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봉수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5)
사전(187)
- 태평봉수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에 있는 봉수대. [내용] 전라북도 기념물 제36호.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무릉리와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 접경지역인 진등마을에서 북서쪽으로 직선거리 1,200m 정도 떨어진 성재 봉우리(해발 830m)...연계항목태평봉수대(太平烽燧臺)
- 주전봉수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울산광역시 동구 주전동에 있는 봉수대. [내용]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13호.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봉수대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보면, 울산군에는 봉화가 임을랑포‧아이포‧이길‧하산‧가리‧천내‧남목‧유등포 등 여덟 곳에 있었...연계항목주전봉수대(朱田烽燧臺)
- 어달산봉수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동해시 대진동에 있는 봉수대. [내용] 봉수는 변경 지역의 긴급한 상황을 중앙 또는 변경의 다른 기지에 신속히 알리려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서로 잘 보이는 산봉우리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밤에는 횃불(熢)로...
- 아차산봉수대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봉화산 정상에 있는 봉수대. [내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5호. 함경도 지방에서 서울 남산의 경봉수(京烽燧)로 이어지는 제1 봉수로의 마지막 봉수이다. 봉화대가 있는 봉화산은 표고 137.9m...연계항목아차산봉수대지(峨嵯山烽燧臺址)
- 남산봉수대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남산 정상에 있는 봉수대. [내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4호. ≪경국대전≫에 전하는 목멱산봉수(木覓山烽燧)로, 서울에 있다고 하여 경봉수(京烽燧)라 하였다. 조선시대 전국 각지의 경보를 병조(兵曹)에...연계항목남산봉수대지(南山烽燧臺址)
고서·고문서(18)
- 금산(錦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564 B031564 금산 錦山 산악 輿地圖書 慶尙道 晉州 烽燧 烽燧臺方山烽燧(在州南一百十里南應南海錦山北報州角山相距四十里) 角山烽燧(在州南八十里南應臺方山北報泗川鞍峴相距三十里) 望陣烽燧(在州南十里南應泗川鞍峴北報州廣濟相距四十里) 廣濟烽燧(在州北三十里南應州望陣北報丹城笠...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진(大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639 B048639 대진 大津 군사교통 輿地圖書 平安道 三和府 烽燧 烽燧大唐頭山海望烟臺(在府西四十里北應龍岡所山烟臺三十五里東應本府牛山烟臺三十五里) 牛山海望烟臺在(府南十里西應本府大唐頭山烟臺三十五里南應黃海道長連今音卜山烟臺隔大津四十里)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각산봉수(角山烽燧)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438 B002438 각산봉수 角山烽燧 군사교통 輿地圖書 慶尙道 晉州 烽燧 烽燧臺方山烽燧(在州南一百十里南應南海錦山北報州角山相距四十里) 角山烽燧(在州南八十里南應臺方山北報泗川鞍峴相距三十里) 望陣烽燧(在州南十里南應泗川鞍峴北報州廣濟相距四十里) 廣濟烽燧(在州北三十里南應州望陣...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북면(東北面)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年壬寅築石城) 興天山(在府西六十里鴨萬長而有烽燧臺) 乾達山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田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nLink?DCI=ITKC_MP_0597A_1620_010_0220_2015_035_XML 035 田婦磨鎌去,小麥猶靑色。 蓬首帶晩愁,蕭蕭立溝洫。 含悽下龜手,纔能具夕食。 不能刈全畝,朝飢似未憶。 朝飢豈不悲,待熟延姑息。 况復輸官多,鞭撻那忍克。 223 ~ 224쪽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桐園手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
- 봉수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8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일운면 | 제보자김두이
- 광제산 봉수대(廣濟山 烽燧臺)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전에 동전 마을에 연로한 분이 계신다고 하여갔다가 마침 마을 가운데 나무 그늘에서 하곡수매대금을 받고 5명의 중년 노인이 막걸리를 마시며 쉬고 있어 <page id="718"></page> 서 접근하여 설화를 구술하도록 유도하였다. 다들 잘 이야기하려 하지 ...조사일시1980-08-07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명석면 | 제보자강동권
신문·잡지(1)
- 선데이서울_1970_03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정외과 나오고 돈벌이 부엌 외교 72 광고 74 역로와 봉수대 7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멀티미디어(9)
