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봉수군” 에 대한 검색결과 2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7)

사전(43)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봉수(烽燧) 봉졸(烽卒), 봉군(烽軍), 봉화간(烽火干), 봉화군(烽火軍), 봉대직(烽臺直), 간망군(看望軍), 간망인(看望人), 후망인(堠望人), 해망인(海望人), 연대군(煙臺軍), 요망군(暸望軍) 감관(監官),...
    상위어봉수(烽燧) | 동의어봉졸(烽卒), 봉군(烽軍), 봉화간(烽火干), 봉화군(烽火軍), 봉대직(烽臺直), 간망군(看望軍), 간망인(看望人), 후망인(堠望人), 해망인(海望人), 연대군(煙臺軍), 요망군(暸望軍) | 관련어감관(監官), 감고(監考), 망한(望漢), 봉군보(烽軍保), 봉무사(烽武士), 별장(別將), 봉장(烽將), 오장(伍長), 요망장(暸望將), 빙역(氷役)
  • 봉군보(烽軍保)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봉군보 봉군보 烽軍保 군역(軍役), 봉수(烽燧) 보(保), 보인(保人), 봉보(烽保), 봉군보(烽軍保), 보(保) (), 감관(監官), 봉졸(烽卒) 정치군사·국방/통신 직역 대한민국 조선 세종,
    상위어군역(軍役), 봉수(烽燧) | 동의어보(保), 보인(保人), 봉보(烽保), 봉군보(烽軍保), 봉수군보(烽燧軍保) | 관련어봉수군(烽燧軍), 감관(監官), 봉졸(烽卒)
  • 개화산봉수(開花山烽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화산봉수 개화산봉수 開花山烽燧 봉수(烽燧) 개화산봉화(開花山烽火) 내지봉수(內地烽燧), 봉수(烽燧), 봉대(烽臺), (), 양천현(陽川縣) 정치군사·국방/통신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세종, 영조, 고종 ...
    상위어봉수(烽燧) | 동의어개화산봉화(開花山烽火) | 관련어내지봉수(內地烽燧), 봉수(烽燧), 봉대(烽臺), 봉수군(烽燧軍), 양천현(陽川縣)
  • 봉수(烽燧)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연대(煙臺)라고도 하는 연변봉수(沿邊烽燧), 경봉수와 연변봉수를 연결하는 내지봉수(內地烽燧)로 조직되어 있고, 각 봉수대는 오장(伍長, 경봉수는 五員)과 ()을 배치하였다. 봉수조직의 최하층에 속했던 은 봉수대 위에 기거하면서 관찰 ∙ 신호 ∙ 전령 등...
    유형분류제도
  • 봉의치봉수(鳳儀峙烽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봉의치봉수 봉의치봉수 鳳儀峙烽燧 봉수(烽燧) 봉현봉수(鳳峴烽燧) 봉무사별장(烽武士別將), (), 봉의현(烽儀峴), 고원군(高原郡) 정치군사·국방/통신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순조 김주홍 ...
    상위어봉수(烽燧) | 동의어봉현봉수(鳳峴烽燧) | 관련어봉무사별장(烽武士別將), 봉수군(烽燧軍), 봉의현(烽儀峴), 고원군(高原郡)

고서·고문서(240)

  • 5 第五統統首朴介哲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夫朴石明年伍拾壹丙戌本密陽父根岳祖主長二祖不知 女年拾玖戊午等癸酉戶口相凖 第三戶 鰥夫李景云年參拾壹丙午本蔚山父明俊祖江尙二祖不 知女年拾參甲子等癸酉戶口相凖 第四戶 鰥夫朴好令年陸拾捌己巳本密陽父五作祖德八二祖不知 女年拾柒庚申等癸酉戶口相凖 第五戶 鰥夫姜先伊年伍拾...
    연도_면이름1876년_온북면(溫北面) | 면이름온북면(溫北面) | 마을이름第三十四唐浦里
  • 34078 B034078 남산 南山 산악 輿地圖書 江都府誌 江華 烽燧 ... 網山烽)網山烽(東應鎭江山西應喬桐華蓋山烽) 河陰山烽(西應華蓋山東應府南山烽)南山烽(西應河陰山東應通津南烽越送山○五處合九十名 增註)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3960 B033960 남산 南山 산악 輿地圖書 江都府誌 江華 烽燧 ... 網山烽(東應鎭江山西應喬桐華蓋山烽) 河陰山烽(西應華蓋山東應府南山烽)南山烽(西應河陰山東應通津南烽越送山○五處合九十名 增註)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 第三統統首김龍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25년_유포면(柳浦面) 1825년 유포면(柳浦面) 第十三楮田里 3 第三統統首김龍德 第一戶 김龍德年肆拾陸庚子本김海父五男祖戒乞曾祖陸發外祖崔莫山本慶州妻裵 召史年肆拾丙午本김海父世泰祖聖贊曾祖星斗外祖김孝東本김海子千根年貳拾 貳甲子等壬午戶口相准 第...
    연도_면이름182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三楮田里
  • 7 第七統統首林千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25년_유포면(柳浦面) 1825년 유포면(柳浦面) 第七於勿里 7 第七統統首林千白 第一戶 林千白年陸拾肆壬午本平澤父夢枕祖太才曾祖世大外祖李致元本慶 州妻김姓年陸拾參癸未本김海父時化祖守先曾祖海天外祖朴三元本密陽婢允月 年拾肆壬申等壬午戶口相准 第二戶 老除...
    연도_면이름182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七於勿里

