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복위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단종대왕추상시호등망단
- 종묘
연구성과물(3)
사전(3)
- 복위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폐위된 단종의 왕위를 복위하기 위해 설치한 임시 관서. [내용] 정식 명칭은 복위부묘도감(復位祔廟都監)이다. 1698년(숙종 24) 10월에 설치되어 총책임관인 도제조(都提調)에는 당시의 영의정 유상운(柳尙運)이 임명되었다. 이...이칭별칭복위부묘도감(復位?廟都監)
- 복위부묘도감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폐위된 왕 또는 왕비를 추복위(追復位)하여 신주(神主)를 종묘에 봉안한 의식‧절차 등을 기록해 놓은 책. [내용] 『부묘도감의궤』로 현재 전해지는 것은 다음의 2종이 있으며, 모두 규장각 도서에 있다. 첫째, 『단종정순왕후복위도감...
- 이세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려나와 파산(坡山)의 선영 아래로 돌아왔다. 갑술환국 후 1694년 4월 대사간ㆍ호조판서에 제수되었으나 고사하고 나아가지 않다가 인현왕후복위도감제조로 차정한다는 말을 듣고 곧 상경하였다. 그 뒤 의금부사 겸 지경연사ㆍ세자빈객에 오르고, 청백리로 선정되었다. 그...이칭별칭 군실(君實)| 쌍백당(雙栢堂), 칠정(七井)| 충숙(忠肅)
주제어사전(1)
-
복위도감 / 復位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폐위된 단종의 왕위를 복위하기 위해 설치한 임시 관서. 1698년(숙종 24) 10월에 설치되었다. 이 때 단종과 왕비의 묘를 능으로 조성하기 위한 봉릉도감(封陵都監)이 병설되었다. 도감은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된 위호를 회복시키고 그 신주를 종묘 영녕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