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봉조하” 에 대한 검색결과 3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9)

사전(1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봉조청의 법이 ()로 개정되었다. 그 개정 시기는 1464년(세조 10) 4월과 1467년 정월 사이의 일이다. 봉조청은 조정의 일을 청하면 항상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는 단지 정조‧동지 및 탄신일 등의 조하의(朝賀儀)에만 참여한다는...
  • TD_E2_J_0106 관직 李左尹, 謝病, 不受祿, 受祿, 吏曹, 無前例, 故事, 乞致仕, 不限年, 京官, 外官, 致, 廉恥, 士大夫, 退休 皇朝, 我國 沈連源, 尚震, 李府尹彦憬 吾學編, 法典 J_04_01_10 지봉유설 4...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사(耆社), 기로소(耆老所) 봉조청(奉朝請) 치사(致仕) 정치행정/관청|정치/행정/관직·관품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태조~고종 한충희 [정의] 조선시대에 정년퇴직한 공신...
    동의어봉조청(奉朝請) | 관련어치사(致仕)
  • 삼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 퇴임한 종2품 이상의 관원에게 특별히 내린 벼슬. 종신토록 녹봉을 주었음. 吳丈與花.果爲從妹夫 向日諺書中以三字不到未好裁書云, 유우목(柳宇睦), 02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경현당선마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7년(영조 43) () 남유용(南有容)ㆍ김상익(金尙翼)ㆍ박성원(朴聖源) 등에게 영조가 선마(宣麻 : 敎旨를 선포함.)한 내용을 적은 책. [내용] 1권 1책. 활자본. 책 끝에 왕의 교지를 받들어 쓴 남유용의 발문이 있다...

고서·고문서(253)

신문·잡지(1)

  • 遣使致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옥쳔대신 송근슈씨 흉셔한는 작일잡보에 긔얏거니와 조칙이 나리시기를 송 샹에 비셔승을 보야 치졔고 쟝슈는 도로셔 후게보라 셧더라
    게재일1903년 1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신·공신적장·동서반 당상관 등이 치사한 뒤에 임명되는 관직. 이 제도는 전직 고급관료를 대우하던 일종의 훈호(勳號)로서 직사는 없다. 다만 정조(正朝)·동지(冬至)·탄일(誕日) 등의 하례식에만 참석하고, 재직시의 품계에 따라 소정의 녹(祿)이 지급되는 은

  • 정숭조 / 鄭崇祖 [종교·철학/유학]

    등을 역임하였다. 숭정대부에올라 가 되었다.

  • 조중회 / 趙重晦 [종교·철학/유학]

    나 사양 후 가 되었다.

  • 경현당선마록 / 景賢堂宣麻錄 [역사/조선시대사]

    1767년(영조 43) () 남유용(南有容)·김상익(金尙翼)·박성원(朴聖源) 등에게 선마(宣麻)한 내용을 기록한 책. 1권 1책. 활자본. 책 끝에 왕의 교지를 받들어 쓴 남유용의 발문이 있다.내용은 1767년 1월 14일 남유용·김상익·박성원 등 3인이

  • 김상로 / 金尙魯 [종교·철학/유학]

    건의하였다. 1748년 공조판서, 이듬해 탕평책에 찬성하였다. 1762년 사도세자의 처벌에 적극 참여하여 영조의 동조를 얻었으나 왕이 이를 후회하자 청주에 귀양 갔으며 특명으로 풀려난 뒤 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