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봉상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1)
사전(628)
- 협률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시작하고 그치게끔 지휘하였다. 조선이 1392년 7월 28일 문무백관을 새로 정할 때, 정7품의 협률랑 2인을 봉상시(奉常寺)에 두었는데, 세종 때 회례연(會禮宴)의 등가(登歌)에서 휘를 들고 음악을 진행하였다. 이것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집사악사(執事樂師)...
- 봉상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농사, 봉상사(奉常司) 등으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다. 採取南陽則監造官承文院著作柳俔忠州則奉常寺副奉事李德耇依前例事目啓下從速發送採來何如, (국장1903/017ㄴ07~09)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분봉상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제도의 정비과정이후 봉상시(奉常寺)의 전신(前身)의 관서. [내용]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사농시(司農寺) 혹은 전농시(典農寺)를 세조 때 봉상시에 병합시킨 뒤에 부르던 칭호이다. 이는 고려 충선왕 때 전농사(典農司)란 이름으로
- 봉상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던 것을 문종 관제에서는 병과권무관서(丙科權務官署)로 격하되어 태상부(太常府)라 하였고, 원 간섭기에 원나라의 태상례의원(太常禮儀院)을 피하여 충선왕이 봉상시라 개칭하였다. 직제(職制)는 1298년(충렬왕 24)에 경(卿) 2인, 소경(少卿) 1인, 승(丞)...
- 봉상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太常府)로 개정되었는데 이것은 기록에 따라 대상(大常) 또는 대상부(大常府)로 나타나기도 한다. 태상부는 1298년(충렬왕 24)에 ‘봉상시’로 개칭되고, 직제도 경(卿) 2인, 소경(少卿) 1인, 승(丞) 1인, 박사(博士) 1인, 대축(大祝) 1인, 봉례랑(...
고서·고문서(372)
- 1871년 봉상시(奉常寺) 시호망단자(諡號望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단자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현소장처칠곡 석전 광주이씨
-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476 1330_01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HJ013.JPG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敎旨 國王 鄭從韶 成化 4년(1468) 12...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477 1330_02 通訓大夫行奉常寺副正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일상생활,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HJ013.hwp HJ013 敎旨 鄭從韶 爲通 訓大夫行奉 常寺副正者 成化四年十二月十日 정...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871년 봉상시(奉常寺), 홍문관(弘文館) 시호망(諡號望)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단자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현소장처거창 갈계 은진임씨
- 1882년 봉상시(奉常寺) 영희전대제제수 발기(永禧殿大祭祭需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기초학문(1)
- 조선시대 奉常寺의 설치와 기능, 그 위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현진, 게재일 : 201418147 이현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14 조선시대 奉常寺의 설치와 기능, 그 위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30)
- 본인의 동경션이가 부랑류를 부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의 동경션이가 부랑류를 부동야 탕가산엿스니 만일 득야도 징츌쳐가 무오니 외국인 견긔치마시오 봉상시남문동 원경 고게재일1902년 2월 12일 | 기사분류광고
- 본인의 동경션이가 부랑류를 부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인의 동경션이가 부랑류를 부동야 탕가산엿스니 만일 득야도 징츌쳐가 무오니 외국인 견긔치마시오 봉상시남문동 원경 고게재일1902년 2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 이젼업든 전어긔통이 로나왓스되 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젼업든 전어긔통이 로나왓스되 각 말과 긔이 풍류소가 나지라 하 신긔기로 세상에 구경식히 기을 위야 농상공부 인가를 엇어싸오니 만이들 와셔 구경 시되 어룬은 통젼 오 젹 동젼 셰오 봉상시 건너 북물골 젼어긔 쥬인 고게재일1899년 3월 24일 | 기사분류광고
- 이젼업든 젼어긔통이 로나왓스되 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젼업든 젼어긔통이 로나왓스되 각 말과 긔이 풍류소가 나지라 하 신긔기로 세상에 구경식히 기를 위야 농상공부 인가를 엇어싸오니 만이들 와셔 구경 시되 어룬은 통젼 오 젹 동젼 셰 오 봉상시 건너 북물골 젼어긔 쥬인 고게재일1899년 3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이젼업든 전어긔통이 로나왓스되 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젼업든 전어긔통이 로나왓스되 각 말과 긔이 풍류소가 나지라 하 신긔기로 세상에 구경식히 기을 위야 만상공부 인가를 엇어싸오니 농이들 와셔 구경 시되 어룬은 통젼 오 젹 동젼 셰오 봉상시 건너 북물골 젼어긔 쥬인 고게재일1899년 3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51)
-
봉상시 / 奉常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가의 제사 및 시호를 의론하여 정하는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여러 번의 직제 개편과 함께 1466년(세조 12) 직제가 크게 개정되었는데, 그것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당시의 직제는 도제조 1인, 제조 1인, 정(正) 1인, 부정(副正)
-
이양시장 / 李穰諡狀 [정치·법제]
조선 초기의 문신 하령군 이양(李穰)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02년(광무 6) 남정철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1902년 2월에 홍문관 학사 남정철이 지어 봉상시에 올린 것으로 말미에 '이를 조흘하고 봉상시에 회부한다'는 취지의 제사와 연월이
-
김종무시장 / 金宗武諡狀 [정치·법제]
조선 중기의 문신 김종무(金宗武)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892년(고종 29) 8월 장석용(張錫龍)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그의 후손 김세동의 요청에 의해 공조판서 장석용이 지었다. 시장의 말미에는 예조의 당상관이 서압하고 낭청이 착함하였으며
-
박동명시장 / 朴東命諡狀 [정치·법제]
조선 중기의 무신 박동명(朴東命)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832년(순조 32)에 남병철(南秉哲)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이조판서 겸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남병철이 지었다. 작성시기는 남병철의 생존 기간을 고려할 때 1832년으로 추정된다. 시장의
-
부봉사 / 副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봉상시·내의원 등 여러 관서의 정9품 관직. 봉상시에 1인, 내의원에 2인, 군기시(軍器寺)에 1인, 군자감(軍資監)에 1인, 제용감(濟用監)에 1인, 선공감(繕工監)에 1인, 관상감(觀象監)에 3인, 전의감(典醫監)에 4인, 사역원(司譯院)에 2인, 풍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