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복식금제” 에 대한 검색결과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3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이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라의 의복제도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금제의 배경을 명확히 드러내기는 어렵다. 834년의 복식금령은 [표] 와 같다. [표] 新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부르게 된 것으로 보이며, 당시 일본에서는 이를 히레(比禮) 또는 오스비(櫨須比)라고 하였다. 신라 흥덕왕 9년(834)에 내린 ()에 의하면, 4두품 여인은 견(絹)을, 5두품 여인은 능(綾)을 사용하게 하고, 6두품 여인은 계(罽)‧수(繡)...
  • 목도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추위를 막거나 모양을 내기 위하여 목애 두르는 물건. [내용] 목도리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신라 흥덕왕 때의 에 나타난 표(裱)이다. 당시의 표는 방한용이라기보다는 옷의 일부인 장식용으로서 당나라 복식의 영포(領布)와 같은 것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삼국시대때 제직된 모직물의 하나. [내용] 우리 나라와 중국ㆍ일본에서 통칭된 직물이다. 계는 부여에서 외국에 출입할 때 입었던 기록이 있으며, 신라시대에도 ()의 많은 품목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서기(日本書紀)』...
  • 계(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물이다. 삼국시대 계의 사용은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에 부여 사람들이 계를 입었다는 기록과,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 흥덕왕 ()에 진골(眞骨) 대등(大等) 이하의 옷감에 계의 사용을 금한다는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다. 『...
    동의어계담(罽毯)

기타자료(1)

  • 탐라가 보낸 사신 연마(椽磨) 등에게 왜가 물건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양을 파낸 목판(木板)을 밀착시키고 목판이 파인 부분에 염료(染料)를 주입하여 염색하는 목판방염기법(木板防染技法) 또는 그 염직물(染織物)을 말한다. 통일신라시대 에 협힐의 의복을 금한 기록이 있다. 판(板)에 무늬를 오려내어 두 개의 판 사이에 포(布)를 끼워...
    대표표제어탐라가 보낸 사신 연마(椽磨) 등에게 왜가 물건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7년(丁卯/신라 문무왕 7년/고구려 보장왕 26/唐 乾封 2/倭 天智 6)

주제어사전(3)

  • / [생활/의생활]

    복식의 사치를 금하고 복식에 따른 신분의 구별을 위하여 만든 제도. 삼국시대 이후 중국의 문화를 도입하면서 복식의 사치가 날로 더해가고 백성들의 생활 속에 허례허식이 많아지게 되었다. 지배층에서는 자기들의 신분과 지위를 확보하고 사회풍조를 검약으로 이끌기 위하여 이를

  • 반비 / 半臂 [생활/의생활]

    상의의 맨 위에 입는 소매가 없거나 아주 짧은 겉옷. 반비란 소매가 짧은 데서 나온 이름이다. 반비는 신라 제42대 흥덕왕(興德王) 속에 나오는데 남녀가 다같이 입으며 표의와 같은 고급직물로 지어 입고 있다. 그런데 조선 전기에 있었던 이 몽두의는 자취를 감

  • 법복 / 法服 [생활/의생활]

    왕과 왕비·왕세자·세자빈의 예복을 일컫는 말. ≪삼국사기≫ 색복조(色服條)에 통일신라가 복식제도를 당나라의 제도로 개혁하여 그 의관이 중화(中華)의 것과 같게 되었다고 되어 있다. 이 때 우리 나라에도 법복이 제정되었을 가능성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나 흥덕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