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보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9)
사전(65)
- 보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시대 한량품관(閑良品官) 이하 국역(國役) 복무자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비복무자로 보(保)를 설치하여 거둔 세금. [내용] 원칙적으로 포(布)로 냈기 때문에 보포라고 부른다. 국역의 형태는 군역‧향역‧공장(工匠) 등 다양했지만,...
- 보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 군대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보인(保人)에게서 거둔 베나 무명.정의조선 후기 군대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보인(保人)에게서 거둔 베나 무명.[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opo | MR표기pop’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보포(保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보포 보포 保布 군역(軍役) 가포(價布) 보인(保人), 봉족(奉足), 보법(保法), 군포(軍布), 납포군(納布軍) 경제재정/역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김종수 [정의] 정군이나상위어군역(軍役) | 동의어가포(價布) | 관련어보인(保人), 봉족(奉足), 보법(保法), 군포(軍布), 납포군(納布軍)
- 도안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별기병(別騎兵)의 보포(保布)를 관장하였던 병조 소속의 관서. [내용] 도안청(都案廳)이라고도 하였다. 국초에는 경기병(京騎兵)이 있었는데 호‧보(保) 합쳐 4,000인이었으나 모두 수포군(收布軍)으로, 이들로부터 포 2필을 거...이칭별칭도안청(都案廳)
- 신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용됨에 따라 정군이 보인에게 요구하는 것이 베였으므로 보인이 정군에게 바치는 신포를 보포(保布)라 하였다. 그런데 번상으로 인해 생활권조차 위협받게 된 정군은 보인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게 되었다. 이에 국가는 보인이 정군에게 바쳐야 할 보포의 수량을 정해야 했...
고서·고문서(171)
- 次龍仁,題從祖祖父蒲谷新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1200 次龍仁,題從祖祖父蒲谷新居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天旣遐終大邦殷之命,玆殷多先哲王在天,越厥後王ㆍ後民,玆服厥命。厥終,智藏瘝在。夫知保抱携持厥婦子,以哀籲天,徂厥亡出執。嗚呼!天亦哀于四方民,其眷命用懋,王其疾敬德。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40 尙書古訓 卷五 ITKC_MP_0597A_0540_050_0090 天旣遐終大邦殷之命,玆殷多先哲王在天,越厥後王ㆍ後民,玆服厥命。厥終,智藏瘝在。夫知保抱携持厥婦子,以哀籲天,徂厥亡出執。嗚呼!天亦哀于四方民,其眷命用懋,王其疾敬德。 정...권차명尙書古訓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대포(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848 B048848 대포 大浦 군사교통 慶尙道續撰地理誌 晋州道 南海 漁梁 漁梁 縣大浦 巴川浦 蘭甫浦防箭 産石首魚 洪魚 文魚출처전거慶尙道續撰地理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골포(骨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261 B026261 골포 骨浦 군사교통 慶尙道邑誌 熊川郡邑誌 熊川郡 鎭堡 薺浦 岸骨浦 加德鎭 天城堡(幷鎭一堡浦二今爲廢止)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折半, 稍實邑三分一, 仍停事也, 辛未壬申停退條, 依道啓分數仍停, 癸西條, 尤甚邑折半, 之次邑三分一停退, 稍實邑勿論。 其一, 無論三等邑, 訓局砲保布, 限折半代錢, 各軍門各衙門軍保布及江都所送選武布, 竝純錢代納事也, 綿農洊歉, 民情切悶, 訓局保布, 只令尤甚邑三分一代錢, 各衙...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5)
