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봉국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8)
- 봉국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방어사(防禦使) 등으로 구성된 군사적인 성격의 절도사체제의 지방제도를 실시하면서 983년의 12목(牧)을 12주 절도사로 개편하고, 여기에 절도사를 장관으로 하는 12군을 설치하였다. 이 때 관내도(關內道)에 속하는 광주에 봉국군(奉國軍)을 두었다. 도호부(都護...
- 十二牧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3_D_0109 十二牧 법률 節度使, 左神策軍, 右神策軍, 天德軍, 奉國軍, 昌化軍, 全節軍, 安節軍, 定海軍, 㱕德軍, 順義軍, 鎭海軍, 鎭東軍 楊州, 海州, 黃州, 廣州, 忠州, 淸州, 公州, 晉州, 尙州, 全州, 羅州, 咸州 成宗 地...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1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절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울)-좌신책군(左神策軍), 해주(海州)-우신책군(右神策軍), 광주(廣州)-봉국군(奉國軍), 황주(黃州)-천덕군(天德軍) 등 4주, 중원도(中原道)에 충주(忠州)-창화군(昌化軍), 청주 (淸州)-전절군(全節軍) 등 2주에 두었다. 하남도(河南道)에 공주(公州)-안...
- 광주목(廣州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종 2)에 전국 요지에 12목을 설치할 때 성립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 지방 관제를 개편하면서 전국을 5도호부 10도로 나누고 이미 지방관이 파견되었던 12목을 12절도사 체제로 개편하였다. 이에 따라 광주에 파견된 절도사는 봉국군절도사(奉國軍節度使)라 칭...상위어경기(京畿) | 동의어회안(淮安) | 관련어광주목사(廣州牧使), 광주유수부(廣州留守府), 양광도(楊廣道), 유수부(留守府), 전영장(前營將), 수어사(守禦使)
- 하남시(경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성종 2) 전국에 12목을 설치할 때 그 가운데 하나로서 광주목으로 승격되고 목사(牧使)를 두었다. 995년에 12목 대신 12주 절도사(節度使)가 설치되면서 다시 광주로 환원되고, 봉국군(奉國郡)이라 했으며, 관내도(關內道)에 속하였다. 101...
고서·고문서(11)
- 옥해_玉海 권188 兵捷 檄書[下] 少保奉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151 중국 유서 옥해 021 의종(毅宗) 15 1161 10 1 玉海 권188 兵捷 檄書[下] 少保奉國軍節度使四川宣撫使檄告契丹西夏髙麗渤海逹靼諸國及我河北河東陜西京東河南等路官吏軍民等 紹興三十一年冬十月庚子朔吳璘[檄樞宻院所降本也] ...국가중국 | 서명옥해 | 왕대의종(毅宗) 15
- 卷九十七【職官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討捕使,十六年以駐蹕之地,陞府尹。孝宗三年,府尹兼守禦副使,六年罷。肅宗庚申,復兼副使,旋罷,九年置留守經歷,罷府尹,十六年復舊。英宗庚午,置留守經歷,己卯復舊。【高麗時置節度使,號奉國軍】 此云明宗十四年ㆍ仁祖元年者,皆誤矣。 十九號。利川府,仁祖三十一年復舊。案 仁祖無三十一年。 三十一號。...권차명附 雜纂集 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343 神宗 元豐七年二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損朝廷待遇恩意 其安下去處 即合火急選擇本州將好僧院一所併治整潔 仍令差下引伴赴闕通判官同在本院筵伴上宿 仍隨所闕器用諸般物色逐旋差僧一一畢備齊足 不可小有闕誤 仍從急遞中指揮 更不送門下省 其僧統左右得親近者三兩人 比附上節例施行 元豐七年二月十七日下 奉國軍奏 入高麗國溫式船回到定海縣 稱新國...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선종(宣宗) 1
- 삼조북맹회편_三朝北盟會編232 炎興下帙 劉錡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2888 중국 사서 삼조북맹회편 020 기타 三朝北盟會編232 炎興下帙 劉錡等檄契丹西夏高麗渤海韃靼諸國及河北河東等諸路書 太尉威武軍節度使淮南浙西江東西制置使劉錡 慶遠軍節度使 神龍四廂指揮使 京湖制置使成閔 少保奉國軍節度使 四川宣撫使吳璘檄吿契丹西夏高麗渤海...국가중국 | 서명삼조북맹회편 | 왕대기타
- 廣州牧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三州高句麗故地漢山牛首河西三州備九州之數至景德王悉改九州及諸郡縣名後凡書新羅改爲某者皆此年事也】高麗太祖二十三年庚子改爲廣州【卽晋 高祖 天福五年】成宗二年癸未初置十二州牧卽其一也【卽宋太宗太平興國八年】十四年乙未置十二節度使號爲廣州奉國軍節度使【卽宋至道元年】顯宗三年壬子廢節度使改爲按撫使九年戊午...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1)
-
봉국군 / 奉國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절도사에 소속된 12군 중 광주에 설치되었던 군대. 983년의 12목을 12주 절도사로 개편, 여기에 절도사를 장관으로 12군을 설치하였다. 이 때 관내도에 속하는 광주에 봉국군을 두었다. 봉국군을 위시한 12군은 국내에서의 호족세력의 견제를 위한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