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봉렬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4품 하계(下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奉正大夫), 하계는 로 정하여졌다. → 문산계
  • 봉정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4품 상계(上階) 문신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로 정하여졌다. → 문산계
  • 정사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7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로, 무산계의 정4품 상계는 위용장군(威勇將軍), 하계는 위의장군(威...
  • 영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남편의 경우는 문관 정4품은 상계에 봉정대부(奉正大夫), 하계에 ()로, 종4품은 상계에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에 조봉대부(朝奉大夫)로, 무관의 경우는 정4품은 상계에 진위장군(振威將軍), 하계에 소위장군(昭威將軍), 종4품은 상계에 정략장군(定略將軍...
  • 광휘대부(廣徽大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광휘대부 광휘대부 廣徽大夫 사품(四品), 종친계(宗親階) (), 종친부(宗親府) 정치행정/관직·관품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이미선 [정의] 종친계(宗親階) 정4품의 첫째 등급...
    상위어사품(四品), 종친계(宗親階) | 관련어봉렬대부(奉列大夫), 종친부(宗親府)

고서·고문서(53)

  • 趙基遠을 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89 1235_01 趙基遠을 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33.JPG 趙基遠을 에 임명하는 敎旨 敎旨 仁祖 趙基遠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90 1235_02 趙基遠을 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33.hwp 敎旨 趙基遠爲 者 崇禎三年十月 日 童蒙敎官庚七別加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安義를 守成均館司成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559 0269_01 成安義를 守成均館司成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62.JPG 成安義를 守成均館司成에 임명하는 교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靖을 行大□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55 1218_01 趙靖을 行大□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16.JPG 趙靖을 行大□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旨 敎...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靖을 行大□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56 1218_02 趙靖을 行大□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16.hwp □旨 趙靖爲奉列 大夫行大□ 府判官者 □□三十四年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4품 하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奉正大夫), 하계는 로 정하여졌다.

  • 봉정대부 / 奉正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4품 상계 문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로 정하여졌다.

  • 유성화 / 柳聖和 [종교·철학/유학]

    1668년(현종 9)∼1748년(영조 24). 조선 후기 문신. 유성룡 후손, 조부는 유의하이다. 음직으로 관직에 나아가 1730년(영조 6)에 행 광흥창봉사와 주부에 임명되었다. 1731년에는 산음현감을 지냈고, 그 후 부호군에 제수되었다. 사후에 호조참

  • 정사품 / 正四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7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정4품 상계는 봉정대부, 하계는 로, 무산계의 정4품 상계는 위용장군, 하계는 위의장군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무산계의 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