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봉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49)
사전(456)
- 봉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국왕이 종친이나 근신(近臣)에게 내리는 사서(私書). 또 왕비가 친정에 보내는 사서도 봉서라고 한다. [내용] 봉서로서 특히 중요한 것은 암행어사에게 내리는 것인데, 그 봉서의 겉에는 ‘到南某處開拆(도남모처개탁 : 남쪽 모처에...
- 봉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직접 만나 회포를 풂. 會盟時 想還來 奉敍不遠, 김반(金槃), 22-9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봉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겉봉을 봉한 편지. 封書伏見耳 餘不備白, 김유근(金.根), 22-31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김이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1389년(공양왕 1) 지평(持平)이 되었으며, 2년 뒤 문하사인(門下舍人)이 되었다. 조선건국 뒤에는 우사간이 되었고, 1405년(태종 5)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호조참판에 이르렀다. 효행이 뛰어나 정문이 세워졌으며, 영주의 삼봉서원(...이칭별칭 백옥(伯玉)| 삼로(三路)
- 김숙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에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선산의 낙봉서원(洛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 『해동명신전(海東名臣傳)』 『국조방목...이칭별칭 자배(子培)| 강호산인(江湖散人)| 문강(文康)
단행본(1)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朝鮮王朝篇 1. 敎旨 2. 敎書 3. 封書 4. 敎命 5. 敎文 6. 傳敎 7. 提論 8. 論書
고서·고문서(985)
- 봉서집(鳳棲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노봉서원(露峯書院) 노봉서원제의(露峯書院祭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홀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홀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봉서선생집(鳳棲先生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위봉서 판결문(魏奉瑞 판결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2042-0072 1902년 刑 제137호 국가기록원 광주지방법원 장흥지청 魏奉瑞 판결문 위봉서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12.5.14 판사 스즈키(鈴木林次) 삼림방화 위봉서(65세, 농업) 전남 완도군 군내면 황진리 6쪽 한국근대사 국유림을 개간하기 위해...제목위봉서 판결문(魏奉瑞 판결문) | 사건유형삼림방화 | 소장처국가기록원
- 1799년 노봉서원(露峯書院) 노봉서원유현록(露峯書院儒賢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서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10)
- 봉서사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마을에 봉서사가 있다는 것을 알고, 그 절의 유래를 물었더니 제보자가 <page id="661"></page> 나서서 이 이야기를 했다. 이야기를 하다가 의문 나는 점이 있으면 강대은씨에게 물어 보곤 했다. 이 분도 가끔씩 참견을 했다. *조사일시1981-08-0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군 북후면 옹천동 | 제보자강성태
- 충청남도 청양군_얼카덩어리 잘넘어간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333 충남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_얼카덩어리 잘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넘어간다 논매기소리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안심1리(마근동) 1993.11.9 문화방송 CD 11-6 (메) 박봉서 박봉서(1930년생.남.토민) 문화방송 얼카덩어리 결합형 멕받형식녹음지역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안심1리(마근동) | 녹음날짜1993.11.9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홍성군_금마면 만물매기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390 충남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홍성군_금마면 만물매기 소리 금마면 만물매기 소리 산이로고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월암리‧봉서리 1994.3.12 素94-3-12A (메)최병현 (받)박종서 최병현(1921년생.남.월암리 토민), 박종서(1925년생.남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월암리‧봉서리 | 녹음날짜1994.3.12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홍성군_얼카덩어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365 충남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홍성군_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아시매기소리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봉서리 1994.2.27 素94-2-27③B 조병태 조병태(1930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느린소리 멕받형식(선후창) 얼카, 덩허리 서산에 해는 지고, 논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봉서리 | 녹음날짜1994.2.27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인민의용군의 탈출과 국군으로 참전한 전쟁의 기억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청 중: 2: 맞어.] 성을 인자 전부 일본식으로 바깠는디. 그란디 내가 지금 알고 있기론 봉서동 경 씨들 은 성을 안 바깠어. 일본식으로. [청중 2: 오야마라 하고 대이라고도 했어. 대이] 그란께 대이가코 대이카이사코라고 정예석이를 보고. 그렇게 했는디 여기서,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3년 5월 22일