기타자료(4)

  • 마산봉수는 봉수대 상부는 예비군 참호와 교통로가 설치되면서 모두 훼손된 상태로 내측의 구조는 확실하지 않으나 봉수대 서쪽편으로 남북방향으로 연조가 설치되고 동쪽편에 각종 물자를 보관하는 창고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들의 숙소인 건물지는 봉수대 동남쪽 외곽...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 속초 대포동 롯데호텔 건립부지 내 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호석들이 남쪽면이 결실된 채 확인되었다. 방형의 호와 호석은 연대를 둘러싸고 있던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봉수를 지키던 의 안전과 연조의 불이 산 아래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던 방화용 시설로 추정된다. 현재 조사된 덕산봉수의 방형의 호와 호석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것...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강원문화재연구소/롯데건설 | 발굴지역강원도
  • 부속 건물지 보다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봉수대 연대시설에서 기와를 사용한 예는 거의 없기 때문에 많은 기와가 검출되는 곳은 봉수대가 아닌 들의 막사로 이용된 부속 건물지로 결론지었다. 한편 봉수대가 위치했을 것으로 보이는 미륵산 제1봉은 암반...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통영시/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 진주 광제산 봉수대 -진주 광제산 봉수대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여 일정한 공간을 확보한 후 그 공간에 건물을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 건물은 들이 지내는 공간이거나 창고의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보여 지며 이 두 기능이 함께하는 건물지 또한 있었을 것이다. 출입시설의 경우 다른 봉수에서는 계단을 만들어 봉수대를 오르내린...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국방]

    봉수대 위에서 기거하면서 후망과 봉수를 수행하는 요원. 1437년(세종 19) 이후에는 연변연대는 매소의 정원 10여 인이 매번 3인씩 5일마다 교대하다가 다시 10명이 상하 양번으로 10일마다 교대하게 되었다. 그리하여『경국대전』에도 은 정원 10인으로 규정되

  • 봉수대 / 烽燧臺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봉수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소. 조선시대에 있어서는 삼수 갑산으로부터 시작하여 전국의 주요지역 각지에 많은 봉수대가 설치되었고, 별장 22인, 백총 47인, 감관 567인, 무사 2,610인, 합계 3,646인의 이 구성되었다.

  • 신량역천 / 身良役賤 [사회/사회구조]

    망과 봉수 업무를 수행하는 등도 신분은 분명히 양인이었지만 신량역천으로 되어 ≪속대전≫에 칠반천역으로 규정되었다.

  • 광제산봉수대 / 廣濟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입암산(笠巖山)봉수와 상응한 남산∼동래선을 보조하는 간봉으로서 현재 화구, 봉수대의 석축, 숙소터가 잔존하고 있다. 일부 훼손되었으나 복원이 가능하다. 봉화방법은 밤에는 불로, 낮에는 연기로 하였으며, 신호체계는 아무일이 없을 때에는 1거(炬), 적이 바다에 나

  • 사천안점산봉수대 / 泗川安岾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의 숙소로 추정되는 집터가 잔존하고 있다. 안점산 봉수대는 남해안에 위치한 간봉(間烽)이며, 남으로 삼천포 각산(角山)봉수와 응답하고, 북으로는 망진산(望晉山)봉수에 상응하며, 삼천포진성(三天浦鎭城)과 관계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봉수제도는 고려 의종 3년에 서북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