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본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1)
사전(7)
- 삼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日本數學史槪說』(藤原松三郎, 寶文館, 1956)
- 정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계재토지도본색인표(圓溪齋土地圖本索人表)‧선조시향정일도(先祖時享定日圖)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경차경은선생유운(敬次耕隱先生遺韻)」은 단종의 능을 지나면서 이맹전(李孟專)을 생각하고 그의 충절을 기려 읊은 것이다. 서 가운데 스승인 이석화(李錫華)...
- 기부전(記簿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萬兩放殖 以補營庫欠錢 先是 平安道觀察使鄭民始辭陛也 以監營庫儲多逋負 請給債 取其息以充之 上念平壤市肆凋弊 慮其有害 使斟量論啓 至是民始狀請曰 本營各庫記簿錢 爲二十餘萬 以十萬兩 輕其利給民 限十三年還充本數 仍施停殖蕩債之政 蘇殘益下之首 俱爲方便 領議政鄭存謙 請許施 上問左右相 皆言...동의어기부전화(記簿錢貨) | 관련어감영(監營)
- 기범연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있다. 그의 종질인 창술(昌述)에 의해 1850년(철종 1)에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두에는 이이(李珥)의 「기자실기(箕子實記)」와 이정구(李廷龜)의 「기자묘비명(箕子墓碑銘)」‧「하도낙서(河圖洛書)」‧「홍범본수제도(洪範本數諸圖)」‧「본경대문(本經...
- 무라이 주젠(村井中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典+Plus (http://kotobank.jp/dictionary/nihonjinmei/) ; 黙斎を語る (http://mokusai-web.com/kaiinkikou/kimon_keisai_.html) ; 日本數學之頁 (http://www.geocities.jp/h...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01)
- 結斂不如戶斂。結斂則本削,戶斂則工商苦焉,游食者苦焉,厚本之道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260 牧民心書 卷六 ITKC_MP_0597A_1260_020_0080 結斂不如戶斂。結斂則本削,戶斂則工商苦焉,游食者苦焉,厚本之道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권차명牧民心書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조선시대 역학서:1790_몽어노걸대_엇지야 지 못리오 네 銀을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몽어노걸대 349 1790_몽어노걸대 엇지야 지 못리오 네 銀을 1790몽어노걸대_4_013b.jpg 엇지야 지 못리오 네 銀을 아지 못니 다 사의게 뵈라 내 엇지 아지 못야 의게 뵐 곳은 엇지오 돈 밧골 本數 일치 아니리라 네 됴흔 銀을편명1790_몽어노걸대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면전표목수립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銃後生業報國의 實을 擧 揚코자 基礎準備인 標木을 左記日割에 郡庁員出張하야 檢收하겟사오니 全部 二十五日中 募集完了키 爲要通 知함 記 一. 募集場所 各里區長方 一. 規格 長 六尺 四角 直經(一寸五分至二寸) 一. 該當本數 各耕作者의 耕作...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149 B00914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8年 4月 13日_019 ... 如無可用之處, 則或令兵曹, 時時試才, 禁軍及兩軍門馬軍, 以此太給賞, 使之喂馬, 似好。 陳米則令賑恤廳, 取用於饑民, 白給後, 待秋改備新米, 移送江華, 充其本數, 似當矣。 上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266 B00926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8年 4月 13日_019 ... 如無可用之處, 則或令兵曹, 時時試才, 禁軍及兩軍門馬軍, 以此太給賞, 使之喂馬, 似好。 陳米則令賑恤廳, 取用於饑民, 白給後, 待秋改備新米, 移送江華, 充其本數, 似當矣。 上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解兵行悖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에 감 병뎡을 퇴송데 위로차로 명하에 본삭봉급지 병야 헌병은 십구원 각병뎡은 십팔원에 목 각일필식 반급엿데 각쳐도로에서 악이 무쌍야 긔셰위름하다지라헌병령부와 경무쳥에셔 각셔로신칙기를 퇴병이만약 작당야야료거든 엄금집라 엿다더라...게재일1905년 4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_1925_12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桑田反別及所要桑苗本數其の他に關する調査 農務課 118 內鮮人配偶の趨勢 121 黃海道西南部の富源 계홍봉 12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5
- 조선_1931_19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觀測事業の一斑 後藤一郎 3 朝鮮の氣候 中村庫造 15 三寒四溫の變化に就いて 沖本數一 27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주제어사전(2)
-
본삭 / 本削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 원문에서 글자를 삭제한 경우 그 글자를 알 수 없는 경우에 그 글자의 앞에 표시하며 삭제된 글자 수만큼 숫자를 부기하는 방법.
-
기범연의 / 箕範衍義 [종교·철학/유학]
질인 창술(昌述)에 의해 1850년(철종 1)에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두에는 이이(李珥)의 「기자실기(箕子實記)」와 이정구(李廷龜)의 「기자묘비명(箕子墓碑銘)」·「하도낙서(河圖洛書)」·「홍범본수제도(洪範本數諸圖)」·「본경대문(本經大文)」, 권1에는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