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봉안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19)
- 봉안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신주, 혼백, 책보 등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 선왕의 상징물이나 유물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을 봉안의(奉安儀)라고 한다. 전례서에 독립된 의주로 실린 봉안의(奉安儀)로는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에 나오는 「영가지능소봉안의靈駕至陵所奉安儀」가...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봉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신주, 혼백, 책보 등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심. 선왕의 상징물이나 유물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을 봉안의(奉安儀)라고 한다. 捧魂帛函安於車仍請車駕進發以此觀之則先以腰輿奉安魂帛虞主至外門外啓請降輿陞車所謂車卽輦也己丑年則以腰輿, (국장1903/030ㄴ1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경모궁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권1에 본궁전도(本宮全圖)‧봉안의물(奉安儀物)‧인장(印欌)‧책봉옥인(冊封玉印)‧옥인전문(玉印篆文)‧책장(冊欌)‧교명문(敎命文)‧책봉죽책(冊封竹冊)‧의장(儀仗)‧제기‧악기‧무기‧일무(佾舞)‧제복 등 28편, 권2는 봉안규제(奉安規制)‧제향규식(祭享規式)‧탄일(誕日)‧기신...
- 미륵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는데, 모두가 미륵불 봉안의 법당임을 상징하는 것이다. 김제 금산사 미륵장륙상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 본존불 높이 11.82m, 좌우협시보살상 8.79m.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양식을...이칭별칭용화전(龍華殿)|장륙전(丈六殿)
- 봉화북지리석반가사유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었다. 반가상은 비록 상반신이 인위적으로 파괴되어 허리 이하만 남아 있다 하더라도 우리 나라의 반가상 중 최대의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동양 불교국을 통하여서도 가장 큰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큰 석상의 조성과 법당 봉안의 사실에서도 신라...연계항목봉화북지리석반가사유상(奉化北枝里石半跏思惟像)
고서·고문서(20)
- 선원보략수정시강화봉안의궤(璿源譜略修正時江華奉安儀軌, 1758)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758년(영조34) 3월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약칭 『선원보략(璿源譜略)』)을 수정한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선원보략』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왕실 족보로서, 국왕을 비롯한 왕실 구성원들의 신상에 변화가 생기거나 의례가 거행될 때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선원보략수정강원도강릉오대산봉안의궤(璿源譜略修正江原道江陵五臺山奉安儀軌, 1759)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759년(영조35)에 행해졌던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약칭 『선원보략(璿源譜略)』) 수정(修正)의 절차와 내용을 기록한 의궤로 종부시(宗簿寺)에서 편찬하였다. 『선원보략』은 조선후기 작성된 왕실 족보(族譜)의 한 종류로, 1679년(숙종5)낭원군(朗原君)이...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垣墻修築, 擇日奉安矣。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大喪儀関係文書・大正天皇大喪記録第八冊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1023262016102326_032 大喪儀関係文書・大正天皇大喪記録第八冊 第十三章 靈代奉安ノ儀 제13장 영대봉안의 의례 국립공문서관 喪00305100 0798 1 문서 도면 1928.06.99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7. 01. 2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大喪儀関係文書・昭憲皇太后大喪儀書類四十五・昭憲皇太后大喪各儀ニ関スル記事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1018072016101807_007 大喪儀関係文書・昭憲皇太后大喪儀書類四十五・昭憲皇太后大喪各儀ニ関スル記事 靈代奉安ノ儀ニ関スル記事 영대봉안의 의례에 관한 기사 국립공문서관 喪00187100 0279 1 문서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10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
- 조선공론_1937_25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無名草紙と王朝文學 峰岸義秋 134 文學を行ずる 津三喜夫 135 企業助成實株の利殖 新時代の合理的機關 東道企業證券 古居栗田有川 三氏の活...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연구과제(2)
-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강관식 | 한성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붓다의 현존과 불국토: 고대 한국의 불교 지향과 사천왕 이미지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심영신 | 숭실대학교 | 202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
-
봉안의 / 奉安儀 [정치·법제]
신주, 혼백, 책보 등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 선왕의 상징물이나 유물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을 봉안의라고 한다. 전례서에 독립된 의주로 실린 봉안의로는 <국조속오례의>에 나오는 "영가지능소봉안의"가 있다. 이것은 상여가 능소에 도달한 후
-
경모궁의궤 / 景慕宮儀軌 [종교·철학/유학]
1783년(정조 7) 교정청에서 사도세자와 헌경왕후의 사당인 경모궁에서 지내는 제사의 의식과 절차 등을 기록한 의궤. 1783년(정조 7) 의궤청(儀軌廳)에서 작성되었다.권수에 목록이 있고, 권1에 본궁전도(本宮全圖)·봉안의물(奉安儀物)·인장(印欌)·책봉옥인(冊封玉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