기초학문(1)
- 鳳棲 兪莘煥의 철학사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학래, 게재일 : 201128969 박학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원 2011 鳳棲 兪莘煥의 철학사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57)
- 封書奉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에 피야 작고 젼△△△ 볏갈네씨의 부인이무 봉△△ 미국△관으로 여보여 황상폐하 밧쳣다더라게재일1902년 9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金鳳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鳳瑞(-) 원산 金鳳瑞 - 上里1洞 - - 고물,남루상(襤褸商) 판매 270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鳳瑞(-)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고물,남루상(襤褸商)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李奉瑞의名字를改以載鳳엿오니 知舊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李奉瑞의名字를改以載鳳엿오니 知舊間 照亮 西小門外冶洞 李載鳳告白게재일1902년 7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李奉瑞의名字를以載鳳엿오니 知舊間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李奉瑞의名字를以載鳳엿오니 知舊間 照亮 西小門外冶洞 李載鳳告白게재일1902년 7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李奉瑞의名字를改以載鳳엿오니 知舊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李奉瑞의名字를改以載鳳엿오니 知舊間 照亮 西小門外冶洞 李載鳳告白게재일1902년 7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1)
- 목의 역사와 문화_유구4_사진5 봉서루 앞편 조사지 전경 2014-10-09_0.7418177_목포대학교_능주목의 역사와 문화_유구4_사진5 봉서루 앞편 조사지 전경.jpg yy3-0083_1 유물 목포대학교_능주목의 역사와 문화_유물7_사진19 말혈제목능주목의 역사와 문화-능주목지 시굴조사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38)
- 최봉서;崔鳳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6542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평양사범학교 졸업기념 1936 5면 1. 강습과 주소록;2) 2조 최봉서;崔鳳瑞 평안북도 용천군 양하면 입암동 692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봉서;林鳳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344 남한 경성 휘문의숙 1-48 회원명부 1942―02―15 29면 임봉서;林鳳棲 경북 달성군 수북면 황청동;미상 제6회 191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의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봉서;金鳳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1713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7면 ㅁ1. 신입회원;ㅁ1) 1학년 김봉서;金鳳瑞 함남 정평군 부내면 풍천리 9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봉서;朴鳳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9609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4호 1927 160면 ㅁ1. 본년도 회원 씨명;ㅁ(학년반)1을 박봉서;朴鳳緖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봉서;李鳳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0949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73면 7. 졸업자;9) 同 제2회 졸업자 (1913년 3월) 이봉서;李鳳瑞 (출신)평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0)
-
봉서 / 封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왕이 종친이나 근신에게 내리는 사서. 또 왕비가 친정에 보내는 사서도 봉서라고 한다. 봉서로서 특히 중요한 것은 암행어사에게 내리는 것인데, 그 봉서의 겉에는 ‘到南某處開拆(도남모처개탁 : 남쪽 모처에 이르러 열어보도록 하라)’이라고 쓰여져 있다. 그리고
-
구봉서원 / 九峰書院 [교육/교육]
평안북도 벽동군 벽동면 일동리에 있었던 서원. 1697년(숙종 2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민정중(閔鼎重)과 민유중(閔維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01년에 ‘구봉(九峯)’이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
-
구봉서원 / 九峰書院 [교육/교육]
황해도 평산군(현재의 황해남도 봉산군) 적암면 갈산리에 있는 서원. 1696년(숙종 2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세채(朴世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연곡리의 불치산(佛峙山) 아래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이듬해 ‘구봉(九峯)’이라고 사액되었으며, 선현배향과
-
구봉서원 / 九峰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있었던 서원. 1665년(현종 6)에 백동현(白東賢)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의장(朴毅長)과 박홍장(朴弘長)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다가, 흥선대원군의 서원
-
낙봉서원 / 洛峯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리에 있는 서원. 1647년(인조 2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숙자(金叔滋)·김취성(金就成)·박운(朴雲)·김취문(金就文)·고응척(高應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87년(정조 11)에 ‘낙봉(洛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