- 독일어 담화상에서의 시간정보 표상에 관한 연구 - 통제 정보포장이론의 틀안에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143858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어독문학회 2001 독일어 담화상에서의 시간정보 표상에 관한 연구 - 통제 정보포장이론의 틀안에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초점 투사에서의 논항구조의 역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복, 게재일 : 2006esearchPaper&m201_id=10001882&local_id=10009496 영어와 한국어의 정보포장 구조와 통사적 실현: 제약기반 이론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영어의 비대칭적 어순 현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찬, 게재일 : 2003searchPaper&m201_id=10001882&local_id=10009629 영어와 한국어의 정보포장 구조와 통사적 실현: 제약기반 이론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한국어 메아리구문에 대한 제약기반적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복, 게재일 : 2002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1882&local_id=10009628 영어와 한국어의 정보포장 구조와 통사적 실현: 제약기반 이론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유형논문 | 게재일2002
- 담화상에서의 시간관계 결정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민행, 게재일 : 2002etaDataId=4b76f6dc14548ef901145df4fd8e5a38 독일어 담화상에서의 시간정보 표상에 관한 연구 - 통제 정보포장이론의 틀안에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8)
- 逋逋巨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젼졍부회의에 통신원은 영위폐지엿거니와 유문부를 됴사즉 뎐우량 각관인의 공젼포흠이 십륙만칠쳔여원이라졍부에셔 장슈쇄터인데 혁파산 관리에게 슈봉기가 극란모양이라더라게재일1906년 7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防報逋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리원에셔 법부로 보고기를 공납 건쳬 건으로 각군 포리를 방쟝압샹는데 보셩 함평 함양 연일 군슈는 만단으로 방보고 압샹치 아니니 군슈의 소위가 탄지라 부로 죠회야 일삭감봉에 쳐라엿다더라게재일1903년 2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妓生〉 (〈기생〉)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신년휘호작품명_원문〈妓生〉 | 게재일19280101 | 게재판특 | 게재면13 | 게재단3-5
- 조선공론_1917_05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余が立補抱負如何-憲政の一大禍根を除け 高橋章之助 68 余が立補抱負如何-總選擧と後藤男の●算 有馬易水 70 在鮮官民人物月旦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사월_1968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화보포함.(68-1호 비고 참조) 권두언 자주와 독립 이홍배 18 특집 격동하는 극동정세-작렬하는 월남전쟁 박경목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주제어사전(5)
-
보포 / 保布 [경제·산업/경제]
조선 시대 한량품관 이하 국역 복무자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비복무자로 보를 설치하여 거둔세금. 보법에 따라 보인은 정규군의 경비를 보조, 방군수포의 일반화와 군역의 군포화라는 추세에 따라 보인의 부담도 포로써 수납하게 하면서 이를 보포라 하였다. 1594년(선조
-
신포 / 身布 [정치·법제/법제·행정]
신포를 보포(保布)라 하였다. 국가는 보인이 정군에게 바쳐야 할 보포의 수량을 정해야 했다. ≪경국대전≫에는 1인당 면포 1필을 넘지 못하게 규정하였다.
-
도안색 / 都案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별기병의 보포를 관장하였던 병조 소속의 관서. 국초에는 경기병이 있었는데 호·보 합쳐 4,000인이었으나 모두 수포군으로, 이들로부터 포 2필을 거두어 경중 여러 곳의 사환을 고용하는 데 사용하였다. 1738년(영조 14) 경기병제도를 폐지하고 지방에 남아
-
이군색 / 二軍色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기병과 보병의 보포 및 대궐 내외의 고립을 관장하였던 병조소속의 관서. 원칙적으로 기병은 4명으로 1호, 보병은 3명으로 1호를 편성하였다. 당번은 1년을 6번으로 나누어 궁궐의 문 및 종묘·사직·전·궁, 2개소의 빈궁궐을 파수하였다. 당번이 정지된 기병
-
정번수포법 / 停番收布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양역변통을 규정한 제도. 조선시대 군역 보포화 과정은 후기에 들어오면서 양역인구의 면역·투속·가탁이 날로 증가하여 군포의 국고수입이 날로 감축되어가자, 국가에서는 양정의 파악을 철저히 하고 소정의 군액을 강력히 징수하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각종 전염병,