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복희팔괘” 에 대한 검색결과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21)

  • 역상집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주역』의 여러 가지 운용현상(運用現象)을 도식으로 체계화하고 이를 해설한 책. [내용] 2권 1책. 필사본. 편자는 미상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차서지도(次序之圖)ㆍ삼오이변도(參伍以變圖) 등과 하도...
  • 대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易序) 1편, 하도낙서(河圖洛西) 1편, () 1편, 귀신정장(鬼神情狀) 1편, 지기(知幾) 1편, 지숭예비(知崇禮卑) 1편, 복기견천지지심(復其見天地之心) 1편, 동동왕래붕종이사(憧憧往來朋從爾思) 1편, 권2에 시 232수, 권3에 시 33수, 부록...
  • 후천(後天)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때를 받든다[後天而奉天時]"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소옹의 역학은 본래 송대의 도사(道士)인 진단(陳摶)에서 유래하는데, 소옹은 진단의 학통을 이어받은 이지재(李之才)를 통해 전수받았다고 한다. 「하도(河圖)」를 근거로 하여 작성된 선천의 도식을 ()라...
    동의어후천역(後天易) | 관련어문왕팔괘(文王八卦), 선천(先天), 소옹(邵雍), 복희(伏羲)
  • 모애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여 수 되고, 나머지는 증별(贈別)ㆍ화답류(和答類), 또는 만시(挽詩)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밖에 「음(吟)」ㆍ「열부신씨순절담(烈婦申氏殉節潭)」은 시제가 특이하다. 시의 대체적인 경향은 유한(幽閑)한 의취(意趣)가 담겨져 있고, 문사(文辭)가...
  • 간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주역』의 64괘 가운데 52번째 괘명. [개설] ()‧문왕팔괘(文王八卦) 중의 하나에 속한다. 괘상(卦象)은 ☶과 □인데, 앞의 것은 ‧문왕팔괘에서의 상이며, 뒤의 것은 64괘에서의 상이다. [내용]

고서·고문서(26)

  • 주역대전 : 해제_50. 심대윤(沈大允)의 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태괘(兌卦), 5책은 환괘(渙卦)~미제괘(未濟卦), 계사전(繫辭傳)‧설괘전(說卦傳)‧서괘전(序卦傳)‧잡괘전(雜卦傳), 하도(河圖)‧낙서(洛書)‧차서지도(次序之圖)‧방위지도(方位之圖)‧문왕팔괘방위지도(文王八卦方位之圖)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주역대전 : 說卦傳:제6장(第六章)_1절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故用之序. 若上用伏羲卦序, 則四時失其序, 下用文王八卦, 則兌震艮巽, 皆非其偶矣. 문왕팔괘에서 태괘‧진괘는 맏아들이 막내딸과 합하는 것이고, 간괘‧손괘는 맏딸이 막내아들과 합하는 것이니 모두 그 짝이 아니다. 그러므로 “만물을 움직이는 것은 우레보다 빠른 것이...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論邵氏八卦方位之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kr/inLink?DCI=ITKC_MP_0597A_0740_050_0020_2015_017_XML 017 論曰 伏羲者,上古之人。孔子序列古書,斷自〈堯典〉,明自堯以上,典籍散亡,不可考也。邵子雖靈通,何以知夫之方位,與文王錯然相反,若是其明白無疑也?是不過曰乾坤二卦,形體...
    권차명易學緖言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주역대전 : 解卦_단전2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非變而坤者也, 苟謂解難之利在於往. 坤則豈非下喬木而入幽谷者耶. 진괘로 말미암아 순서대로 간다면 남쪽을 돌아 서쪽으로 가는데, 리괘(離卦)‧태괘(兌卦)‧건괘(乾卦)‧손괘(巽卦)는 여러 양이 모인 것이니, 어찌 아름답지 않겠는가! 「방위도」의 순서를 따른 것이다. 곤...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論邵氏八卦先天之說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kr/inLink?DCI=ITKC_MP_0597A_0740_050_0030_2015_017_XML 017 經曰:“天地定位,山澤通氣,雷風相薄,水火不相射,八卦相錯。” 邵子曰:“此之位,所謂先天之學也。” ○鏞案 此經若爲先天之方位,則經宜先言天地,次言水火,以正四正之位...
    권차명易學緖言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1)

  • 엇던션 나히잇스되 품이 춍명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그 모든에 쇼쇼게 리치 말엿거 엇지 증거가 업리오 손이 지금 로형이 말들은 셩현이 지어내신거시 아니니 엇지증거가 죡히 되리오 쥬인이  구쳔현묘경은 가 잇고 쥬역 리치로 말거시 만며 쥬답산가 쥬ㅣ셔 지흐신 거시여 엇지 셩...
    게재일1901년 4월 16일 | 기사분류논설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만물의 공간적인 변화상을 나타낸 <주역>의 팔괘도. 후천도인 문왕팔괘가 낙서를 근거로 한 것에 비해 는 하도를 근거로 하였다. 와 문왕팔괘는 체용의 관계에 있다. 는 천지의 정체를 나타내고, 문왕팔괘는 천지의 활동을 나타낸다.

  • 대천집 / 大川集 [종교·철학/유학]

    하도낙서(河圖洛西) 1편, () 1편, 귀신정장(鬼神情狀) 1편, 지기(知幾) 1편, 지숭예비(知崇禮卑) 1편, 복기견천지지심(復其見天地之心) 1편, 동동왕래붕종이사(憧憧往來朋從爾思) 1편, 권2에 시 232수, 권3에 시 33수, 부록은 제문 2편, 행

  • 계몽도서절요 / 啓蒙圖書切要 [종교·철학/유학]

    성리학의 역학적 이해의 기본 틀이 되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를 시작으로,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원리를 도해한 선천팔괘합낙서수도(先天八卦合洛書數圖), 차서도(次序圖), 복희육십사괘도(伏羲六十四卦圖), 복희선천팔괘도(伏羲先天八卦圖), 문왕후천팔괘도(文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