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복덕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2)
사전(18)
- 복덕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부동산, 즉 토지나 건물의 매매‧대차‧교환을 위한 중개나 대리사무를 해주는 곳. [내용] 부동산중개업과 부동산중개업소를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복덕방의 기원은 고려시대 이후의 객주(客主)와 거간(居間)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복덕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한 작품이다. [내용] 구한말 무관으로 지금은 가옥 중개업으로 근근이 먹고사는 복덕방 주인 서참위, 재판소에 다니는 조카를 빌미로 대서업을 하려고 운동을 하며 속수국어독본(速修國語讀本)을 노상 끼고 다니는 박희완 영감, 그리고 무용가 딸을 두고 땅...
- 복덕방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37년 《조광》에 발표된 이태준(李泰俊, 1904-?)의 단편소설.정의1937년 《조광》에 발표된 이태준(李泰俊, 1904-?)의 단편소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okdeokbang | MR표기Poktŏkp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근대신어 : 복덕방(복덕방)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3426 복덕방 바항 복덕방 복덕방을 맛낫다고도 터이나 복덕방을 만난다고도 할 터이나 김교제 현미경 1912 87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2, 238면 상공업 기반시설계통분류 [정치경제] 상공업 [사회생활] 기반시설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가마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삼월(三月)」ㆍ「손거부(孫巨富)」ㆍ「가마귀」ㆍ「순정(純情)」ㆍ「바다」ㆍ「점경(點景)」ㆍ「철로(鐵路)」ㆍ「장마」ㆍ「복덕방(福德房)」 등 11편과 희곡 「산사람들」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단편집에 수록된 작품의 특성 및 이들 작품을 집필하던 시기의 작가의 자세 및...
고서·고문서(8)
- 成造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경궁과 홀살문 용골이며 구리 얼풋 지나 근 광츙 큰 광츙 죵각(鐘閣)모릉 망문압 슈지동 경다리 황토마「c머」루 범인 압퓌 멍에 벽겨 부려노코 활연으로 노로쇼셔 팔만장안(八萬長安) 억만가구(億萬家口) 복덕방(福德房)을 공나야 이 터를 버니 북악(北岳)이...구분잡가
- 가옥값(家舍價) 및 손해배상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六圓幷ニ右金額ニ對シ光武十年七月一日ヨリ本件判決執行完濟日迄年十分ノ二ノ率ヲ以テ計算シタル損害利息ヲ附シ償還スベク訴訟費用ハ被告ノ負擔トストノ判決ヲ求ムル旨一定ノ申提ヲ行ヒ其請求原因トシテ演述シタル事實ノ要領ハ原告ハ光武十年六月分福德房孫聖寬ノ周旋ニテ被告ノ所有ニ係ル漢城北部孟峴所在瓦家十六間草家六...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3부 | 판결일자1909년 03월 08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경복궁 영단가 慶福宮 詠短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졍을 탕감니 셩이 안낙니라 의 어진 졍 연연니 간츅 일월 것치 발근 비시 쳔지가 가이 웁고 하 갓튼 깁흔 은 갈록 한니 웁네 죠졍의 돕난니난 뉘라셔 신가 운현궁 복덕방의 상션닌 계시도다 고기 젹(직)셜 드러든니 이윤 쥬공 참 보와돠네 폐가 구...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慶福宮 詠短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의 어진 졍 연연니 간츅 일월 것치 발근 비시 쳔지가 가이 웁고 하 갓튼 깁흔 은 갈록 한니 웁네 죠졍의 돕난니난 뉘라셔 신가 운현궁 복덕방의 상션닌 계시도다 고기 직셜 드러든니 이윤 쥬공 참 보와돠네 폐가 구쇼니 만화방창이라 의졍부 즁쥬 졔...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 사친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동유내야 이십팔주 천문보소복덕성이 비쳐였고 길승방이 열엿드라육갑이수 풀어내야 생가문을 들어보소구궁팔꾀 하락지도 기문태을 심육수라선기옥형 기삼백을 생가무수 울노라선천팔꾀 태극도의 음양이수 정호행을구궁수이 드럿다가 생가문을 찾아보새복덕방이 열엿스니 병쟁문이 생문이요활인방이...가사유형탄식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신문·잡지(76)
- 洪道裕(복덕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洪道裕(복덕방) 수원 洪道裕 복덕방 本町 4町目 70 - - 부동산 중개업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洪道裕(복덕방)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부동산 중개업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金奭鎬(복덕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奭鎬(복덕방) 수원 金奭鎬 복덕방 梅山町 2町目 56 - - 부동산 중개업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奭鎬(복덕방)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부동산 중개업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車明麟(복덕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車明麟(복덕방) 수원 車明麟 복덕방 本町 4町目 35 - - 부동산 중개업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車明麟(복덕방)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부동산 중개업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沈宣錫(복덕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沈宣錫(복덕방) 수원 沈宣錫 복덕방 梅山町 2町目 27 - - 부동산 중개업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沈宣錫(복덕방)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부동산 중개업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蔡龍錫(복덕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蔡龍錫(복덕방) 수원 蔡龍錫 복덕방 本町 1町目 - - 부동산 중개업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蔡龍錫(복덕방)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부동산 중개업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주제어사전(2)
-
복덕방 / 福德房 [사회/사회구조]
토지나 건물 등 부동산의 매매·대차·교환을 위한 중개나 대리 사무를 해주는 곳. 복덕방의 기원은 고려시대 이후의 객주(客主)와 거간(居間)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객주란 원래 객상주인(客商主人)이라 하며 거래를 알선하는 일종의 위탁매매업자를 뜻한다. 객주 가운데 타인간
-
가마귀 / [문학/현대문학]
이태준(李泰俊)의 단편집. 이 작품집에는 단편소설인 「색시」·「우암노인(愚菴老人)」·「삼월(三月)」·「손거부(孫巨富)」·「가마귀」·「순정(純情)」·「바다」·「점경(點景)」·「철로(鐵路)」·「장마」·「복덕방(福德房)」 등 11편과 희곡 「산사람들」 1편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