 상계 문산계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는 , 하계는 봉훈랑(奉訓郎)으로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봉훈랑 / 奉訓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5품 하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5품 상계는 (), 하계는 봉훈랑으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이우흠 / 李友欽 [종교·철학/유학]

    아름답게 묘사하기를 잘하였는데 진부한 어휘는 일체 쓰지 않았다. 과거시험에 응시하지 않았으나 벼슬은 () 등을 역임하였다. 묘는 충청남도 당진군(唐津郡) 면천면(沔川面)에 있다.

  • 정옥량 / 鄭玉良 [종교·철학/유학]

    1395(태조 4)∼1447(세종 29).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정사중, 어머니는 임급의 딸이다. 길재와 권우의 문하에서 수학, 박팽년·유성원·정창·이석형·정준 등과 교우가 두터웠다. 세종 때에 효행으로 천거되어 행하양현감에 임용되었으나 곧 향리에 은거하

  • 종오품 / 從五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0등급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5품 문산계의 상계는 , 하계는 봉훈랑으로, 무산계의 상계는 현신교위,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였다. 그 뒤 ≪경국대전≫에는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친계는 144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