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봉정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4)
사전(11)
- 봉렬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정4품 하계(下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奉正大夫), 하계는 봉렬대부로 정하여졌다. → 문산계
- 봉정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정4품 상계(上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정하여졌다. → 문산계
- 정사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7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봉렬대부로, 무산계의 정4품 상계는 위용장군(威勇將軍), 하계는 위의장군(威...
- 성의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하다가 재차 천군의 간절한 요청을 받고 마침내 응한다. 주일옹ㆍ성의백과 더불어 월백ㆍ환백의 반란을 평정한 후 도성으로 개선한다. 재침해 온 이적[월백ㆍ환백]을 패주신킨 후, 논공행상에서 봉정대부(奉正大夫) 문하시중에 임명되고 성의백(誠意伯)로 봉해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에 아뢰었고, 1484년에 봉정대부(奉政大夫) 행사헌부지평(行司憲府持平)에, 1487년에 정랑(正郞)에서 첨정(僉正)이 되었으나 의정부에서 적당하지 못하다고 아뢰었다. 그러나 이듬해 통정대부 승정원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가 되었다. 1489년에 우부승지(右副承...
고서·고문서(93)
- 趙基遠을 奉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91 1236_01 趙基遠을 奉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34.JPG 趙基遠을 奉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敎旨 仁祖 趙基遠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奉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92 1236_02 趙基遠을 奉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34.hwp 敎旨 趙基遠爲奉 正大夫者 崇禎四年四月 日 童蒙敎官辛二別加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安義를 奉正大夫守成均館司成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60 0270_01 成安義를 奉正大夫守成均館司成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63.JPG 成安義를 奉正大夫守成均館司成에 임명하는 교지...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安義를 奉正大夫守寧海都護府使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61 0271_01 成安義를 奉正大夫守寧海都護府使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64.JPG 成安義를 奉正大夫守寧海都護府使에 임명하는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權寏을 奉正大夫 行 工曹正郞으로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974 1700_01 權寏을 奉正大夫 行 工曹正郞으로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LK110.JPG 權寏을 奉正大夫 行 工曹正郞으로 임명하는 교지 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3)
-
봉정대부 / 奉正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4품 상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정하여졌다.
-
봉렬대부 / 奉列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4품 하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奉正大夫), 하계는 봉렬대부로 정하여졌다.
-
정사품 / 正四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7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봉렬대부로, 무산계의 정4품 상계는 위용장군, 하계는 위의장군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무산계의 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