- 동해 어달산 봉수대 s1-0006_#1 유구 그림1. 대동여지도에 나타난 어달산 봉수 2013-03-25_0.7623407_그림1. 대동여지도에 나타난 어달산 봉수.jpg s1-0006_#2 유구 어달산 봉수대 모습 2013-03제목동해 어달산 봉수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통영미륵산봉수대 ss1-0280_#1 유구 지도 1. 미륵산봉수대 및 주변유적 위치도 2014-11-11_0.7569239_지도 1. 미륵산봉수대 및 주변유적 위치도.jpg ss1-0280_#2 유구 도면 1. 미륵산봉수대 유구배치도제목통영미륵산봉수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진주 광제산 봉수대 -진주 광제산 봉수대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진주 광제산 봉수대 -진주 광제산 봉수대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보고서- ss1-0209_#1 유구 도면 1. 유적위치도 2014-11-26_0.3000757_도면 1. 유적위치도.jpg ss1-0209_#2 유구 도면 8. 발굴조제목진주 광제산 봉수대 -진주 광제산 봉수대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밀양 추화산봉수대 시굴조사 보고서 ss1-0149_#1 유구 도면 1. 유적 위치도 2014-11-12_0.5203211_도면 1. 유적 위치도.jpg ss1-0149_#2 유구 도면 4. 봉수대와 부속건물지 측량도 2014-11제목밀양 추화산봉수대 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충주 주정산 봉수대 발굴조사 보고서 h2-0196_#1 유구 [圖版 7] 발굴전 봉수터 북측 전경 h2-0196_1_2015-05-21_5626_[圖版 7] 발굴전 봉수터 북측 전경.JPG h2-0196_#2 유구 [圖版 8] 발굴전제목충주 주정산 봉수대 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28)
- 독동 봉수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독동 봉수대 북한 독동 봉수대 관방유적 발해 함경북도(咸鏡北道) 청진시(淸津市) 부거리(富巨里) 411고지의 봉우리 정상 독동 봉수대.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표표제어독동 봉수대 | 유적소재국가북한 | 유적명독동 봉수대
- 연대봉 봉수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연대봉 봉수대 북한 연대봉 봉수대 관방유적 발해~조선 함경북도(咸鏡北道) 청진시(淸津市) 부거리(富居里) 부거석성(富居石城) 동쪽 3㎞ 떨어진 해발 280m의 연대봉 정상 연대봉봉수대.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대표표제어연대봉 봉수대 | 유적소재국가북한 | 유적명연대봉 봉수대
- 동해 어달산 봉수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s1-0006 유구 2013-03-25_1.029605E-02_강릉대학교 박물관_동해 어달산 봉수대_표지.jpg 동해 어달산 봉수대 東海 於達山 烽燧臺 2001/07 강릉대학교박물관 100 이규대,백홍기,최영희,조유전,차용걸,심정보,지현...발행연도2001/07 | 발굴기관강릉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강원도
- 통영미륵산봉수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ss1-0280 유구 2014-02-14_0.8870355_통영 미륵산 봉수대 표지.jpg 통영미륵산봉수대 統營彌勒山烽燧臺 2001 통영시/경남문화재연구원 156 정의도,김권중,고은정,김현정,정인태 정의도,김권중 경남문화재연구원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통영시/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 밀양 추화산봉수대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ss1-0149 유구 2014-02-17_0.9297144_밀양 추화산봉수대 시굴조사 보고서 표지.jpg 밀양 추화산봉수대 시굴조사 보고서 密陽 推火山烽燧臺 試掘調査 報告書 2001 동아대학교박물관 146 심봉근,이동주,곽민정,위혜주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동아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30)
-
봉수대 / 烽燧臺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봉수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소. 조선시대에 있어서는 삼수 갑산으로부터 시작하여 전국의 주요지역 각지에 많은 봉수대가 설치되었고, 별장 22인, 백총 47인, 감관 567인, 무사 2,610인, 합계 3,646인의 봉수군이 구성되었다.
-
주전봉수대 / 朱田烽燧臺 [경제·산업/통신]
울산광역시 동구 주전동에 있는 봉수대.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3호.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봉수대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보면, 울산군에는 봉화가 임을랑포·아이포·이길·하산·가리·천내·남목·유등포 등 여덟 곳에 있었다. 이 봉화가 있는 곳이 남목천(南木川)과 인접해 있
-
태평봉수대 / 太平烽燧臺 [경제·산업/통신]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에 있는 봉수대. 전라북도 기념물 제36호.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무릉리와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 접경지역인 진등마을에서 북서쪽으로 직선거리 1,200m 정도 떨어진 성재 봉우리(해발 830m)에 위치하고 있다. 이 봉수대는 백제 때에 처음 축조되
-
가라산봉수대 / 加羅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다대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봉수대. 경상남도 기념물 제147호.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거제현에는 봉화가 가라산에 한 곳 있는데, 현의 남쪽 해변에 있으며 서쪽으로 고성의 미륵산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경상도지리지』에 보면, 가라산
-
광제산봉수대 / 廣濟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덕무리에 있는 봉수대. 경상남도기념물 제158호. 광제산 봉수대는 진주를 통과하는 남해안의 위급한 상황을, 서울로 전달하는 내륙의 중요한 통신수단 역할을 한 조선 세종 때에 축조된 것이다. 이 봉수대는 남으로 망보산(望普山)봉수, 북으로 단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